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영 복지부 장관이 10일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제1차 저출산·고령사회 정책운영위원회에 참석해 인사말을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보건복지부는 대통령 소속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의 원활한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제1차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정책운영위원회를 10일 오후 2시 롯데호텔에서 개최하고 출산·육아 지원 대책 수립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에서는 운영위원 위촉을 통한 ‘운영위 운영방안 및 분과위원회 구성’을 논의하고 ‘범정부 출산·육아지원 대책 수립 방안’에 대한 보고를 복지부로부터 받았다.
분과위원회는 인구·출산, 고령사회, 경제·산업 등 분야별 총 10개 분과로 구성되며 올해 하반기에 인구정책에 대한 사회적 공유와 합의를 위해 인구전략방향(가칭)을 마련해 위원회에 보고할 계획이다.
아울러 복지부는 △결혼준비 지원(주택금융, 혼수비용 등) △임신·출산 지원(난임부부 지원, 고위험 임산부 지원 등) △일·가정 균형 및 다자녀 가정 지원(임신 중 근로시간 단축 등) 등의 내용이 포함된 종합대책 수립 추진 방향을 보고했다.
여기에는 난임부부의 지원대상을 확대하고 체외수정 지원금액 인상을 검토하는 한편 고위험 임산부들이 건강하게 출산할 수 있도록 별도의 진료비를 지원하는 방안 등이 담겨 있다.
일·가정의 균형을 위한 ‘아빠의 달’ 도입을 비롯해 맞벌이 가정을 위한 종일제 돌봄서비스 제공대상 확대 검토도 보고 목록에 이름을 올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