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환자의 사망률이 매년 10% 내외로 증가하고 있지만 전문의가 응급환자를 진료할 수 있는 시설은 여전히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새누리당 김현숙 의원(보건복지위원회)이 보건복지부에서 제출받아 16일 공개한‘2009~2012년 응급환자 사망현황’자료에 따르면 응급환자 사망자 수는 2009년 5만370명에서 2010년 5만7437명, 2011년 6만2126명으로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
하지만 전국 457개 응급의료기관 중 당직전문의를 5명 이상 배치해 상시적으로 응급환자를 진료할 수 있는 곳은 176개(38.5%)에 그친 것으로 조사됐다. 3년차 레지던트를 포함해 5명의 의료진을 응급실에 배치할 수 있는 병원도 196개소에 불과했다.
김현숙 의원은“매년 응급환자 사망률이 늘고 있는 것은 우리의 응급의료체계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고 있다는 방증”이라며“이같은 상황에서 복지부는 응급실 당직 의사를 병원밖에서 대기하도록 허용하는‘비상호출체계(on-call)’를 운영키로 하는 등 안일한 처방으로 일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응급의료기관의 전문의 확보를 위해 의사 수를 늘리고, 응급환자 이송시간을 단축하는 등 응급의료체계에 대한 종합적 대안 마련이 시급하다”면서 “보건복지위원회와 국정감사 등을 통해 복지부의 안일한 대응을 지적하고 개선책을 마련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