던파 모바일·퍼스트 디센던트·데이브 더 다이버·프라이사전기 등 신작 개발진 대상넥슨 신규개발 성과급·KPI 인센티브 등 성장 동력 발굴에 전략적 투자 지속
넥슨이 연 매출 4조 원 달성의 주역인 던전앤파이터 모바일, 퍼스트 디센던트, 데이브 더 다이버 등 개발진에게 1600억 원 규모의 성과급을 지급했다. 직원들의 사기를 북돋고 유능한 인재 유출을 방
넥슨이 지난해 중국 지역에 출시한 ‘던전앤파이터’ 모바일과 7월 글로벌 출시한 ‘퍼스트 디센던트’의 성공적인 출시에 힘입어 국내 게임사 최초로 연간 4조 원이 넘는 매출을 달성했다.
넥슨은 지난해 전년 대비 5% 증가한 4조 91억 원의 매출을, 영업이익은 8% 감소한 1조 1157억 원을 기록했다고 13일 밝혔다.
4분기 매출은 7,294억 원을 기록
딥인더게임은 게임에 관심이 많은 게이머에게 모든 게임 및 관련 업계 소식을 전하는 코너입니다. 기대작부터 마니아층을 열광하게 하는 작품까지, 게이머들이 관심을 가질만한 소식들로 채워집니다.
드래곤이나 괴물로부터 공주를 구하고 왕국도 지키는 기사도까지 갖춘 기사. 백성들에게 신성한 신의 가르침을 설파하는 신실한 사제. 왕자나 왕을 도와 외국의 침략으로
영업익 545억…전년비 9.3%↑흥행 기대작 '드래곤소드' 꼽혀웹젠레드코어 신작도 공개 예정
웹젠은 지난해 매출액 2147억 원을 기록했다고 12일 공시했다. 이는 전년 대비 9.4% 증가한 수준이다.
영업이익은 545억 원으로, 전년 대비 9.3% 늘었다. 당기순이익은 전년 대비 1.4% 감소한 567억 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웹젠은 ‘뮤 모나
카카오게임즈는 지난해 4분기 매출이 전년 대비 21% 감소한 1,601억 원, 영업손실은 약 63억 원으로 적자 전환했다고 11일 밝혔다.
4분기에는 신작 부재 및 장기 타이틀의 자연감소, ‘패스 오브 엑자일 2’ 실적의 이연 회계처리 영향 등이 반영됐다.
지난해 연간 매출은 약 7,388억 원, 영업이익은 약 65억 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약 14%,
펄어비스는 지난해 4분기 매출이 전년동기 대비 13.4% 증가한 957억 원,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각각 24억 원과 468억 원으로 흑자 전환했다고 11일 밝혔다.
연간 매출은 3,424억 원, 영업손실은 121억 원, 당기순이익은 610억 원을 기록했다. 전년 대비 매출은 2.7%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적자지속이지만 적자 폭이 감소했고, 당기순이익은
딥인더게임은 게임에 관심이 많은 게이머에게 모든 게임 및 관련 업계 소식을 전하는 코너입니다. 기대작부터 마니아층을 열광하게 하는 작품까지, 게이머들이 관심을 가질만한 소식들로 채워집니다.
코에이테크모의 대표 시리즈 ‘진삼국무쌍’이 전작 이후 4년 만에 9번째 시리즈 작품을 내놨습니다. 이번 작품은 넘버링을 버리고 ‘진삼국무쌍 오리진’이라는 이름으로
엔에이치엔(NHN)은 자사의 좀비 아포칼립스 게임 ‘다키스트 데이즈(DARKEST DAYS)’가 2월 25일 전세계 이용자를 대상으로 PC및 모바일에서 글로벌 테스트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17일 밝혔다.
다키스트 데이즈는 NHN이 자체 개발해 준비 중인 오픈월드 기반의 슈팅 역할수행게임(RPG)다. 좀비 아포칼립스라는 극한 상황에서 살아남은 생존자들을 통
혹독한 구조조정을 마친 국내 게임업계가 글로벌 영토 확장에 나선다. 국내 게임시장의 성장을 주도했던 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MMORPG) 장르가 한계에 봉착하고 중국산 게임의 경쟁력이 높아지면서 그동안 장악해온 안방에서도 입지가 줄어들고 있기 때문이다.
8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주요 게임사들은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해 플랫폼과 장르 다변화 전략에 속도를 내
넥슨 '카잔'ㆍ크래픈톤 '인조인' 등내년 신작 MMORPG 획일화 벗어나시뮬레이션 게임 등 다양하게 출시
올해 신작 가뭄에 목 말랐던 국내 게임사들이 2025년에는 대작을 쏟아낼 예정이다.
26일 게임업계에 따르면 게임사들은 내년 출시할 대작 준비에 열을 올리고 있다. 이들이 내년에 선보일 기대작들은 대부분 멀티플랫폼으로 출시되며, 콘솔 플랫폼도 심심
딥인더게임은 게임에 관심이 많은 게이머에게 모든 게임 및 관련 업계 소식을 전하는 코너입니다. 기대작부터 마니아층을 열광하게 하는 작품까지, 게이머들이 관심을 가질만한 소식들로 채워집니다.
게임 업계의 아카데미상으로도 불리는 ‘더 게임 어워드’(TGA) 시상식 개최가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한 해를 마무리하는 과정에 있는 게임업계에서 어떤 게임이 올
키움증권은 20일 펄어비스에 대해 ‘붉은사막’ 지스타 시연으로 게임성을 검증했다고 평가했다. 목표주가(5만7000원)와 투자의견(‘매수’)을 유지했다.
김진구 키움증권 연구원은 “붉은사막 지스타 시연을 통해 확인한 성과는 지스타 모든 출품 라인업 중에서 게임성 기준으로 가장 돋보인 게임이라는 점”이라고 밝혔다.
김 연구원은 “붉은사막은 공방을 중심으
'화려한 액션과 생생한 그래픽'
펄어비스의 차기 대작 '붉은사막(Crimson Desert)'이 국내서 처음으로 베일을 벗었다. 붉은사막은 '블랙스페이스 엔진'으로 개발하고 있는 오픈월드 역할수행게임(RPG)이다. 콘솔 및 PC 플랫폼의 글로벌 동시 출시를 목표로 준비 중이다.
15일 부산 벡스코(BEXCO)에서 열린 국제게임전시회 '지스타(G-ST
‘나 혼자만 레벨업’ 웹툰ㆍ웹소설 지식재산권(IP)를 게임화해 ‘올해의 게임’이라는 영예를 안은 넷마블이 ‘왕좌의 게임:킹스로드’를 통해 IP 요리 맛집 굳히기에 나선다. 자체 IP를 계승한 ‘몬길:STAR DIVE’로는 원작을 뛰어넘는 재미를 선보일 계획이다.
14일 넷마블은 부산광역시 벡스코(BEXCO)에서 열린 지스타(G-STAR) 2024에서
펄어비스는 연결 기준 올해 3분기 영업손실이 92억 원으로 전년 동기(21억 원) 대비 적자 전환했다고 12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은 795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4% 감소했다. 순손실은 78억 원으로 적자로 돌아섰다.
3분기 해외 매출 비중은 80%를 기록하며 글로벌에서 성과를 이어갔다. 플랫폼별로는 PC 76%, 모바일 21%, 콘솔
“왕좌의 게임 원작 드라마의 사실적이고 무게감 있는 콘셉트를 지키기 위해 마법이 난무하는 판타지가 아닌 칼과 도끼 등이 있는 현실적인 액션 역할수행게임(RPG)입니다.”
‘왕좌의 게임: 킹스로드’ 장현일 넷마블네오 개발총괄 PD는 8일 서울 구로구에 위치한 ‘지타워’ 넷마블 사옥에서 열린 ‘지스타 2024 출품작 미디어 시연회’에 앞서 “왕좌의 게임은
웹젠이 3분기 매출 491억 원, 영업이익 96억 원을 기록했다고 7일 공시했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1.8% 증가했으나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4.2% 감소했다.
8월 출시한 ‘뮤 모나크2’의 신작 흥행으로 기존 출시작들의 매출 감소를 일부 상쇄해 매출 증가를 견인했으나, 신작 출시 및 신작 개발 확대에 따른 비용이 영업이익에 영향을 미쳤다.
웹
넥슨이 창사 30주년을 맞아 세계 최장수 MMORPG '바람의 나라'의 정식 후속작 '바람의 나라2'를 선보인다.
강대현 넥슨코리아 공동대표는 30일 경기 성남시 사옥에서 기자 간담회에서 '바람의 나라2' 출시 소식을 알렸다. 강 대표는 넥슨과 슈퍼캣RPG가 협업한 대형 MMORPG(대규모 다중 사용자 온라인 롤플레잉 게임) '프로젝트G'가 '바람의
국내 최대 게임 전시회 ‘지스타 2024’가 한 달 남짓 남은 가운데, 국내 게임사들이 그동안 베일에 싸여 있던 대형 신작의 최초 공개 및 시연을 예고해 개막 전부터 기대감을 고조시키고 있다.
하이브IM이 준비 중인 차세대 초대형 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MMORPG) ‘아키텍트: 랜드 오브 엑자일’을 이번 지스타에서 최초로 공개한다. 이번 신작은 아쿠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