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국 펀드, 북미·신흥아시아 제외 1개월 자금 순유출강달러·美 증시 랠리 등 원인으로 지목전문가 “미국 상승 동력 약화…신흥국 인도 주목”
국내자금이 북미 펀드로 모이고 있다. 대부분의 주요국 펀드에서 자금 순유출이 지속되고 있으며, 같은 기간 수익률이 북미 펀드보다 우수해도 자금이 이탈하는 사례가 발생했다. 달러 강세와 신흥국의 불투명한 경제 전망 등
신한자산운용은 미국 대표지수 인덱스펀드 시리즈인 ‘신한미국S&P500인덱스펀드’와 ‘신한미국나스닥100인덱스펀드’의 전체 수탁고가 1000억 원을 돌파했다고 7일 밝혔다. 연초 이후 730억 원이 넘는 자금이 유입되면서 출시 1년 만에 이룬 성과다.
KG제로인에 따르면 ‘신한미국S&P500인덱스펀드(UH)’와 ‘신한미국나스닥100인덱스펀드(UH)’ 의
해외투자가 대세가 됐다. 국내 증시가 지지부진한 반면, 미국과 일본, 유럽 등의 증시 수익률이 월등하게 높아지면서 돈을 싸 들고 해외증시로 옮기는 개인투자자도 늘었다. 세금의 불리함만 없으면 해외투자는 더 빠르게 증가할 것이다.
그러나 해외투자에서 유념할 것이 하나 있다. 바로 환율이다. 해외투자는 반드시 이종 통화를 동반한다. 미국 주식에 10만 달러
최근 한 달 새 북미 펀드에 2000억 원에 가까운 돈이 흘러들었다.
11일 금융 정보 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최근 한 달 동안 해외 주식형 펀드에서 1061억 원이 빠져나갔다.
하지만 북미 펀드에는 1915억 원이 유입됐다. 투자 지역(국가)으로 구분한 20개 주식형 펀드(설정액 10억 원 이상) 중 글로벌(513억 원)과 아시아퍼시픽(19억 원)
미국 주식형 펀드서 340억 달러 순유출 유럽은 100억 달러·중국 160억 달러 유입 고금리·경기침체 우려로 미국시장 매력 떨어져
미국 펀드매니저들이 해외 주식에 대한 투자를 늘리고 있다. 펀드매니저들은 고금리와 경기침체 우려로 지난해 미국증시의 10년 상승세가 끝난 이후 포트폴리오 다각화를 모색하고 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8일(현지시간) 금
올해 국내 증시가 부진한 상황에 투자자들이 미국 펀드로 눈을 돌리고 있다. 미국 시장이 신흥국 등에 비해 비교적 안정적이라는 점에서 투자 수요가 몰린 것으로 풀이된다.
30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올해 북미 지역 펀드에 3조6883억 원이 넘는 자금이 유입된 것으로 나타났다. 3개월 사이에만 5000억 넘게 몰려들었다. 올해 들어 중국과
1주일새 북미 주식 1032억 유입…권역별 전체 펀드 유입액의 77%변동성 확대 위험 감축 심리 반영…중·장기적 수익률 개선 기대감 커
미국의 강도 높은 긴축과 중국의 코로나 봉쇄조치 등으로 신흥국 증시가 흔들리자 투자자들이 달러 자산(미국 주식형 펀드)을 사들이고 있다.
5일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북미 주식형 펀드(총 75개)에는 최근 한 달간(3일
순매수액 9000억 달러로 1992년 집계 이후 최고치연일 사상 최고치 경신 미국증시 뒷받침S&P500지수 올해 17% 올라미국 경제에 대한 낙관적 전망 우세
전 세계 투자자들이 미국 금융자산에 돈을 쏟아붓고 있다. 미국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전염병의 세계적 대유행) 사태에도 경제 회복 흐름을 이어갈 것이란 투자자들의 기대감이 투
중국계 사모펀드(PEF)와 매각 계약을 체결한 매그나칩반도체의 매각 절차가 새로운 국면을 맞았다. 한미 양국의 규제당국이 본격적으로 매각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기술 유출 가능성을 들여다보기 시작한 가운데, 새로운 조건을 내건 또 다른 인수 제안자가 나타났기 때문이다.
우선 매그나칩은 인수 제안을 상세히 살펴보고 대응한다는 계획이다. 이에
KB자산운용 ‘KB미국대표성장주펀드’가 출시 1년만에 순자산 2000억 원을 돌파했다고 1일 밝혔다.
지난해 12월 순자산 1000억 원을 기록한지 5개월만으로, 국내에 설정된 북미 지역 투자 주식형 펀드 중 세 번째 규모(모닝스타 국내 설정 미국 주식형 펀드 카테고리 Korea OE US Equity 기준)로 올라섰다.
펀드로의 지속적인 자금 유입
중국 바이트댄스의 동영상 앱 틱톡 미국 사업 매각 협상이 난항을 겪고 있다. 틱톡 앱의 핵심 인공지능(AI) 알고리즘이 매각 대상에 포함될 수 있는지를 놓고 의문이 제기돼 협상이 난관에 봉착했다고 1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했다.
해당 알고리즘은 사용자들에게 제공될 동영상을 결정하는 것으로 틱톡의 주요한 비밀무기다. 사정에 정통한
미래에셋자산운용은 미국 ETF 운용사 Global X가 나스닥(NASDAQ)에 상장한 클라우드 컴퓨팅 ETF의 순자산이 1조 원(10억 달러)을 돌파했다고 13일 밝혔다.
지난 해 4월 상장 이후 50%에 가까운 수익률 기록하는 등 우수한 성과를 바탕으로 순자산이 꾸준하게 증가했다.
클라우드 컴퓨팅은 인터넷 서버를 통해 정보가 저장되고 이를 통
글로벌 증시가 급락하면서 해외주식 직구족들의 속이 타고 있다. 최고치를 연이어 경신하던 미국 주식을 뒤늦게 매수했다가 시장 급반전에 손해가 불가피해졌기 때문이다.
10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6일 기준 국내 투자자의 미국 주식 보관잔액은 93억648만 달러(약 11조1817억 원)로 지난해 말보다 10.6% 증가했다.
미국 증시는 지난달 중순까
NH투자증권이 지난달 출시한 NH IM(임)글로벌우량주 랩이 출시 한 달 만에 100억 원이 넘는 자금을 모으며 강남 자산가들 사이에서 인기몰이를 하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최근 시장 상황에서 랩 상품이 한 달 만에 100억 이상 판매된 것은 매우 이례적이란 평가다. 특히 4월에 설립된 운용사에서 출시한 상품이라는 점이 더욱 눈길을 끈다.
한
NH투자증권이 미국과 중국 등 해외우량주에 투자하는 자문형 랩어카운트 ‘NH IM(임)글로벌우량주 랩’을 출시했다고 3일 밝혔다. 랩어카운트는 증권사가 고객과 투자 일임계약을 맺고 적합한 포트폴리오를 구성해 고객 자산을 운용하는 맞춤형 자산관리 서비스다.
NH 임글로벌우량주 랩은 임캐피탈파트너스(IM Capital Partners)의 자문을 받아
지난해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했던 베트남펀드에 자금 유입이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수익률은 부진했지만 높은 경제성장률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2차 북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개최지 베트남에 대한 기대감이 커진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24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연초 이후 베트남펀드에는 307억 원(22일 기준)이 순유입됐다
동양네트웍스가 계열사 신약 치료제 기술 수출 및 추가 투자 유치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동양네트웍스의 바이오 투자 부문 자회사인 TY바이오 인베스트먼트는 1월 7일부터 10일 사이 열린 ‘2018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에 참석한 가운데, 이른 시일 내에 가시적인 성과가 나올 것으로 예상한다.
이훈모 대표는 20일 서울 본사에서 가진 이투
GS EPS가 국내 민간발전회사로는 최초로 미국 전력시장에 진출하게 됐다.
GS그룹의 민간발전회사인 GS EPS는 30일 미래에셋대우·하나대체투자자산운용과 공동으로 미국 뉴저지주 린든시에 위치한 972MW 용량의 린든 가스발전소의 보통주 10%를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이번 투자는 미국 펀드인 아레스 EIF 매니지먼트와 오크트리 캐피털
NH투자증권은 최근 브라질 증시의 밸류에이션이 높지만 아직 저가매수에 나서기 보다는 보수적 관점을 유지한다고 밝혔다.
권아민 NH투자증권 연구원은 28일 “최근 브라질 주식형에서는 다른 신흥국과 비교해도 많은 자금이 유출됐다”며 “최근 환율 급락에 따른 추가 자본이탈 가능성도 남아있다”고 말했다.
브라질 헤알화 가치는 최근 31개월 중 최저 수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