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1인 가구 맞춤형 사업 확대 및 개선중장년 대상 사업 늘려…사회적 활동 지원시 관계자 “외로움 없는 서울 위해 노력”
서울시가 약 40%에 달하는 1인 가구에 대한 맞춤형 지원을 강화해 ‘외로움 없는 서울’을 만든다고 30일 밝혔다.
서울시 1인 가구는 매년 급속히 증가해 2023년 기준 약 163만 가구로 전체 가구의 39.3%를 차지하고 있
서대문구, 인적 안전망 ‘이웃돌봄반’ 운영 중지역 잘 아는 ‘반장’ 70여 명이 위기가구 발굴복지체계 연계부터 ‘심리적 안정감’까지 제공
“잘 지내고 계시죠? 요새는 불편한 점 없으세요?”
좁은 골목을 가로지르는 김미수(63) 반장의 발걸음이 분주하다. 지도 어플리케이션(앱)으로도 찾아가기 힘든 골목을 편하게 지나며 대문, 우편함 등을 매의 눈으로
시, ‘서울형 긴급복지지원’ 소득 기준 완화1인 가구 7.3%, 4인 가구 6.4% 인상돼생계급여 지원도 각각 2.4%, 2.1% 올라
서울시가 올해 인상된 기준중위소득에 맞춰 ‘서울형 긴급복지지원’의 소득 기준을 완화하고 생계급여 지원 금액도 상향한다.
시는 ‘서울형 긴급복지 지원사업’에 142억 원을 투입해 본격적인 지원에 나선다고 12일 밝혔다
서울시가 지난해 발표한 외로움·고립은둔 종합대책 ‘외로움 없는 서울(외·없·서)’을 실행할 전진기지가 문을 열었다.
서울시는 기존 서울시복지재단 내 사회적고립가구지원센터의 기능과 역할을 확대·재편한 ‘고립예방센터’가 1월 운영에 들어갔다고 23일 밝혔다.
시는 지난해 외로움·고립은둔 종합대책을 발표하면서 외로움을 느끼는 시민에게 24시간 상담과
정부가 국민건강보험료 부과 형평성을 높이기 위해 지역가입자 재산보험료 정률제 전환을 검토한다. 노인 연령(65세 이상) 조정에 대한 사회적 논의도 준비한다.
보건복지부는 10일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진행된 부처별 업무보고에서 이 같은 ‘보건복지부 2025년 주요 업무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국민이 행복하고 건강
노인인구 1000만 시대를 맞이했다. 고령화 속도를 생각하면 노인 인구 증가세는 시간이 흐를수록 가속하고 우리 사회의 절반을 차지할 날도 멀지 않았다.
2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인구는 지난해 12월 하순 1024만4550명으로 전체 인구의 20%를 기록했다. 2017년 고령사회(65세 이상 인구 비중 14% 이상)에 진입한 지 7
2024 지역복지사업 평가서 3개 부문 우수상
서울 서대문구가 보건복지부의 2024년 지역복지사업 평가에서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민관협력 및 자원연계 △고독사 예방 및 관리 등 3개 부문에서 각각 우수상을 차지했다고 10일 밝혔다.
보건복지부의 ‘지역복지사업 평가’는 전국 17개 시도와 229개 시군구를 대상으로 매년 연말에 이뤄지며, 부문별
동성제약은 6일 열린 성내종합사회복지관 개관 30주년 기념행사에서 지역 사회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강동구청장 표창을 수상했다고 10일 밝혔다.
올해 창립 68주년을 맞이한 동성제약은 성내종합사회복지관과 2016년 2월부터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며 후원물품 3만4265건 총 4억1571만3750원 상당의 생활용품과 건강기능식품 등을 후원했다.
이
AI, IoT 활용한 ‘스마트돌봄서비스’ 4만4923가구에 제공
서울시복지재단이 재단 내 사회적고립가구지원센터가 제공하는 스마트돌봄서비스를 올해 9월까지 4만4923가구가 이용했다고 4일 밝혔다. 지난해 2만4932가구 대비 약 80% 늘어난 규모다.
‘스마트돌봄서비스’는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등을 활용해 고립위험가구의 안부를 주기적
풀무원이 은둔가구에게 서울라면과 서울짜장을 제공한다.
풀무원식품은 2일 서울특별시 서울시복지재단과 ‘외로움 없는 서울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3일 밝혔다.
서울시가 추진하는 ‘외로움 없는 서울’은 시민 누구도 고립되지 않은 도시를 만들기 위해 진행하는 시 복지사업이다. 고립은둔으로 심화하고 고독사로 이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기업, 단체, 개
시, 2일 ‘외로움 없는 서울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복지재단 및 9개 단체 참여…민관협의체 구성 추진오 시장, “외로움 문제 해결 위해 민관 협력 필요”시‧복지재단‧9개 기업, 외로움 예방 위해 3년간 협력
오세훈 서울시장이 “외로움 문제만큼은 민과 관이 유기적인 협조 체제를 만들 때 비로소 정책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오 시장은 2
시, 2일 ‘외로움 없는 서울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복지재단 및 9개 단체 참여…민관협의체 구성 추진외로움 예방‧고립은둔 가구 발굴‧인식 개선에 협력
서울시가 ‘외로움 없는 서울’을 만들기 위해 서울시복지재단, 9개 민간기업‧단체와 힘을 합친다. 이들 단체는 시민들의 외로움을 예방하는 것은 물론 고립은둔 가구 발굴과 지원을 함께 한다.
시는 2일 서
동절기‧하절기 취약계층 위해 물품 지원1050가구에 현금 또는 온수 매트 등 제공
서울 종로구가 이달부터 내년 8월까지 ‘종로든든 하동 보드미’ 복지사업을 추진하고 동절기‧하절기 취약계층의 생활 안정을 위해 힘쓴다.
사업명은 여름 ‘하(夏)’와 겨울 ‘동(冬)’, 보듬어 주는 사람이라는 의미의 ‘보드미’를 조합해 지었다.
경제적 어려움과 함께 여름
BGF리테일은 고립·은둔·고독사 우려가 있는 위기 가구에 바우처를 지원하는 '희망 ON나' 사업에 동참한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활동은 울산광역시 남구와 협업해 진행한다. 전날 울산 남구청에서 진행한 업무협약 체결식에는 박종성 BGF리테일 마케팅실장, 서동욱 울산남구청장 등 주요 관계자가 참석했다.
이번 사업은 복지 사각지대에 있는 가구를 발굴해 관할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국가 주택 공급 정책의 중추로 올해 국내 대규모 스마트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국내외 건설 현장과 기술을 선도하고 있다. 특히 올해 주거복지 향상을 위해 LH가 시행한 어르신 생활돌봄서비스는 초고령화 시대에 대비한 정책으로 좋은 평가를 받았다. 이런 공로를 인정받아 LH는 올해 이투데이 ‘스마트건설산업대상’에서 종합대상(국토교통부
경기주택도시공사(GH)가 전국 도시개발공사 최초로 5~7일(현지시각)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리는 '스마트시티 엑스포 월드 콩그레스(SCEWC)'에 참가한다.
SCEWC는 2011년부터 매년 스페인에서 개최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스마트시티 분야 전시 박람회다. 지난해 104개국, 1100여개사가 참가하고, 2만5000명이 참관했다.
GH는 'S.M.A.
8일까지 ‘금천혁신어워드’ 온라인서 투표
서울 금천구가 내달 8일까지 ‘2024년 금천혁신어워드’ 온라인 투표를 진행한다고 31일 ㅂ락혔다.
금천혁신어워드는 주민들이 직접 혁신 행정사례를 발굴하고 조직 내에 확산하고자 마련됐다.
2024년도 온라인 투표에서는 △폐목재 처리방식 개선 △시(市) 자치구 최초 지역사랑상품권 월 정기발행 및 보상환급(페
서울시, 외로움·고립은둔 종합대책함께·연결·소통 3대 전략 7대 과제전담콜 ‘외로움 안녕 120’ 등 가동야외서 활력찾는 ‘365 서울챌린지’
서울시가 외로움과 오랜 시간 은둔·고립 이후 사회로 한발 나설 결심을 한 시민들을 위해 ‘외로움 없는 서울’ 종합대책을 시행한다. 365일 24시간 운영되는 콜센터로 지친 마음을 달래주고, 야외에서 활력을 찾는 ‘
지난해 고독사 사망자가 3661명으로 집계됐다. 고독사 판단 범위 확대에도 증가율은 둔화했다. 다만 고독사 사망자 중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수급자 등 취약계층은 증가 추세다.
보건복지부는 17일 이 같은 내용의 ‘고독사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한국사회보장정보원 고독사예방조사연구센터가 주관했다. 4월부터 6개월간 경찰청 형사사법 정보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