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 규제로 부동산 시장에 찬바람이 불고 있지만 초고가 주택 시장은 연초부터 뜨거운 손바뀜을 이어가는 모양새다. 자산가들의 선호가 높은 하이엔드 아파트와 재건축 호재가 있는 단지를 중심으로 신고가 거래가 잇따라 나오고 있다.
11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서울 용산구 한남동 한남더힐 전용면적 233㎡은 올해 1월 109억 원에 팔려
다음 달 새 학기 시작을 앞두고 서울 주요 학군지 아파트 실수요가 살아나는 모양새다. 지난해 말 이후 최근까지 서울 아파트 시장은 거래 한파에 탄핵 정국이 겹치면서 신축과 일부 핵심지 말곤 아파트 거래가 주춤한 상황이다. 하지만 아파트 거래절벽 속에서도 대치동과 목동 등 학군지 단지는 꾸준히 실수요가 몰리면서 매맷값은 물론 전세까지 강세를 보인다.
4
서울 초고가 아파트 시장은 독주를 이어가고 있지만, 일반 아파트 시장은 거래량 급감과 대출 규제 영향으로 얼어붙은 모양새다. 지난해 서울 아파트 매매 후 원래 살고 있던 자치구 내 아파트를 매입한 비중이 전년 대비 급증한 것으로 집계됐다. 1주택자의 ‘상급지 갈아타기’도 여의찮고, 수요 급감 여파로 신축 단지 몸값 프리미엄도 자취를 감췄다.
14일 한국
11월 금융권 가계대출 5조1000억 원 증가…증가폭 축소금융당국 "2금융권 가계대출 상황 면밀히 모니터링"
지난달 2금융권 가계대출이 3조2000억 원 급증했다. 2021년 7월 이후 40개월 만에 최대 순증이다. 높아진 은행 문턱에 돈을 빌리기 어려워진 차주들이 2금융권으로 대거 몰린 탓이다. 특히 상대적으로 규제가 느슨한 새마을금고에서만 1조 원이
서울 아파트 매매거래가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 집값이 많이 오른 가운데 강한 대출 옥죄기가 진행되면서 수요자들의 자금 조달 여력이 크게 떨어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전문가들은 대출 문턱이 낮아질 때까지는 거래 활성화를 기대하기 어렵다고 전망한다.
29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9월 서울 아파트 매매거래량은 2910건이다. 8월 6332건의 절반을
서울 아파트값이 한껏 오른 가운데 경기지역에서 15억 원 이상 고가 아파트 거래 잇따른 것으로 집계됐다.
4일 리얼투데이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통계를 분석한 결과 1월부터 8월까지 경기도에서 15억 원 이상 거래된 아파트는 총 1517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기(745건) 대비 103.6% 증가한 수치다. 올해(1월~8월) 경기도에서 거래된 15
올해 3분기 서울에서 30년 초과 아파트의 거래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축보다 가격 오름폭이 작은 가운데 재건축 기대감이 반영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18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공개시스템에 따르면 3분기 30년 초과 서울 아파트 거래 비중은 전체의 21.2%로 집계됐다. 올해 1분기 18.8%, 2분기 17.8%에서 확대된 것이다.
오래된 아파트
서울 여름 분양 시장이 뜨겁게 달아올랐다. 분양가와 서울 아파트 매매가 오름세가 이어지는 데다 공급 우려가 잦아들지 않은 영향으로 풀이된다.
9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7·8월 서울에서 총 8개 단지 1775가구가 일반분양(특별공급 제외)한 결과 1순위 청약통장 23만8732건이 접수돼 평균 134.5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기
'주담대' 중심으로 넉달 째 증가세…매달 5조 넘게 증가 올해만 32.1조 증가…당국 "경각심 갖고 지켜보고 있어"
7월 은행권 가계대출이 한 달 새 5조5000억 원 불었다. 넉 달 연속 증가다. 서울 아파트 거래가 큰 폭으로 늘어나는 등 주택시장 회복에 주택담보대출이 급증한 영향이다. 올해 7월까지 은행권 주담대 순증액은 32조 원을 넘어서 가계대출
전국 아파트 매매 거래량이 4개월 연속 월 4만건을 넘어섰다.
12일 부동산R114 자료에 따르면 올해 6월 전국에서 매매된 아파트는 총 4만3300건으로 집계됐다.
앞서 3월(4만233건) 10개월 만에 거래량 4만건대를 회복한 뒤 4월(4만4119건)과 5월(4만3278건)에 이어 4개월째 4만건 이상의 거래량을 기록했다. 4개월 연속 아파트 거
최근 서울에서 50억 원 이상 초고가 거래가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똘똘한 한 채'에 대한 선호가 강해지면서 핵심지역 고가 아파트로 수요가 몰린 영향으로 풀이된다.
11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서울에서 50억 원 이상에 매매된 아파트는 총 142채(10일 집계 기준)다. 지난해 같은 기간 58채와 비교해 144%
서울 용산구 한남동의 나인원한남이 공동주택(아파트·다세대·연립주택) 역대 최고 매매가 기록을 약 한 달 만에 갈아치웠다.
2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 시스템에 따르면 나인원한남 전용면적 273.41㎡ 1층이 지난달 22일 220억 원에 팔렸다.
이번 거래는 공인중개사를 거치지 않은 개인 간 직거래였다. 지난 6월 같은 단지 273.94㎡ 1층이 2
올해 서울 아파트의 9억 초과 거래 비중이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똘똘한 한 채'에 대한 수요가 확대되면서 선호도가 높은 지역·단지를 찾는 사람이 늘어난 영향으로 풀이된다. 이런 추세는 한동안 지속될 전망이다.
15일 직방이 국토교통부 아파트 매매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서울 아파트는 총 2만3328건 거래됐는데 이
주택 가격이 오를 것으로 기대되는 시기에 종합부동산세를 강화하는 정책은 효과가 제한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양도소득세 강화 역시 수요를 막는 데는 실효성이 부족하고, 매도를 위축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성제 국토연구원 주택·부동산연구본부 연구위원과 연구진은 18일 '주택가격 상승기 시장 참여자 행태와 시사점' 보고서를 발표했다.
연구진은 주택
분양가가 치솟으면서 수요자들의 시선이 구축으로 쏠리고 있다. 특히 신생아 특례대출 효과가 더해지며 9억 원 이하 아파트가 많은 강북 지역에서 최고가 경신 단지가 나왔다. 준공 5년 이내 준신축에도 수요자가 몰리고 있다.
7일 부동산 프롭테크 업체 직방에 따르면 4월 매매거래 중 최고가 경신 거래가 3월과 비교해 가장 크게 증가한 지역은 성북구로 나타났
올해 들어 아파트 교환거래량이 전년 대비 절반 수준으로 쪼그라들었다. 교환거래는 합법적인 거래 방식이지만, 실제 거래는 드물었다. 하지만 2022년 하반기부터 시장이 얼어붙자, 아파트 거래량이 줄어들었고, 이에 급매 수요자를 중심으로 교환거래가 늘면서 최근 1년가량 급증한 바 있다. 때문에 최근 교환거래량 감소는 주춤하던 부동산 시장의 정상화 신호로도 해
10월 전국 부동산 매매량이 2개월 연속 하락해 연내 최저 수준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전월 대비 비(非)아파트 주택 유형의 거래량 상승에도 불구하고 올해 시장 상승을 주도해온 아파트 거래가 감소하며 전국 부동산 매매량 감소세에 영향을 줬다.
14일 상업용 부동산 전문기업 부동산플래닛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1일 기준)를 분석한 ‘10월
지난달 27일 특례보금자리론 일반형 대출 중단 이후 한 달 동안 전국의 6억 원 이하 주택 거래 비중이 다시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6억∼9억 원 이하 비중은 감소했다.
29일 부동산R114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시스템에 신고된 아파트 가격대별 거래량을 분석한 결과, 전국에서 9월27일부터 10월26일까지 매매 신고된 6억∼9억 원 이하 아파트
8월 전국 부동산 매매량이 반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아파트 거래량만 늘어 전체 거래량 증가세를 이끌었고, 비아파트 침체는 여전한 상황이 이어져 낙관은 이르다는 전망이다.
19일 상업용 부동산 전문기업 부동산플래닛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1일 기준)를 분석한 결과, 8월 전국 부동산 거래량은 8만7250건으로 7월 8만3720건과 비교해 4
집값 상승세를 견인하던 서울의 아파트 거래가 줄고 수도권에서 오른 가격에 매매계약을 하는 비중도 낮아지면서 회복세가 꺾이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고개를 들고 있다. 부동산 시장이 작년 말과 올해 초의 극심한 한파를 벗어나는 듯했는데 다시 위축된다는 신호로 해석될 수 있어서다. 전문가들은 탄력이 약해졌지만, 아직 방향이 바뀐 것은 아니라고 진단한다.
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