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대통령, 軍 적폐해소 주문… “이순신 같은 지휘관 돼 달라”

입력 2014-08-13 19:5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박근혜 대통령은 13일 최근 육군 28사단 윤모 일병 구타사망 사건을 비롯한 일련의 군대 내 사건·사고에 대해 “그동안 쌓여온 뿌리 깊은 적폐를 국가혁신과 국방혁신 차원에서 반드시 바로잡아야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이날 오후 서울 용산구 국방부 대회의실에서 긴급 전군주요지휘관회의를 주재하며 “이순신 장군이 적과의 전투에서 맨 앞에 선두에 서서 부하들에게 용기와 희망을 줬듯이 여러분들도 그런 지휘관이 돼 달라”며 이같이 밝혔다.

특히 박 대통령은 “앞으로 부모님들의 마음을 짓밟는다면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그 이상의 책임을 물어야 할 것”이라며 병영 내 폭력사건이 재발할 경우 강력히 문책할 것임을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동부 전선 GOP(일반 전초) 총기사고와 윤 일병 사망사건을 언급하며 “결코 있어서는 안 될 사건이다. 크게 실망하지 않을 수 없다”고 했다.

그러면서 “수십 년에 걸쳐 오래 이어져 온 병영문화가 하루아침에 바뀔 수는 없겠지만, 잡초를 뽑아내듯이 끈질기게 악습과 싸워나가야만 그 뿌리를 제거할 수 있다”며 “병영문화가 거듭나 다른 나라에서도 ‘한국의 병영문화를 벤치마킹하자’는 모범 사례를 만들어냈으면 한다”고 거듭 적폐해소를 당부했다.

박 대통령은 아울러 “군의 폐쇄성에 대한 부모들의 우려가 높다는 점을 감안해 보안은 철저히 유지하더라도 입대한 청년들이 사회와 단절되지 않도록 면회, 서신교류, 외출과 외박 및 휴가제도 등 개선방법도 찾아 달라”고 지시했다.

또한 “사람이 짐승과 다른 이유는 가치와 목표를 추구한다는 것이고, 이것이 사람이 (여타) 영장류와 다른 이유라는 얘기를 들었다”며 “‘내 인생에 있어 군생활 21개월, 24개월을 인생에 도움이 되게 쓸 수 있다’는 의식을 장병들에게 심어줬으면 한다”고 당부했다.

한편 군통수권자인 박근혜 대통령의 전군 주요 지휘관 소집은 이날이 두 번째다. 동부전선 GOP 총기사고와 관련해 지난달 16일 전군 주요 지휘관 초청 오찬을 열어 군 기강 확립 및 병영문화 개선을 당부한 데 이어 최근 28사단 윤모 일병 폭행 사망 사건이 터지면서 한 달도 안 된 13일 다시 국방부로 전군 주요 지휘관을 불러 ‘불호령’을 내린 셈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트럼프 “애플, 미국으로 공장 이전할 것…수억 달러 미국 투자도”
  • 한화가 기다리고 있는 LCK컵 결승, 최종 승리 팀은 어디가 될까? [딥인더게임]
  • [투자전략] 이제는 금보다 은?…ETF로 투자해볼까
  • 애니메이션으로 돌아오는 퇴마록…이우혁 표 오컬트 판타지 [시네마천국]
  • "양산서 미나리 맛보세요"…남이섬ㆍ쁘띠 프랑스에선 마지막 겨울 파티 [주말N축제]
  • 점점 치열해지는 글로벌 빅테크 '양자' 경쟁
  • ‘무신사 장학생’ 데뷔 팝업…차세대 K패션 브랜드 ‘시선 집중’ [가보니]
  • ‘싱글몰트 위스키 대명사’ 글렌피딕 제대로 즐기는 방법은? [맛보니]
  • 오늘의 상승종목

  • 02.2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2,420,000
    • -2.29%
    • 이더리움
    • 4,028,000
    • -2.94%
    • 비트코인 캐시
    • 471,400
    • -3%
    • 리플
    • 3,806
    • -3.65%
    • 솔라나
    • 255,400
    • -2.93%
    • 에이다
    • 1,133
    • -4.95%
    • 이오스
    • 927
    • -4.63%
    • 트론
    • 350
    • -3.58%
    • 스텔라루멘
    • 487
    • -3.56%
    • 비트코인에스브이
    • 54,750
    • -4.78%
    • 체인링크
    • 26,050
    • -6.6%
    • 샌드박스
    • 526
    • -7.8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