미국 대형 은행들이 바젤은행감독위원회(이하 바젤위원회)가 마련한 새 자본 기준을 적용할 경우 확충해야 될 자본 규모가 줄어들 전망이다.
바클레이스캐피털 자본시장그룹은 18일(현지시간) 바젤위원회가 대폭 완화된 수준에서 새 기준을 합의함에 따라 미 대형 은행 35군데가 당초 예상의 절반 규모의 자본만 확충하면 될 것이라고 밝혔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보도했다.
바클레이스캐피털은 미국 35개 대형 은행들이 1150억달러(약 134조9525억원) 규모의 자본을 확보하면 은행 자본건전성을 높이기 위해 논의된 새 기준인 '바젤III'를 충족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는 바젤위원회의 규제 초안에서 확충해야 할 것으로 예상됐던 금액인 2250억달러의 절반 수준에 불과하다.
은행이 보유한 다른 금융기관의 지분을 기본자기자본비율(Tier1) 산정시 배제하는 방안을 추진해온 바젤위원회는 지난해 12월 규제 초안을 발표한 바 있다.
앞서 노무라도 이달 초 바젤III 내용이 약화됨에 따라 유럽의 주요 16개 은행들이 상당한 혜택을 입을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욘 피스 노무라 분석가는 유럽 주요 6개 은행들이 지난해 12월 기준하에서는 3000억유로(약 450조9060억원)를 확충해야 했지만 2000억유로만 확보하면 새 기준을 충족할 수 있을 것이라고 추산했다.
이에 따라 바젤위원회는 이들 은행의 로비에 밀려 바젤III가 계획보다 크게 완화된 수준에서 합의됐다는 비난을 면치 못할 전망이다.
바젤위원회는 지난달 국제결제은행(BIS)이 마련한 초안에서 타 금융기관 지분을 Tier1 산정시 배제한다는 방침을 철회, 당초보다 완화된 새 기준을 제시했다.
한편 바젤위원회는 이날 당초 계획대로 은행 자기자본비율이 강화돼도 경제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크지 않다는 조사보고서를 발표했다.
자기자본비율을 1%포인트 높이더라도 글로벌 경제는 평균 0.2% 위축될 뿐이라는 분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