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아백화점은 28일까지 스웨덴 남성 액세서리 브랜드 ‘하우스 오브 아만다 크리스텐센’(House of Amanda Christensen) 팝업스토어를 운영한다고 10일 밝혔다.
하우스 오브 아만다 크리스텐센은 모자 전문 브랜드 ‘위겐스’(Wigens)와 액세서리 브랜드 ‘아만다 크리스텐센’(Amanda Christensen)으로 구성됐다. 두 브랜
작년 백화점 명품 매출 3% 신장전년 대비 2.5% 포인트 상승백화점 4사 VIP 매출 비중도 늘어
작년 백화점에서 명품을 제외하고 여성·남성패션 등 전 상품 품목의 매출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고물가·고금리로 인해 소비자들의 얇아진 지갑 속에서도 명품 수요는 나홀로 성장한 것인데, 소비 양극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6일 산업통상
에이블리코퍼레이션 첫 글로벌 자본 유치...1년 만에 국내 첫 유니콘 등극3년 새 기업가치 3배↑....“총 2000억 규모 글로벌 연합 투자 유치 계획”
에이블리코퍼레이션은 글로벌 이커머스 알리바바그룹으로부터 소수 지분 투자 방식으로 1000억 원 규모의 투자 유치했다고 2일 밝혔다.
이번 투자로 알리바바는 5% 안팎의 에이블리코퍼레이션 지분을 취
다날이 스타일커머스 플랫폼 에이블리(ABLY)와 4910(사구일공)에 서비스하는 휴대폰결제를 단독 제공한다고 13일 밝혔다. 청소년 휴대폰결제도 가맹사 최초로 오픈했다.
여성 패션 플랫폼 업계 1위인 에이블리는 올해 상반기 거래액이 1조 원 이상, 매출은 전년 대비 40% 증가하는 등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앱ㆍ리테일 분석 서비스 와이즈앱ㆍ리테
11월 2주 투자를 유치한 주요 스타트업은 키햐와 에임스, 와이콤마, 라이트브릿지 등이다.
◇키햐
주류 스마트 오더 스타트업 키햐가 15억 원 규모 시리즈A 투자를 유치했다.
이번 투자는 스트롱벤처스가 주도했으며, 그 외 서울대기술지주, 인포뱅크 등이 참여했다. 서울대기술지주는 2022년 11월 진행한 프리시리즈A 라운드에 이어 두 번째로 투자에
신세계백화점이 남성 패션계에서 주목받는 브랜드의 팝업을 강남점에 선보인다.
신세계는 서울 서초구에 있는 강남점 매장에서 아워셀브스와 어나더오피스의 팝업스토어를 운영한다고 29일 밝혔다.
아워셀브스는 밀리터리, 워크웨어 등의 복식을 감각적으로 재해석해 제안하는 브랜드다. 어나더오피스는 일상복과 오피스룩의 경계 구분 없는 옷을 만드는 캐주얼 브랜드다. 팝
스타일커머스 플랫폼 에이블리는 상반기 거래액 1조 원을 돌파하며 여성 패션플랫폼 1위를 기록했다고 26일 밝혔다. 패션 업계 성수기로 통하는 하반기에 접어든 가운데, 에이블리 연 거래액은 2조 원을 무난히 돌파하며 창사 이래 최고치를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에이블리는 상반기 거래액과 매출 모두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하며, 지난해에 이어 여성 패션 플랫폼
에이블리ㆍ브랜디 등 자본잠식명품 플랫폼도 유동성 빨간불업계 “그간 정산 지연 사례 없어”
티몬·위메프(티메프)의 판매대금 정산 지연 사태가 패션 플랫폼으로 비화하고 있다. 패션 플랫폼 대부분 실적이 좋지 않은 데다 자본잠식인 곳도 적지 않아 시장의 우려가 커지는 것으로 보인다. 업체들은 다만 티메프와 같은 정산 지연 사례는 없다며 확대해석에 선을 긋고 있
‘고급’ 신세계·‘트렌디’ 현대와 대조적롯데, 유명 F&B·패션 브랜드 입점 속도
유통업계 1위 롯데가 체면을 구겼다. 최근 백화점 브랜드 이미지 조사에서 ‘무난함’ 평가를 받았는데, 경쟁사 브랜드보다 상대적으로 박한 평가 결과다. 롯데백화점은 젊은 층이 선호하는 국내외 유명 식음(F&B) 브랜드와 패션 브랜를 대거 입점시켜 차별화를 꾀하겠다는 전략이
중국 공습, 고물가, 저소비 난관에도...푸드·뷰티 등 카테고리 확장 덕분에지난해 매출 모두 두자릿 수 성장
고물가로 지갑을 닫는 소비자가 늘고 있지만, 패션 플랫폼만큼은 지난해 사상 최대 매출을 기록하며 호실적을 냈다. LF·신세계인터내셔날·한섬 등 패션 대기업들이 지난해 대부분 실적 부진에 빠진 모습과 대조적이다. 사업 다각화와 카테고리 확대로 출구전
에이블리코퍼레이션이 3년 연속 매출 역대 최고 기록과 동시에 에이블리 론칭 이래 첫 영업이익 및 당기순이익 흑자를 기록했다.
에이블리코퍼레이션은 지난해 감사보고서를 통해 매출 2595억 원, 영업이익 33억 원을 기록했다고 2일 공시했다. 지난해 매출은 전년 대비 45% 증가하면서 3년 새 무려 390%(4.9배) 성장을 기록했다. 연간 영업이익은 20
중저가부터 명품 브랜드까지 '라인업 강화'
스타일커머스 플랫폼 에이블리가 남성 플랫폼 ‘4910’(사구일공)을 정식 론칭하며 '1030 고객' 공략에 나섰다. 알리익스프레스(알리), 테무, 쉬인 등 중국발 이커머스사(China E-commerce·C커머스)의 세 확장이 거세지고 있는 가운데 카테고리를 확장을 통해 성장세를 이어간다는 전략이다.
에이블리
롯데백화점 수원점이 프리미엄 쇼핑단지로 탈바꿈한다.
롯데백화점은 수원점이 공간과 고객의 연결성을 높이는데 초점을 두고 리뉴얼을 진행, 4월 오픈한다고 24일 밝혔다. 롯데백화점 수원점이 대규모 리뉴얼에 나선 건 약 10년 만이다.
2014년에 개점한 롯데백화점 수원점은 백화점과 몰을 포함해 지하 1층부터 지상 8층까지 연면적 23만4710.7㎡(7만1
SSG닷컴이 국내 최초로 글로벌 남성 전문 럭셔리 플랫폼 미스터포터(MR PORTER)의 해외직구 공식 브랜드관을 22일 오픈한다.
21일 SSG닷컴에 따르면 여성 럭셔리 플랫폼인 네타포르테 공개에 이어 육스 네타포르테 그룹 계열 두번째 공식 브랜드관 오픈이다.
미스터포터는 2011년 영국에서 론칭한 전세계 유일의 남성 럭셔리 이커머스 플랫폼이다. 로
작년 3월 첫 월간 손익분기점 달성 이래 매월 영업익 최고치에이블리 자체 개발 ‘AI 추천 기술’이 핵심 성장 동력
에이블리를 운영하는 에이블리코퍼레이션이 지난해 역대 최고 거래액과 매출을 경신하며 사상 첫 연간 영업이익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고 16일 밝혔다.
에이블리는 창사 5년 만에 외형과 내실을 모두 잡은 ‘성장형 흑자’라는 기념비적인 기록을
CJ ENM이 발굴·투자한 스타트업 바인드(BIND)가 중소기업벤처부가 주관하는 팁스(민간투자 주도형 기술창업지원) 프로그램에 최종 선정됐다.
CJ ENM은 바인드가 팁스에 선정되면서 정부로부터 5억 원의 과제 지원금을 받게 됐다고 18일 밝혔다.
바인드는 2022년 말에 론칭한 4050 남성을 위한 패션 버티컬 플랫폼 ‘애슬러’의 운영사다. 서비스
LF의 대표 남성복 브랜드 ‘마에스트로(MAESTRO)’는 베트남 하노이 장띠엔 백화점에 글로벌 2호점 매장을 오픈했다고 7일 밝혔다.
지난해 9월 베트남 호치민에 첫 글로벌 매장을 오픈한 마에스트로는 지난 1년간 베트남 내 프리미엄 남성복 시장의 성장 가능성을 높게 보고, 호치민에 이어 하노이로 지역을 확장했다.
베트남은 국민소득 증가와 맞물려
CJ ENM 커머스부문의 자회사 브랜드웍스 코리아가 본격적인 브랜드 사업 확대에 속도를 낸다.
브랜드웍스 코리아는 이달 초 미국 컴포트 슈즈 브랜드 ‘락포트(ROCKPORT)’의 국내 사업 운영권을 획득했다고 5일 밝혔다. 락포트 인수를 기점으로 오프라인 밸류체인 역량을 고도화해 오덴세, 브룩스브라더스 등 보유 브랜드 육성을 가속화한다.
락포트는 19
백화점 3사 평균 매출 신장률 20.5%신세계 쓱데이 가전 매출 2배↑롯데ㆍ현대 겨울의류 ‘1등 공신’
11월 갑자기 찾아온 한파가 백화점업계에 기쁜 소식이 됐다. 겨울의류 구매 수요가 급증하면서 겨울 정기세일 기간 모처럼 함박웃음을 지은 것이다. 통상 연말은 백화점 업계의 최대 성수기로 꼽히는 만큼, 4분기 실적 반등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4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