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B산업은행은 반도체 생태계 전반의 설비 및 연구개발(R&D) 투자자금을 지원하는 ‘반도체 설비투자지원 특별프로그램’을 출시했다고 1일 밝혔다.
정부는 글로벌 기술패권 경쟁에 대응하기 위해 지난달 26일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18조 원의 금융을 지원하는 '반도체 생태계 종합지원 추진방안'을 발표한 바 있다.
이번 반도체 설비투자 지원 특별프로그램은
소재ㆍ부품ㆍ장비 산업의 기술 사업화를 뒷받침할 전용 펀드가 조성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7일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교육원에서 '산업기술 금융 종합 지원 상품(GIFT)' 2호 펀드 출자 설명회를 연다. 올 6월에 처음 도입된 GIFT 펀드는 외부 기술 도입이나 공동 기술 개발, 밸류체인 기업 간 특수목적법인(SPC) 설립, 기술 혁신ㆍ사업 재편을 위한
기술 사업화와 개방형 혁신을 촉진하기 위한 1000억 원대 산업기술금융종합지원상품(GIFT) 펀드가 조성됐다.
산업통상자원부는 GIFT 1호 펀드인 '창해유주 오픈이노베이션 M&A 펀드'가 이달 결성을 마치고 다음 달부터 투자에 들어간다고 16일 밝혔다. 펀드 결성액은 1040억 원으로, 애초 산업부가 목표로 잡은 1000억 원보다 40억 원 많다.
정부가 시중은행과 함께 외부기술 도입과 인수합병(M&A) 등 개방형 혁신을 추진하는 기업에 자금을 지원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우수기술의 신속한 시장진입을 지원하고 개방형 혁신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내년 초 3400억 원 규모의 '산업기술금융 종합지원상품(GIFTs)'을 출시한다고 1일 밝혔다.
해당 상품은 1400억 원 규모의 투자 펀드와 2
주형환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12일 4차 산업혁명으로 발생할 수 있는 일자리 감소에 대해 소득의 일정부분을 보전해주는 임금보험(Wage Insurance) 도입을 제안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2일 서울 중구 플라자호텔에서 대한상공회의소와 공동으로 ‘신산업 민관협의회’ 컨퍼런스를 열고 4차산업 혁명에 따른 기술혁신과 이로 인한 일자리 대체, 규제 해소 등
임종룡 금융위원장이 21일 기술금융 활성화를 위해 시중은행을 방문해 격려에 나섰다.
임 위원장은 이날 서울 중구 신한은행 본점에서 열린 6개 은행(신한, KEB하나, 국민, 우리, 기업, 산업) 기술금융 부서장 및 기술신용평가사(TCB) 담당 임원과 현장간담회를 가졌다.
이 자리에서 지금까지의 기술금융에서 자체기술평가, 투자방식의 기술금융, 양질의
신흥경제 5개국(브라질·러시아·인도·중국·남아프리카공화국) 모임인 브릭스(BRICS)가 신개발은행 창설 점검을 마쳤다.
9일(현지시간) 브릭스는 회원국간 협력 강화 등을 골자로 한 공동 선언문을 채택하면서 러시아 중부 도시 우파에서 열린 이틀간의 회의 일정을 마무리 했다. 이번 회의에서 각국 정상들은 산업·기술·금융 분야 등에 걸친 회원국 간 협력 방안
유망한 기술을 보유하고도 자금 융통이 어려운 기업들을 위해 정부가 금융 지원을 강화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5일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산업엔진 창출을 위한 기술금융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산업부는 정부 재원에서 6000억원을, 민간 자금 출자를 통해 9000억원을 조달해 2021년까지 1조5000억원 규모의 산업기술펀드를 조성할 방침이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우수기업과 금융기관 간 효율적 연계를 지원할 장을 마련할 계획이다.
산업부는 3일 서울교육문화회관에서 산업기술금융 포럼 발대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포럼은 우수제조기술연구센터, 글로벌 전문기업 후보기업 등 우수 기술 중소기업과 벤처캐피탈, 시중은행 등 약 500명으로 구성됐다.
산업부는 포럼 발대식 이후 산업기술진흥원에서는
"금융의 뒷받침으로 한국 녹색산업과 기술을 월드클래스로"
녹색성장의 성공적 추진을 위한 금융계의 역할과 지원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은행ㆍ증권ㆍ보험 등 금융회사와 금융 정책당국 대표들로 구성된 '녹색금융협의회(Green Finance Council)'가 28일 공식 출범됐다.
녹색금융협의회는 '산업협의회', '과학기술협의회'에 이은 녹색성장을 위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