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가 만성질환 예방관리 국가종합대책을 기본으로 만성질환 관리 사업을 진행하고 있지만 대상자들이 제한적이어서 사각지대가 광범위한 것으로 나타났다.
9일 대한당뇨병학회의 ‘2012 한국인 당뇨병 연구보고서’ 발표에 의하면 성인 10명 중 1명(10.1%)가 당뇨병, 10명 중 2명(19.9%)은 당뇨병 전 단계인 공복(空腹) 혈당장애인 것으로 나타났다. 2010년 기준 당뇨병 환자수는 320만명에 달하고 있다.
문제는 당뇨병 유병률은 높지만 당뇨병 인지율이 이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본인이 환자임에도 불구하고 그 사실을 모르는 비율이 27%에 달하며 특히 30~44세 사이 젊은 당뇨병 환자의 46%가 본인이 당뇨병환자인지 모르고 있었다.
특히 이번 조사에서 국내 당뇨병 환자의 38%는 아무런 치료를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9년 통계청 자료에서 우리나라 사망원인 중 당뇨, 고혈압 또는 이로 인한 심뇌혈관질환이 전체 사망자의 25.4%에 이른다. 치료, 투약 등 지속적 관리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입원, 합병증으로 이어져 국민 건강을 심각하게 위협하며 의료비 부담이 급증하고 건강보험 재정이 감당하지 못할 수준이 될 수 있다.
보건복지부는 만성질환의 관리와 예방기능 강화, 의료기관 기능 재정립을 목표로 지난 4월부터 ‘의원급 만성질환관리제’를 시행하고 의료계와 의료소비자의 동참을 촉구하고 있지만 아직 갈 길이 멀다는 지적이다.
그 대상이 고혈압, 당뇨병 환자에 국한해 한계가 있으며 혈압, 혈당, 비만 등에서 위험인자 보유군인 잠재 만성질환자까지 확대해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또 현재의 만성질환 관리체계가 포괄적이지 않고 분절적으로 이뤄지고 있어 각 보건소는 지역 내에 당뇨병 미치료 환자 등 고위험군이 어느 정도인지 규모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윤석준 교수는 “복지부, 질병관리본부, 광역자치단체 및 보건소 등 관리주체들이 유기적인 만성질환관리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면서 “제공되는 서비스가 분절적이고 범위가 제한적이라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제공주체 간 상생의 지혜를 모아야 한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가족력, 흡연, 음주 등 대표적 당뇨병 고위험 항목을 가지고 있으면 자신의 혈당을 측정하고 고혈당일 경우 조기에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김대중(아주대병원 내분비내과 교수) 대한당뇨병학회 수석부총무는 “국가차원에서 홍보나 캠페인을 통해 혈당 체크를 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것이 보건학적으로 중요하며 특히 당뇨가 있을 확률이 높은 위험군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