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수형·김종화 금통위원 후보자 각각 추천…조윤제·서영경 위원 후임이 후보자, 노동경제학 분야 데이터 기반 연구…“씽크탱크 역할 보탬될 수도”김 후보자, 한은 부총재보 출신…“집행부 아닌 금통위원으로 역량 구현 기대”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에 새롭게 합류할 신임 금통위원에 대한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통화정책 뿐만 아니라 이창용 총재가 추구하려는 한은의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의 재산은 47억4838만 원으로 신고됐다.
30일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가 공개한 '2023년 공직자 정기 재산변동사항'에 따르면 이 총재의 재산은 총 47억4838만 원이다. 4억1062만 원이 줄었는데, 월세임차보증금 지급에 따른 예금 감소 등에 따른 것이다.
부동산 재산은 26억7387만 원으로 신고됐다. 이 총재가 보유한 충남
기획재정부는 이달 13일 '법인세제 개편은 투자 확대와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해 반드시 필요합니다'라는 제목의 보도참고자료를 배포했다. 주 내용은 법인세 부담을 완화해줘야 우리 기업이 경쟁국 주요 기업들과 평평한 운동장에서 경쟁할 수 있다는 것이었다.
기재부 자료만 보면 맞는 말이다. 2019년 기준 전체기업의 실효세율(지방세 포함)은 21.4%로 미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의 재산은 49억668만 원으로 신고됐다.
29일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가 공개한 '2022년 7월 수시재산공개 현황'에 따르면 이 총재가 신고한 재산은 49억668만 원이었다.
부동산 재산은 16억3481만 원으로 신고됐다. 이 총재가 보유한 충남 논산시 화지동 상가건물(1억3081만 원)과 배우자가 보유한 서울 강남구 역삼동 역삼
국민의힘 안철수 의원이 23일 숙환으로 별세한 고(故) 조순 서울대 명예교수를 “소신과 원칙을 가지고 한국 경제의 근간을 탄탄히 다지신 분”이라고 추모했다.
안 의원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고인을 추모하는 글을 올렸다. 안 의원은 “고인은 약 20년간 서울대 경제학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많은 제자를 양성했고, 케인스 경제학을 본격적으로 다룬 최초의 경제
한국 경제학의 거목인 조순 전 경제부총리가 23일 새벽 숙환으로 별세했다. 향년 94세.
의료계에 따르면 조 전 부총리는 서울아산병원에서 노환으로 치료를 받던 중 타계했다.
고인은 교수와 경제관료로 재직했으며 민선 초대 서울시장으로 당선돼 행정가의 길을 걸었다. 재보궐 선거에서 제15대 국회의원에 당선되며 여의도에 발을 디뎠고 민주당과 한나라당 총재를
네 계좌에 책임질 줄 알아야 해
#. 덴마크 스코브룬데에 사는 미켈 스테어 씨(28)는 13살 때 주식투자를 처음으로 해봤다. 우리 나이로 13살은 덴마크에선 일을 시작하고 돈을 벌 수 있는 나이다. 그의 부모는 “네가 받은 용돈이나 아르바이트비 일부는 투자도 해보면서 잔고에 책임질 줄 알아야 한다”며 주식을 권유했다고 한다. 대신 투자하기 전, 한
#3년간 공무원 시험을 준비한 A(31) 씨는 지난달 17일 치러진 7급 지방직 공무원 시험에 응시했다. 지난해 선택과목 중 지방자치론을 응시했다가 한 문제 차이로 불합격한 그는 올해엔 자신 있는 경제학원론을 선택했다. 하지만 A 씨는 선택과목의 난이도 조절 실패로 결국 낙방 위기에 놓여 있다.
10월 17일 치러진 2020년도 7급 지방직 공무원 공
“정당이란 것은 결국 비전과 정책을 소비자인 국민에게 판매하는 일종의 마케팅 에이전시라고 봅니다. 자유한국당은 세일즈와 프로모션에 실패한 것이죠”
김종석 자유한국당 의원은 30일 이투데이와 인터뷰에서 한국당이 국민에게 외면 받는 원인에 대해 이같이 진단했다. 대표적 경제전문가로 꼽히는 김 의원은 이달 24일 선임된 9명의 혁신비상대책위원 명단에
자유한국당과 바른정당은 올해 국정감사에서 문재인 대통령의 경제참모들을 증인으로 부르겠다는 방침이다. 문재인정부의 경제정책 방향인 ‘소득주도 성장론’의 현실성 등을 따지겠다는 명분에서다.
20일 국회에 따르면,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한국당과 바른정당 의원 일부는 청와대 홍장표 경제수석과 김현철 경제보좌관을 증인으로 요청했거나 요청할 예정이다.
경북 구미에서 태어난 김상조 위원장은 1981년 서울대 경제학과에 입학해 같은 대학에서 석·박사학위를 받았다. 경제부총리를 지낸 조순 서울대 명예교수와 정운찬 전 국무총리가 그의 스승이다. 김 위원장은 국내 최초의 경제학 교과서로 케인스 이론이 담긴 조 교수의 ‘경제학원론’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영국 출신의 존 메이너드 케인스(1883∼1946)
한국의 대표적인 마르크스주의 경제학자인 김수행 성공회대 석좌교수가 지난달 31일 별세했다. 향년 73세.
김 교수는 카를 마르크스의 '자본론'을 국내 최초로 완역한 인물로, 우리나라에서 최고의 마르크스주의 연구자로 꼽힌다.
2일 성공회대에 따르면 김 교수의 지인들은 김 교수가 지난달 24일 아들을 만나기 위해 미국으로 갔고, 같은 달 31일 심장마비로
소비가 미덕인가, 아니면 절약 또는 저축이 미덕인가? 경제학원론 시간에 마주치는 명제 중 하나이다. 개인 차원에서의 우리는 모두 절약을 하고 살아야 하는 것이 당연하고, 또한 그렇게 알고 살아왔다. 적어도 케인스라는 대경제학자가 나타나서 ‘절약의 역설(Paradox of Thrift)’이라는 명제를 처음으로 언급할 때까지는.
즉, ‘절약의 역설’이란
경제학원론 시간 첫머리에 다루는 주제가 바로 흔히 우리가 ‘다이아몬드와 물의 역설(diamond-water paradox)’ 또는 ‘가치의 역설(paradox of value)’이라고 하는 주제이다. 즉, 물은 우리가 한시라도 없으면 살 수 없는 생명의 원천임에도 그 값이 싼 반면, 다이아몬드는 일상생활에 별 소용이 없음에도 매우 비싸다는 역설이다.
투명경영은 대세다. 2000년 이후에도 공황에 버금가는 경제위기를 겪으면서 기업의 투명성은 되돌릴 수 없는 흐름으로 자리잡았다. 경제학 원론을 두고 ‘맨큐’와 ‘피케티’의 논쟁이 있을지언정 미시의 세계에서 투명성을 부정하는 것은 상식 이하란 얘기다.
투명경영의 첫 번째는 의사결정 과정이다. 기업의 의사결정이 누구에 의해서 어떤 절차로, 어떻게 이뤄지는지는
조순(趙淳) 이라는 이름을 떠올리면 이내 일종의 난감함이 찾아온다. 전직(前職)은 줄줄이 떠오르는데 지금 당장은 무어라 직함을 붙여야 하나, 하는.
“교수죠, 교수.”
맞다, 현재 20년간 제자를 기르고 학문에 정진했던 서울대 경제학부의 명예교수로 있다.
1988년 이후엔 정부 일을 했다. 부총리 겸 경제기획원 장관을 2년 간, 1992년부터는 1년
지난주는 기업가 정신 주간이었다. 기업가 정신은 시장경제가 작동하는 핵심 에너지다. 그래서 시장경제가 발달한 국가들의 기업가 정신은 높을 수밖에 없다. 한국의 기업가 정신 수준을 국제간 비교한 결과, 중간 이하의 수준이다. 기업가 정신 주간을 만든 것도 어쩌면 한국의 기업가 정신 수준이 낮음을 스스로 인정하는 셈이다.
우리의 기업가 정신 수준이 낮은 이유
유승민 한나라당 최고위원이 홍준표 대표의 일부 공기업 국민주 공모 매각 주장에 제동을 걸고 나섰다.
유 최고위원은 8일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공적자금이 투입됐든 안 됐든 공기업 주식은 정부 자산이자 전 국민의 재산인 만큼 매각 수익을 극대화하는 게 정부의 당연한 의무이고 그렇게 하지 않으면 배임”이라고 말했다.
경제학자이도 한 유
이 책은 저널리스트이자 하버드대 비즈니스스쿨 연구원인 저자가 2008~2009년 하버드대 경제학과 수업을 직접 청강하고 그것을 정리한 기록이다. 철저하게 기록에 따라 재구성했으며 경제학 원리부터 세계 경제의 핫이슈까지 일반 대중이 이해하기 쉽게 들려준다.
강의실의 숨소리나 농담까지 생생하게 살려냄으로써 현장감과 전문성을 동시에 높였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