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2월 결산법인은 약 115만 개로 지난해 111만 개보다 약 4만 개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세청은 이들 법인은 다음 달 31일까지 법인세를 신고·납부해야 한다며 홈택스에서 편리하게 전자신고할 것을 권했다.
국세청은 영리법인은 물론 수익사업을 영위하는 비영리법인, 국내원천소득이 있는 외국 법인도 법인세를 신고・납부해야 하고 이번에 신고 대
형지엘리트가 지난해 하반기 수익성을 크게 높였다.
6월 결산법인인 형지엘리트는 제24기 반기(2024년 7~12월) 개별 기준 매출 728억 원, 영업이익 13억 원을 기록했다고 14일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25%, 영업이익은 1406% 증가했다. 당기순손실은 4억 원이다.
형지엘리트 측은 “전략적인 마케팅과 신규 사업 관련 협업 강화 등
상장폐지 기업 중 21%는 결산 관련 사유로 상폐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거래소는 12월 결산법인의 2024사업연도 결산기가 도래하면서 시장참가자들에게 사업 결산과 관련해 유의해달라고 당부했다.
5일 한국거래소는 최근 5년간 상장폐지 기업 212사 중 결산 관련 상장폐지 기업은 45곳으로 21.2%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결산 관련 상
금융감독원은 12월 결산법인의 감사 계약을 앞두고, 이달 21일부터 24일까지 나흘간 대한상공회의소와 함께 외부감사제도 전국 순회 설명회를 개최한다고 1일 밝혔다.
설명회 개최 장소는 광주, 대구, 울산, 부산, 서울 등 5개 도시의 상공회의소다. 참석을 희망하는 기업 또는 감사인은 각 개최지의 상공회의소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 신청이 가능하다.
외부
증시 전문가들은 26일 미 증시 산타 랠리의 수혜를 볼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지만, 배당기준일 도래로 인한 불확실성에는 유의해야 한다고 분석했다.
◇김지원 KB증권 연구원= 24일 미 증시는 오후 1시 조기 폐장했으며 한산한 거래량 속 3대 지수 1% 내외 강세 보이며 산타 랠리를 연장했다.
국내 증시는 금일 12월 결산법인 배당기준일(배당주 매수
내년부터 유럽 30여개 국에 판매 돌입가격 경쟁력‧파트너사 앞세워 시장 공략자회사 프레스티지바이오로직스도 수혜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가 첫 번째 바이오시밀러 ‘투즈뉴’(개발명 HD201) 판매 준비에 돌입했다. 생산‧출시 과정을 거쳐 내년 판매할 예정이다. 투즈뉴의 생산을 담당하는 계열사 프레스티지바이오로직스의 매출 발생도 가속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16
12월 결산법인의 외부감사인 선임 기한이 시작되면서 금융감독원은 회사 유형별로 선임기한, 감사인 자격요건, 선정권자 등 다른 기준의 요구사항을 면밀히 확인해줄 것을 당부했다. 외부감사 대상회사는 외부감사 법령에 따른 기간 내에 감사인을 선임한다. 이를 위반하는 경우 감사인 지정 대상이 될 수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12일 금융감독원은 '2025년 외부
유가증권시장 상장기업들의 3분기 누적(1~9월) 영업이익이 사상 최대치를 달성했다. 3분기(7~9월) 이익도 전년 대비 성장세를 기록했으나 성장 둔화세는 짙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도체가 포함된 전기전자업종의 매출, 영업이익 성장이 2분기 대비 크게 둔화하면서 4분기와 내년 기업 실적 전망에 비상이 걸렸다. 이른바 ‘반오장’(반도체만 오르는 시장
연결기준 누적영업이익 전년비 64% 증가…순이익 71% 증가3분기 영업익ㆍ 순이익은 전분기 대비 감소세
유가증권시장 상장기업들의 3분기 실적이 전년 대비 증가했으나 성장세는 둔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한국거래소가 유가증권시장 12월 결산법인 700사 중 614사(연결기준)의 실적을 분석한 결과 3분기 누적 영업이익은 155조6463억 원
올해 3분기 코스닥 상장사 누적 영업이익이 지난해 같은 분기보다 6.2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 12월 결산법인 2024년 3분기 결산실적’에 따르면 1153개 코스닥 상장사의 연결 기준 3분기 누적(1~9월) 매출액은 198조8416억 원으로 전년 동기(191조1594억 원) 대비 4.02% 증가했다.
같은 기간
트럼프 시대가 다가오며 글로벌 증시는 환호 중이다. 특히 미국 중심 재편과 규제 완화 등의 기대감이 반영되는 모습이다. 그러나 우리 증시는 안갯속을 기대감보다는 ‘우려’가 지배 중이다. 한국 경제는 고환율·고관세라는 이중 악재를 마주해야 하는 위기에 봉착했다.
안 그래도 3분기 중국발 수출 단가가 떨어져 우울한 실적을 기록한 기업들은 다가올 미·중 무
삼일PwC가 회계업계 최초로 매출 1조 원을 돌파했다. 빅4 회계법인(삼일·삼정·한영·안진) 경쟁 구도가 이제 ‘1강·2중·1약’ 체제로 확실히 굳어졌다는 평가다. 특히 삼정KPMG의 경우 컨설팅 부문이 매출에 함께 포함되어있는데도 불구, 컨설팅을 제외한 삼일PwC의 실적을 넘지 못했다.
올해는 컨설팅 펌의 중요성이 도드라졌다. EY한영의 경우 처음으
최준호 패션그룹형지 부회장이 계열사인 형지엘리트와 까스텔바작의 자사주를 잇달아 매입하며, 책임경영 의지를 표명했다.
11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최준호 부회장은 6일과 9일 장내에서 형지엘리트 보통주 10만1070주를 주당 1178원에, 까스텔바작은 5850주를 주당 3426원에 매입했다고 공시했다. 두 계열사 자사주 매입에 투입된 최 부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코스닥시장 상반기 결산실적 발표코스피 상장사, 상반기 연결 영업이익 100조 돌파…개별은 59조 역대 최대코스닥, 매출액 증가했지만 재무상태 악화…순이익 8.93%↓
반도체 업황이 살아나면서 유가증권시장 상장기업들의 상반기 실적이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결기준 영업이익은 100조 원을 돌파했고, 개별기준 영업이익은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 상반기 결산실적 발표연결기준 영업이익 102조원…전년 대비 91% 증가흑자기업 늘고 적자기업 줄어…13개 업종 영업이익 증가
유가증권시장 상장기업들의 상반기 실적이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결기준 영업이익은 100조 원을 돌파했고, 개별기준 영업이익은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반도체가 포함된 전기전자를 비롯해 전기
정부가 위메프·티몬 사태로 피해를 본 7600여 개 중소·영세사업자에 부가세 환급금 700억 원을 조기 지급하고 납부 기한 연장과 세무검증 및 압류·매각 유예 등 다각적인 세정 지원을 벌인다.
국세청은 위메프·티몬 피해 중소기업·영세사업자 및 금융위원회에 등록된 중소 PG 사업자에 대한 범정부 차원의 지원에 발맞춰 세정지원을 적극적으로 실시하고 있다고
급락 코스피·코스닥 대비 배당주 낙폭 방어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상장사 이익 개선세에 배당 강화 기대"코스닥 거래대금 감소, 배당·가치주 투자 우위 환경"
최근 국내 증시가 급락 후 반등세를 보이는 등 큰 변동성을 보이는 가운데 비교적 안정적인 투자처로 배당주가 주목받고 있다.
전문가들은 8월이 배당주 투자 적기이며, 올해 밸류업 프로그램 등의 영향으
올해 상반기 10조 원에 달하는 세수 펑크의 주범은 법인세였다. 법인세는 올 상반기 전년대비 16조1000억 원이나 덜 걷혔다. 정부는 올해분 세액 일부를 미리 내는 중간예납에 기대를 걸고 있다. 지난해는 죽을 쒔던 삼성전자·SK하이닉스 등 반도체 대기업이 개선된 상반기 실적으로 중간예납을 하기 때문이다.
4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올해 6월까지 법인세
국세청은 12월 결산법인은 9월 2일까지 법인세 중간예납 세액을 신고·납부해야 한다고 31일 밝혔다.
중간예납 대상은 사업연도가 6개월을 초과하는 영리내국법인·수입사업이 있는 비영리 내국법인·국내사업장이 있는 외국법인 등이다.
신고 대상 법인은 51만7000개로 전년(51만8000개)보다 1000개 줄었다. 중간예납 대상 기간은 올해 1월 1일부터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