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임영록 회장 검찰 고발
금융감독원(이하 금감원)이 임영록 KB금융 회장을 검찰에 고발했다.
금감원은 15일 안전행정부 행정망을 통해 국민은행 주전산기 전환사업 추진과정에서 서류를 조작하고 자회사(국민은행)에 부당 압력을 행사한 혐의 등으로 검찰에 정식 고발장을 접수했다.
금감원은 국민은행 주전산기 전환사업과 관련해 임영록 KB금융 회장 등 핵
금융감독원이 국민주택채권 횡령사고와 도쿄지점 부당대출 등의 사고가 발생한 국민은행에 대해 기관경고 조치와 임직원 징계를 내렸다. 국민은행은 일본금융청 규정에 따라 도쿄·오사카지점 4개월 영업정지 조치도 내려졌다.
금감원은 지난해 9월부터 올해 1월 중 국민은행에 대해 국민주택채권 횡령사고 및 도쿄지점 부당대출과 관련해 부문검사를 실시한 결과, 국민주택채
일본금융청이 국민은행 도쿄지점 부당대출 사고와 관련해 도쿄지점과 오사카지점에 대해 4개월 영업정지 조치를 내렸다.
28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일본금융청은 국민은행 도쿄지점과 오사카지점에 대해 오는 9월 4일부터 내년 1월 3일까지 4개월 간 신규영업을 정지하기로 했다.
일본금융청은 또 국민은행 일본지점의 신용리스크 관리 및 법규준수에 관한 방침과 책
금융감독원이 국민주택채권 횡령사고와 도쿄지점 부당대출 등의 사고가 발생한 국민은행에 대해 기관경고 조치를 내렸다. 이와 함께 임직원 68명에 대해 무더기 징계를 내렸다.
금감원은 지난해 9월부터 올해 1월 중 국민은행에 대해 국민주택채권 횡령사고 및 도쿄지점 부당대출과 관련해 부문검사를 실시한 결과, 국민주택채권 횡령사고와 관련해 주택기금부 직원과 일부
신제윤 금융위원장은 KB금융지주와 국민은행 징계와 관련한 유권해석이 잘못됐다는 감사원 지적에 대해 “기존에 만들어진 가이드라인을 참고해 유권해석을 내려 금감원에 전달했다”며 “이후 문제는 금감원 제재심위에서 결정할 일”이라고 7일 밝혔다.
이날 국회 정무위원회 업무보고에 참석한 신 위원장은 “금융위가 내린 유권 해석에 대해 법제처도 아닌 감사원이 제동을
임영록 KB금융지주 회장과 이건호 KB국민은행장의 징계 수위 결정이 또 다시 연기됐다. 금융위원회 유권해석에 대해 감사원이 제동 걸었기 때문이다. 이젠 정치권까지 가세했다. 금융감독원 고유의 제재 권한을 빼앗는 월권행위라는 지적이 끊이지 않고 있다.
4일 금융권에 따르면 전일 금감원은 제재심의위원회를 열었지만 KB금융과 국민은행 징계안을 처리하지 못했다
KB금융지주에 대한 금융당국의 징계가 또 미뤄졌다. 이에 따라 KB금융에 대한 징계 수위는 이달 말께 최종 결정될 전망이다.
금융감독원은 3일 제재심의위원회를 열어 국민은행 징계건 등 모두 8건을 심의했다. 이날 상정된 안건 8건 중 7건은 심의 의결됐다. 제재심의위는 일부 저축은행과 신용협동조합에 대한 7건의 심의를 마친 후 마지막 안건으로 이건호 국민
국민은행의 내홍이 극으로 치닫고 있다. 국민은행 사외이사들이 IBM을 제소하기로 한 가운데 노조는 사외이사들을 고소할 것으로 알려지면서 내부 갈등이 고소·고발전으로 번지는 양상이다.
20일 금융권에 따르면 국민은행 사외이사들은 오는 23일 교체 대상이 된 전산시스템 업체인 한국IBM을 공정거래위원회(이하 공정위)에 제소하는 안건을 의결하기 위한 임시 이
국민은행 종합검사 결과 밝혀진 부동산PF 부실 대출 및 예적금 꺾기영업에 대한 징계여부가 내달 20일경에 열릴 것으로 보인다.
30일 업계 및 금감원에 따르면 당초 이달에 제재심의위원회가 열릴 예정이었지만 실무적 검토 과정이 길어지면서 지연된 것으로 알려졌다.
금감원 관계자는 “내달 6일에는 국민은행 징계에 대한 내용은 포함되지 않았다”며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