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석우-한덕수 회동 “中企 FTA 활용 극대화 공조”

입력 2012-04-05 16:1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홍석우 지식경제부 장관과 한덕수 한국무역협회장이 만나 무역업계 현안과 경제 동향 등에 대해 논의했다. 양 기관의 수장은 중소기업의 FTA 활용 극대화 지원에도 뜻을 같이했다.

홍 장관과 한 회장은 5일 오후 장관 집무실에서 면담을 가졌다. 두 수장은 내외 경제여건이 불확실한 현 시점에서 우리 경제의 든든한 버팀목은 수출이라는데 의견을 같이하고, 한미 등 FTA 발효 효과 극대화를 위해서 정부와 무역업계가 더욱 힘을 합치기로 했다.

또 지난 1분기 무역수지가 어려운 여건에서도 흑자를 기록했으나 중국 경기둔화 우려 가시화, 유럽재정위기로 인한 對EU 수출 둔화 등에 우려를 같이하고, 이와 동시에 한미FTA 발효 등 기회요인도 상존하는 있어 국내 중소기업의 FTA 활용을 극대화하는데 지경부의 정책과 무역협회의 지원역량을 우선 집중해 나가기로 했다.

이에 양 기관은 지난 2월 무역협회 내에 출범한 민관합동 ‘FTA무역종합지원센터’를 통해 수출현장에서의 FTA활용지원을 집중 지원하는데 노력하기로 했다. FTA무역종합지원센터에 ‘업종별×협정별’ 컨설팅 전담인력을, 지역 FTA지원센터 상주 전문가 등을 배치하고, 업종별 특화컨설팅 등을 통해 기업별 맞춤형 현장지원 컨설팅을 실시할 계획이다.

더불어 컨설팅 효과 제고를 위해 ‘FTA활용 이력시스템’을 도입해 상담요청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사후관리 및 컨설팅 내용 등을 시스템화해 최적의 기업지원 기반을 마련하기로 했다. 증가하는 전시수요 충족을 위한 전시인프라 확충, 무역전문인력양성 등 무역인프라 확충 방안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한 회장은 “한미 FTA 발효 후 중소기업들을 방문해 본 결과 외국어 구사 등 FTA 활용인력과 생산인력 등의 부족이 가장 큰 애로사항인 것으로 파악됐다”고 밝히자 홍 장관은 “무역협회가 중소기업의 FTA 활용과 관련된 애로 해소대책을 마련해 정부에 건의하겠다”고 화답했다.

또 한 회장은 “무역1조달러 달성 이후 양적 확대 위주의 성장정책에서 탈피해 새로운 무역패러다임을 통한 질적 발전을 추구해야 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고 지적하고 “문화상품 수출산업화, 문화적 가치제고 등을 통해 ‘Korean Premium'의 기반을 닦아 나가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에 홍 장관은 무역협회의 계획을 높이 평가하면서 지경부에서도 그러한 계획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새 학기 전 내 아이 안경 맞춰줄까…‘서울 어린이 눈건강 지킴이 사업’ 신청방법은 [경제한줌]
  • [트럼프 2기 한 달] 글로벌 경제, 무역전쟁 재점화에 ‘불확실성 늪’으로
  • 집안 싸움 정리한 한미약품, ‘R&D 명가’ 명성 되찾을까
  • 활기 살아나는 국내 증시…동학개미 '빚투'도 늘었다
  • [날씨] 전국 맑고 '건조 특보'…시속 55km 강풍으로 체감온도 '뚝↓'
  • 트럼프發 반도체 패권 전쟁 심화…살얼음판 걷는 韓 [반도체 ‘린치핀’ 韓의 위기]
  • MRO부터 신조까지…K조선, ‘108조’ 美함정 시장 출격 대기
  • ‘나는 솔로’ 24기 광수, 女 출연자들에 “스킨쉽 어떠냐”…순자 “사기당한 것 같아”
  • 오늘의 상승종목

  • 02.2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3,762,000
    • +0.89%
    • 이더리움
    • 4,046,000
    • +0.67%
    • 비트코인 캐시
    • 480,000
    • +1.85%
    • 리플
    • 3,996
    • +5.74%
    • 솔라나
    • 254,400
    • +2.13%
    • 에이다
    • 1,158
    • +4.23%
    • 이오스
    • 957
    • +4.93%
    • 트론
    • 354
    • -2.75%
    • 스텔라루멘
    • 509
    • +4.09%
    • 비트코인에스브이
    • 56,900
    • +2.06%
    • 체인링크
    • 26,900
    • +1.97%
    • 샌드박스
    • 548
    • +3.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