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초부터 고용시장이 얼어붙었다. 일자리 1개를 놓고 구직자 4명이 경쟁하는 상황이다.
고용노동부는 10일 발표한 ‘2025년 1월 고용행정 통계로 본 노동시장 동향’에서 지난달 고용보험 상시가입자(상시·임시직)가 1517만4000명으로 전년 동월보다 11만5000명 증가했다고 밝혔다. 1월 기준으로 카드대란 직후였던 2004년(7만3000명) 이후 21
건설업 고용보험 가입자수가 17개월 연속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건설산업 전반의 침체가 장기화 한 영향이다. 전문가들은 이런 기조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18일 고용노동부가 최근 발표한 '2024년 12월 고용행정 통계로 보는 노동시장 동향'에 따르면 건설업 고용보험 가입자는 전월대비 1만7000명 감소해 17개월째 줄었다. 건설업
구직자 1명당 일자리 수가 0.4개로 쪼그라들었다. 신규 구직인원을 늘었지만, 신규 구인인원은 감소한 탓이다.
고용노동부가 13일 발표한 ‘2024년 12월 고용행정 통계로 본 노동시장 동향’을 보면, 지난해 12월 워크넷을 이용한 신규 구직인원은 39만2000명으로 전년 동월보다 4만1000명(11.8%) 늘었지만, 신규 구인인원은 15만8000명으로
청년층(15~29세) 고용난이 장기화하는 양상이다. 신규 채용 수요가 경력 채용 수요로 이동하는 흐름에서 건설업·제조업 부진도 계속되고 있다.
기획재정부는 2일 발표한 ‘2025년 경제정책 방향’에서 올해 연간 취업자 수 증가가 12만 명으로 지난해(17만 명) 대비 5만 명 축소될 것으로 전망했다. 주된 배경은 건설업·제조업 부진이다. 기재부는 건설
일자리 감소세가 가파르다. 구직자 2명당 일자리가 1개도 안 되는 상황이다.
고용노동부가 9일 발표한 ‘11월 고용행정 통계로 본 노동시장 동향’을 보면, 지난달 구인배수는 0.46으로 지난해 11월(0.63) 대비 0.17포인트(p) 하락했다. 구인배수는 워크넷을 바탕으로 신규 구직인원을 신규 구인인원으로 나눈 값으로, 구직자 1명당 일자리 수를 의
29세 이하와 40대가 인구감소 등의 영향으로 고용보험 가입자가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다. 건설업 고용보험 가입자 수는 15개월 연속 감소다.
11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2024년 10월 고용행정 통계로 본 노동시장 동향'을 보면 10월 말 기준 고용보험 상시가입자는 1549만 명으로 전년동월대비 20만8000명(1.4%) 증가했다. 19만4000명 증
지난해 30만 명대를 유지하던 보험 상시가입자(상시·임시직) 증가 폭이 10만 명대로 쪼그라들었다.
고용노동부는 14일 ‘9월 고용행정 통계로 본 노동시장 동향’에서 지난달 고용보험 상시가입자가 1545만 명으로 전년 동월보다 19만4000명 증가했다고 밝혔다. 고용보험 상시가입자 증가 폭은 2021년 2월(19만2000명) 이후 43개월 만에 최소치
고용 빙하기가 장기화하는 양상이다. 일자리 급감에 구직자만 쌓여가는 상황이다.
고용노동부는 9일 발표한 ‘8월 고용행정 통계로 본 노동시장 동향’에서 지난달 말 기준 일용직을 제외한 고용보험 상시가입자(상시·임시직)가 1544만5000명으로 전년 동월보다 22만 명 증가했다고 밝혔다. 단기 고점이었던 1월 이후 7개월 연속 둔화세다. 제조업과 서비스업은
고용시장 불황이 심화하는 양상이다. 고용보험 상시가입자(상시·임시직) 증가 폭은 6개월째 축소됐고, 구직급여 지급액은 급증했다.
고용노동부는 12일 발표한 ‘7월 고용행정 통계로 본 노동시장 동향’에서 지난달 고용보험 상시가입자가 1541만9000명으로 전년 동월보다 22만2000명 증가했다고 밝혔다. 가입자 증가 폭은 1월 단기 고점을 찍고 6개월
고용보험 가입자 증가가 둔화세를 지속하고 있다.
고용노동부는 8일 발표한 ‘6월 고용행정 통계로 본 노동시장 동향’에서 지난달 고용보험 상시가입자(상시·임시직)가 1540만9000명으로 전년 동월보다 22만6000명 증가했다고 밝혔다. 고용보험 가입자 증가 폭은 1월 34만1000명으로 단기 고점을 찍고 5개월 연속 축소됐다.
산업별로 제조업 증가
취업자 회복에도 고용보험 가입자 증가는 둔화세를 지속하고 있다. 최근 취업자가 고용보험 가입대상이 아니거나 가입률이 낮은 연령·산업을 중심으로 증가한 탓이다.
고용노동부는 10일 발표한 ‘5월 고용행정 통계로 본 노동시장 동향’에서 지난달 고용보험 상시가입자(상시·임시직)가 1539만3000명으로 전년 동월보다 24만 명 증가했다고 밝혔다. 1월 단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