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제일은행이‘세일즈 인턴 제도’를 운영하면서 정규직 전환 가능성을 내걸고 무리한 영업과 실적을 강요한 것으로 드러나 논란이 일고 있다.
21일 금융권에 따르면 SC제일은행은 지난해‘세일즈 인턴’제도를 금융권에서 처음으로 도입했다. 세일즈 인턴은 각 영업현장에서 고객들에게 직접 상품을 판매하는 일을 담당한다.
하지만 인턴 기간이 1년으로 긴 편인데다 신용대출과 신용카드 할당량을 주고 ‘지인 영업’을 독려하는 등 실적 압박이 심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일부 인턴은 친인척들을 동원해 많게는 10억원 가량의 예금을 예치하기도 했다는 후문이다.
인턴사원이었던 A씨는“신용카드 할당량을 채우려고 몸이 편찮으신 아버지와 함께 아버지의 전 직장이 있는 지방까지 내려가 동료분들께 카드 가입신청서를 내민 적도 있었다”면서 “당시 지점장이 지방으로 출장갈 것을 명령했다”고 주장했다.
또 몇몇 인턴들은 이 은행 대출상담사들의 고객 명단을 파악해 대출상담사가 판매한 고금리의 ‘셀렉트론’을 금리가 낮은 은행 내부 상품인 ‘드림론’으로 갈아타도록 하는 방식으로 실적을 올리기도 한 것으로 전해졌다.
아울러 정규직 전환에 대해서도 은행측은 일관된 태도를 보이지 못했다는 지적이다. 지난해 일부 언론에서 SC제일은행의 인턴제도를 문제 삼자 은행 측은 실적 상위 20%를 당장 정규직으로 전환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가 이후 슬그머니 무효화했다는 것이다.
또 올해 7월 정규직 채용 때는 인턴 출신에 가산점을 주겠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해당 지점장이 인턴을 평가하도록 했으나 대부분 만점에 가까운 점수를 주자 재평가를 지시하는 공문을 보내는 등 해프닝이 벌어진 것으로 전해졌다. SC제일은행은 결국 실적 등을 감안해 1기 중에 총 5명을 정규직으로 채용했다.
이 제도가 다시 도마 위에 오른 것은 최근 2기 채용 공고를 냈기 때문이다. 이 은행이 이달 초 취업포털 사이트 등에 채용 공고를 내자 부정적인 댓글이 쇄도해 이를 삭제하고 재공고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대해 SC제일은행 관계자는 “세일즈 인턴은 청년 실업 해소와 실질적인 현장활동을 통해 다양한 경험을 쌓을 수 있도록 마련한 제도”라며 “지난 1년간 운영한 경험을 토대로 실질적으로 필요한 학습기간 등을 고려해 올해 2차 세일즈 인턴 근무기간을 6개월로 단축시켰다”고 말했다.
이어 “세일즈 인턴제도는 은행과 인턴 지원자 모두 윈-윈하는 프로그램”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