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시공능력평가액 순위 1000대 건설업체의 평균 환산재해율이 0.46%로 집계됐다.
30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환산재해율이란 사망한 재해자에 대해 5배의 가중치를 부여하고 일반재해는 1배수로 해 산정한 재해율이다.
특히 지난해는 2012년 0.43%에 비해 0.03%포인트 증가한 것으로, 부상자 수가 200명이나 증가(3095명→3295명)한 것이 크게 영향을 미쳤다.
시공능력 평가액 순위 50위내 건설업체의 환산재해율을 보면, 두산중공업이 0.08%로 가장 우수하고 대림산업 0.09%, 포스코건설이 0.09%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고용부는 시공능력 평가액을 토대로 건설업체를 1~4군으로 분류해 군별로 재해율이 높은 하위 10% 업체는 정기감독을 실시할 방침이다.
또한, 재해율이 평균보다 낮은 건설업체는 내달 1일부터 내년 6월 30일까지 1년간 입찰참가자격 사전심사시 최대 2점까지 가점을 줄 방침이다.
반면 평균재해율을 초과하는 업체는 건설산업기본법에 따라 시공능력평가액 산정 시 공사실적액의 3∼5%를 감액하고 정부 및 공공기관 등의 포상 시 참고자료로 활용한다.
안경덕 산재예방보상정책국장은 “안전관리 여력이 있는 1000대 건설업체에서도 재해자가 증가한 것에 대해 안타깝게 생각한다”며“중대재해 발생 현장은 작업중지명령 등 엄정 조치하고 대형재해 발생 시 사고현장 뿐만 아니라 본사 및 전국 주요 건설현장에 대해 감독을 실시하는 등 강력하게 대응하여 건설재해를 획기적으로 감소시키는 데 주력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