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19일 ‘2023년 지역별 국제수지(잠정)’ 발표대미 경상수지, 상품수지·상품수출·본원소득수지·투자소득수지 역대 1위 기록대중 경상수지, 309억8000만 달러 적자…상품수지도 역대 최대 적자동남아 경상수지, 2년째 감소…반도체 등 중심 상품수지 흑자폭 축소
작년 미국과 중국을 상대로 한 한국의 경상수지가 극과 극을 나타냈다. 대미(對美) 경상수
대중국 경상수지가 21년 만에 적자로 돌아섰다. 한국은행이 어제 발표한 ‘2022년 지역별 국제수지 잠정’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에 대한 경상수지는 77억8000만 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대중국 경상수지가 적자를 보인 것은 2001년(7억6000만 달러 적자) 이후 처음이다.
지난해 대중국 무역수지는 흑자다. 하지만 흑자 폭은 12억1000만 달러에
중국에 대한 경상수지가 2001년 이후 21년 만에 적자로 전환했다. 기계·정밀기기, 석유제품 등의 수출은 감소하고 원자재 등 수입은 증가했기 때문이다.
한국은행이 22일 발표한 '2022년 지역별 국제수지(잠정)'에 따르면 2022년 중국에 대한 경상수지는 77억8000만 달러로 전년(234억1000만 달러) 흑자에서 적자로 전환했다. 312억 달러나
지난해 대(對) 미국 경상수지 흑자규모가 450억 달러에 달하며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다. 대중국 흑자규모는 2018년 이후 3년 만에 전년대비 흑자폭을 늘렸다. 대일적자는 전년보다 확대됐다.
한국은행이 24일 발표한 '2021년 지역별 국제수지(잠정)'에 따르면 대미국 경상수지 흑자규모는 전년 전년대비 121억6000만 달러 증가한 449억6000만 달
지난해 중국과 동남아에 대한 경상수지 흑자폭이 각각 역대최대폭으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반도체값 하락과 미중분쟁이 이어진 때문이다.
반면, 일본에 대한 경상수지 적자폭은 5년만에 가장 큰 폭으로 줄었다. 일본 불매운동과 함께 반도체 수출부진에 따른 반도체 제조장비 수입이 줄어서다.
19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9년중 지역별 국제수지 잠정’ 자료에
지난해 대 미국 경상수지 흑자 규모가 250억달러선을 밑돌며 4년째 축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흑자규모가 줄어든 것은 반길만한 일은 아니나, 최근 미국이 환율보고서를 통해 관찰대상국에서 벗어날 수 있음을 시사한 바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신호로도 해석될 수 있겠다.
중동지역도 건설붐 실종으로 부진을 면치 못했다. 반면 중국은 반도체 등 수출증가와 사드보복조
◇증시 일정
▲TS인베스트먼트 주주총회 ▲네오위즈 합병 ▲CJ IR ▲펌텍코리아 IR ▲조이시티 IR
◇증시 일정
▲오파스넷 주주총회 ▲제이콘텐트리 주주총회 ▲랩지노믹스 IR ▲셀리버리 IR ▲카페24 IR
◇주요 경제지표
▲1분기 기업경영분석
◇증시 일정
▲지스마트글로벌 유상증자 ▲제미니투자 주주총회 ▲
지난해 세계 경기 침체 영향으로 대(對)중국ㆍ미국의 경상수지 흑자폭이 3년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글로벌 운송 물동량 감소로 서비스수지가 대폭 감소한 까닭이다. 중국의 경우 경기 둔화에 따라 화공품과 디스플레이 수출이 감소하며 상품 수지도 크게 악화됐다.
17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5년 중 우리나라의 지역별 국제수지(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지난해 유럽연합(EU)과의 상품수지가 사상 최대의 적자를 기록했다. 수입차 인기와 유로화 약세에 힘입어 유럽차가 국내로 불티나게 수입된 데 따른 것이다.
또 중국과의 상품수지는 악화된 반면 서비스수지는 역대 최대로 집계됐다.
한국은행이 12일 발표한 ‘2014년중 우리나라의 지역별 국제수지(잠정)’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의 전체 경상수지 흑자
지난해 사상 최대 규모의 경상수지 흑자를 달성한 것은 대(對) 동남아, 중국, 미국의 경상흑자가 역대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한 데 따른 것이다. 반면 대 유럽은 처음으로 적자를 기록했고 대 중동도 역대 가장 큰 규모의 적자를 시현했다. 대 일본 경상수지도 적자폭이 확대됐다.
한국은행이 13일 발표한 ‘2013년 우리나라의 지역별 국제수지(잠정)’ 자료에
지난해 우리나라의 대(對)중동 경상수지 적자 폭이 급격히 늘어난 것으로 확인되면서 작년 우리나라의 경상수지가 흑자에서 적자로 돌아섰다.
이는 지난해 국제유가 급등에 따른 원유수입 증가로 원유 도입 단가가 지난해 배럴당 100달러에 육박함에 따라 상품수지 적자 폭이 심화됐기 때문이다.
참고로 국내 원유도입 단가는 지난 2006년 배럴당 62.8달
◆기획재정부
-제14차 위기관리대책회의 개최
-시도 재정협의회 개최
-2009. 5월말 재정집행 현황
◆국토해양부
-기업도시 개발면적기준 완화, 수도권 기업 지방이전 기대
-서울의 녹색심장, 용산공원 아이디어 공모
-'09년 5월 신고분 아파트 실거래가 공개
-장관 제주영어도시 기공식(제주)
◆지식경제부
-'09년도 1/4분기 제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