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주(6~10일) 국내 증시는 삼성전자의 4분기 잠정실적 공개를 앞두고 경계감 속에 종목별 장세를 보일 전망이다. 코스피 상승 요인으로는 가격 메리트, 2025년 소비자가전전시회(CES)가 있고, 하락 요인은 국내 4분기 기업 실적 우려, 트럼프 정부 대외정책 리스크 등이 있다. 주간 코스피 예상 밴드는 2350~2480포인트로 제시됐다.
4일 한
연말 배당 수혜…올해는 지나갈 수도배당기준일 변경·밸류업 차익 시현 원인전문가 “배당주 투자 전략 내년 초까지 확대해야”
‘찬 바람이 불면 배당주를 사라’라는 증시의 격언이 있지만, 올해는 통용되지 않을 전망이다. 배당락일이 변경된 기업이 다수 존재하고, 밸류업 프로젝트로 배당주 주가가 많이 올라 차익 시현 매물이 대거 출회될 위험이 존재해서다.
1
한국거래소는 12월 31일을 연말 휴장일로 지정함에 따라, 올해 증권ㆍ파생상품시장은 12월 30일까지 운영하고, 2025년 1월 2일 증권시장 정규시장은 10시, 파생상품시장 정규시장은 상품에 따라 9시 45분 또는 10시에 개장한다고 17일 밝혔다.
이에 따라 12월 말을 결산배당기준일로 정한 상장법인의 배당락일은 12월 27일로 정해졌으며, 26일
코리아에셋투자증권이 배당락일 내림세다.
2일 오후 2시 55분 기준 코리에셋투자증권은 전일 대비 10.53%(730원) 내린 6200원에 거래 중이다.
코리아에셋투자증권은 지난달 13일 1주당 현금 500원을 지급하는 배당을 결정했다고 공시를 통해 밝혔다. 배당기준일은 이달 3일이며, 기준일 전날인 이날 배당락이 발생했다.
통상 배당받을 권리가 사
해마다 늘었던 중간 배당 올해 위축 우려현행법상 중간·분기 배당에 선 배당액 후 배정일 확정 적용 못해상장사 "중간·분기 배당 절차 개선 위해 자본시장법 개정해야"
주주환원의 일환으로 매년 늘어나던 중간배당 규모가 올해 위축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현행법상 분기·중간배당에서 ‘선 배당액, 후 배당기준일 확정’ 방식으로 개선된 절차로 배당을 시행할
삼성카드와 삼성화재가 배당락일 내림세다.
26일 오전 10시 7분 기준 삼성카드와 삼성화재는 각각 5.66%(2350원), 4.19%(1만4000원) 내린 3만9150원, 32만 원에 거래 중이다.
삼성카드와 삼성화재 모두 27일이 배당 기준일이므로 2영업일 이전인 25일까지 주식을 매수해야만 배당을 받을 수 있다. 26일부터는 배당받을 권리가 사라
이달 말 2023년 결산 배당 기업들과 3월 분기 배당 기업들의 배당기준일이 다수 설정돼 더블 트레이딩 기회에 주목해야 한다는 조언이 나왔다.
19일 IBK투자증권은 "지난달 말 2023년 결산 배당기준일 기업들의 수익률을 복기해보면, 고배당 종목들은 배당락 이후 주가를 일부 회복하는 현상이 발생했다. 배당락 전일 종가, 배당락일 주가 1일 하락 폭도
강보합세로 출발했던 코스피지수가 약보합세로 전환, 낙폭을 키우며 2620선에서 마감했다.
27일 코스피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22.03포인트(0.83%) 내린 2625.05에 마감했다. 개인과 외국인은 각각 1651억 원, 372억 원 순매수했고, 기관은 496억 원 순매도했다.
코스피는 전일 밸류업 프로그램 재료를 소화한 후 경제 지표를 대기하며
코스피 지수와 코스닥 지수가 각각 강보합, 약보합 마감했다.
26일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3.08포인트(0.12%) 오른 2602.59에 거래를 마쳤다.
개인 홀로 1조486억 원어치를 팔아치웠고, 외국인과 기관 투자자는 각각 823억 원, 9712억 원어치를 사들였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장 대비 8.50원(0.65%)
26일 증시 전문가들은 이번 주 코스피가 배당락일 전후로 영향을 받을 것으로 전망했다.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 = 한국 증시는 내년 기대심리에도 연말 폐장에 따른 거래 부진 속 배당락 전후, 대주주 양도세 관련 수급 변화, 연속 상승에 따른 차익실현 물량 출회 여부, 미국 주요 제조업 지표, 중국의 제조업 및 서비스업 PMI 등에 영향받을 전망이다.
다음 주(12월 18~22일) 국내 증시는 태영건설 등 부동산 PF(프로젝트파이낸싱) 리스크와 개인의 연말 대주주 양도세 이슈로 상승세가 제한될 것으로 전망된다. 연말 배당락일 프로그램 매도 물량이 출회할 가능성도 주가에 부담 요인이다. 연말 수급 이슈로 주가 하락 시 박스권 하단에서 매수하는 전략이 유효하다는 조언이다.
NH투자증권은 다음 주 코스피
올해 증권·파생상품 시장은 이달 28일까지 운영된다. 증권시장 정규시장은 내년 1월 2일 오전 10시부터 다시 거래할 수 있다.
14일 한국거래소는 '2023년 연말 시장운영 일정 및 2024년 연초 개장일(1.2) 매매거래시간 안내'를 통해 이러한 내용을 밝혔다.
12월 말을 결산배당기준일로 정한 상장법인의 배당락일은 오는 27일이다. 이달 26
“국고채 금리 3% 후반 형성…4% 이상 배당수익률 종목에 투자해야”“고배당 ETF, 시장 불확실성 속 자금 유입강화 시 수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를 동결했다. 이로써 미국의 기준금리는 5.50%를 이어가게 됐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8월 기준금리를 동결하면서 3.50%를 이어가게 됐다.
최근 1개월새 KOSEF 고배당 ETF 8.63% 올라ARIRANG 고배당주 ETF 8.44↑·HANARO 고배당 ETF 7.57%↑"고금리 환경 지속, 연말 배당 기대 등에 자금 유입 지속 전망""당기순이익 하락에 기대 못 미치는 배당금 가능성도 염두해야"
연말 배당 시즌을 앞두고 고배당 관련 상장지수펀드(ETF) 상품들의 주가가 일제히 고개를 들고
KRX 은행 지수 이달 4일 이후 600선 밑돌아2분기 시중은행 실적 견조…"정부 규제 강화가 투자심리 위축"
지난달 29일 배당락일을 지난 은행주들이 반등하는 듯 싶었으나 재차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정부가 금융권에 사회공헌 강화 정책을 촉구하는 가운데, 외국인과 연기금의 매도세가 두드러져 앞으로 주가 향방에 관심이 쏠린다.
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
‘찬바람 불 땐 배당주’라는 투자 공식은 이제 옛말이 됐다. 주주 환원의 중요성이 커짐에 따라 여름 배당에 나서는 기업들이 늘어나고 있어서다. 지금처럼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상황에서는 배당수익으로 손실을 만회하거나 추가 수익을 기대해 볼 수 있다는 조언이 나온다.
11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이날까지 6월 말 배당을 공시한 코스피·코스닥 기업은
호재‧공시 없는 폭등주…주가 이상 과열 현상 지속거래소 투자경고에도…리딩방發 ‘묻지마 투자’이어져
특별한 호재나 공시 없이 주가가 널뛰기를 하는 종목들이 발생하고 있다. 한국거래소가 이들 종목에 대해 시장경보 제도로 투자 위험성을 알리고 있으나, 일부 투자자들이 일명 ‘밈주식’처럼 단기차익을 노리고 투기에 뛰어들고 있어 더욱 주의가 요구된다.
18일
배당 노리고 CS 매수한 개인투자자MTS에 배당지급일 적혀있었는데…취소 소식에 당혹“초보 투자자 많은 핀테크 MTS, 주의 더 기울여야”
배당금을 받기 위해 크레딧스위스(CS)를 매수한 개인투자자들이 분통을 터뜨리고 있다. 이들은 핀테크 증권사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TS)에 표시된 배당지급일을 보고 투자했는데, 정작 CS는 올해 배당금을 지급하지 않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