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생산성본부(KPC)가 20여 년간 진행한 'CEO 북클럽'을 'KPC 인문학 여행'으로 새롭게 단장하고, 첫 회 '통찰과 영감'을 28일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시작한다고 10일 밝혔다.
KPC 인문학 여행은 기업이 직면한 복잡한 경영 환경 속 창의·혁신 해법을 모색하도록 돕는다. 올해 총 11회를 진행한다.
기후 위기ㆍ지역 소멸ㆍ세대 갈등…인문학 관점서 조명"일상 속에서 인문 가치를 공유하고 체득하는 프로그램"
문화체육관광부는 한국문화예술위원회와 함께 '길 위의 인문학'과 '지혜학교'에 참여할 인문 프로그램 총 700개를 선정했다. 선정된 프로그램은 5월 말부터 시설별로 운영된다.
17일 문체부에 따르면, 심의를 통해 인문 강연과 체험을 결합한 '길 위
가을빛으로 물든 광화문광장에서 다양한 인문학 강좌를 만날 수 있는 ‘광화문광장 빛모락 강연회’가 열흘 동안 펼쳐진다. 경제, 여행 등 폭넓은 주제로 북토크가 열리고 역사 해설, 캘리그라피 등 시민 참여형 프로그램도 다양하게 운영된다.
서울시는 28일부터 다음 달 6일까지 해치마당 라운지, 사계정원, 광장숲, 놀이마당 등 광화문광장 곳곳에서 15개의 인문
신세계 아카데미가 해외 여행이 그리운 고객들을 위해 특별한 강좌를 준비했다.
신세계백화점의 문화센터인 신세계 아카데미는 다가오는 여름학기에 오페라, 역사 등 다양한 장르와 여행 테마를 결합한 인문학 강좌를 지난 봄 학기보다 2배 이상 늘려 선보인다고 20일 밝혔다.
실제 봄 학기 신세계 아카데미의 여행 관련 강좌는 코로나19의 영향으로 고객들의 폭발적인
포스코에너지는 임직원들에게 ‘랜선 인문학 발전소’ 등 온택트(온라인 비대면 소통)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고 16일 밝혔다.
인문학 발전소는 ‘발전회사의 인문학 강연’이라는 의미와 ‘다양한 강연을 통해 역량을 발전시킨다’는 의미를 동시에 담은 포스코에너지 고유의 인문학 강연 프로그램이다.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도 임직원 간
서울시는 12일 오후 3~5시 광화문시민위원회 시민참여단과 일반 시민을 대상으로 경복궁와 광화문 일대를 걸으며 광화문 역사를 소개하는 '광화문 역사산책'을 운영한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역사산책은 ‘세종로, 국가권력의 시대에서 시민권력의 시대로’를 주제로 전우용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의 해설로 진행된다.
광화문광장을 한 바퀴 도는 경로로
◇가보지 않은 여행기/정숭호 지음/HMG 퍼블리싱/1만3000원
가보지 않고 쓴 여행기라니. 불가능할 것만 같은 일을 해냈다. 저자는 '상상의 촉수'를 뻗쳐 오대양 육대주를 자기 눈앞에 끌어다 놓고 인문학 여행기를 썼다. 책에 소개된 여행지들은 저자가 소설, 여행기, 자서전 등 다양한 책에서 '한 번은 가봤으면'하고 마음먹은 곳들이다.
책은 여행
작가 조승연(37) 씨가 에세이집 '시크하다'를 들고 독자를 만난다. 인터파크도서는 25일 오후 7시 30분 서울 한남동 블루스퀘어 북파크 카오스홀에서 조승연의 북잼 토크 '시크한 프랑스 인문학 여행'을 개최한다고 4일 밝혔다.
'시크하다'는 조 씨가 6년간 프랑스에서 살았던 경험을 바탕으로 프랑스인의 행복에 대한 관점을 다양한 에피소드들과 함께 풀어
경기도교육청(교육감 이재정)은 14일부터 17일까지 ‘학교로 찾아가는 인문학 교실’의 강사 인력풀 시스템을 구축한다.
인문학 교실은 학교가 교육과정 운영과 연계하여 희망 영역을 신청하면, 강사가 학교로 직접 찾아가 인문학 강연을 실시하는 프로그램이다. ‘진정한 나를 찾아 떠나는 인문학 여행’이라는 대주제 아래 문학, 역사, 철학, 문화·예술, 기타 분야의
◇쿠팡, 할로윈데이 기획전 = 쿠팡이 할로윈데이를 맞아 장식용품부터 의상까지 총 500여 종의 다양한 할로윈 상품을 31일까지 선보인다.
쿠팡은 이번 행사에서 실내 및 테이블 장식용품, 사탕 및 포장용품, 파티의상, 화장품 등 다양한 할로윈데이 준비 용품을 손쉽게 고를 수 있도록 추천 상품으로 구성했고, 카테고리 별로 보다 많은 상품을 살펴 볼 수 있
교보생명은 공식 블로그 ‘가족, 꿈, 사랑’의 방문자가 300만 명을 돌파했다고 21일 밝혔다.
교보생명 블로그는 고객들이 원하는 스토리와 콘텐츠를 제공하고 누구나 즐겁게 참여할 수 있도록 꾸며졌다.
특히 2030세대를 위한 취업과 재테크, 인문학, 여행정보, 4050세대를 위한 재무설계, 자녀교육, 건강상식 등 세대별 눈높이에 맞춘 콘텐츠를 제공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