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생아 수 증가율이 2개월 연속 ‘두 자릿수’를 기록했다. 출생의 선행지표인 혼인 건수도 20%대 증가세를 이어갔다.
통계청은 26일 발표한 ‘10월 인구동향’에서 10월 출생아 수가 2만1398명으로 전년 동월보다 2520명(13.4%) 증가했다고 밝혔다. 9월(10.1%)에 이어 2개월 연속 두 자릿수 증가다. 지역별로는 17개 모든 시·도에서 전
출산현황 등 3대 영역 9개 부문 61개 지표 구성청년층 소득이동성·저출생정책 수요 등 신설가임기 종료 여성 출산율, 가임여성 2배 수준
우리나라 저출생 현황을 종합·체계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통계지표가 마련됐다. 출산현황을 중심으로 결정요인·정책제도 등 3대 영역 하위 9개 부문 61개 지표로 구조화한 것으로, 중년 여성의 평균 출생아 수를 나타내는 코
2023년 육아휴직통계 결과(잠정)육아휴직 19.6만명…저출산 등 영향아빠 육휴 비중 25.7%…엄마는 74.3%아빠는 자녀 7세, 엄마는 0세 때 최다 사용
지난해 저출산 영향으로 육아휴직자가 20만 명을 밑돌면서 처음으로 감소 전환했다. 반면 육아휴직 사용률은 33% 선에 육박하면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통계청이 18일 발표한 ‘2023년 육아휴
분기 합계출산율이 39개분기 만에 증가했다. 다만, 합계출산율 증가를 본격적인 반등세로 판단하긴 이르다. 관건은 합계출산율 증가 흐름을 이어가는 것이다.
통계청 ‘9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3분기 합계출산율은 0.75명으로 전년 동기보다 0.05명 늘었다. 분기 합계출산율이 증가한 건 2015년 4분기 이후 처음이다. 합계출산율은 당분간 증가세를 유지할
올해 3분기 출생아 수가 약 12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다. 통계청이 27일 발표한 인구동향에 따르면 7~9월 출생아 수는 6만1288명으로 1년 전보다 4523명(8.0%) 늘었다. 9월 한 달 동안 2만590명이 태어났다. 올해 7월 이후 3개월째 증가세다. 1년 전과 비교해서는 1884명(10.1%) 늘었다. 합계출산율도 상승곡선이다. 3분기
9월 출생아 수가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하면서 분기 합계출산율이 39개분기 만에 증가했다. 이런 흐름이 이어지면 연간 합계출산율도 9년 만에 반등이 예상된다.
통계청은 27일 발표한 ‘9월 인구동향’에서 9월 출생아 수가 2만690명으로 지난해 9월보다 1884명(10.1%) 증가했다고 밝혔다. 2011년 1월(10.8%) 이후 13년 8개월 만에
출생아 수 23만 명대, 합계출산율 0.72명대...모두 역대 최저치모(母)의 평균 출산 연령 33.6세, 부(父)는 36.1세...역대 최고치모든 시·군·구 대체출산율 하회...출산율 가장 낮은 곳은 부산 중구
지난해 출생아 수가 23만 명으로 역대 가장 적었다. 합계출산율도 0.72명으로 사상 최저치를 기록했다.
28일 통계청은 이런 내용을 담은
前정부 부동산 통계조작 드러나操作·造作 사이 경계 모호하지만‘좋은 통계’로 국민 신뢰 쌓아야
“통계는 맹신해서도 안 되지만 불신해서도 안 된다.” 대학 시절 사회통계 담당교수로부터 들은 첫 교훈이다. “쓰레기가 들어가면 쓰레기가 나온다(garbage in garbage out)는 사실 또한 명심하라”가 뒤를 이었다.
전 정부 시절 부동산 가격 및
급격한 고령화로 지난해 사망자 수가 30만 명을 훌쩍 넘어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반면 출생아 수는 20만 명대에 그쳤고, 사망자가 출생자보다 많아 인구가 자연감소하는 '인구 데드크로스' 현상이 나타났다.
통계청은 27일 발표한 '2021년 사망원인 통계'에서 지난해 총 사망자 수는 31만7680명으로 1년 전보다 4.2%(1만2732명) 증가했다고
아기 울음소리가 끊겼다. 지난해 출생아 수가 26만 명대를 기록하며 사상 최저치를 기록했다. 합계출산율은 역대 최저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꼴찌인 0.81명으로 떨어졌다. 정부는 지난해 46조 원의 저출산 예산을 쏟아부었지만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였다.
통계청은 24일 발표한 '2021년 출생 통계'에서 지난해 출생아 수는 26만
지난해 출생아 수가 26만 명대를 기록하며 사상 최저치를 기록했다. 합계출산율도 역대 최저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꼴찌인 0.81명으로 떨어졌다.
통계청은 24일 발표한 '2021년 출생 통계'에서 지난해 출생아 수는 26만600명으로 1년 전보다 1만1800명(-4.3%) 감소했다고 밝혔다. 이는 1970년 관련 통계 작성 이래 가
국내 이른둥이 생존율이 향상되고 신생아중환자실 전문인력 증가로 신생아중환자실 의료의 질도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하 심평원)은 오는 7월11일 ‘세계인구의 날’을 맞아 지난 2020년 신생아 생존율을 분석한 결과, 신생아 생존율이 전반적으로 향상됐고 신생아중환자실의 의료 질이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고 8일 밝혔다.
매년 7
우리나라 합계 출산율이 지난해 기준으로 전 세계에서 꼴찌를 기록한 가운데, 올해에만 42조 원가량의 예산을 투입한 정부의 저출산 대책이 효과를 못 내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2021년 저출산 대책에는 게임 기업 지원, 폐업예정 소상공인 지원 등 저출산 대책의 목적에 부합하지 않는 사업들이 일부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25일 발표한
이번 주(8월 23~27일)에는 코로나19 4차 유행의 정점이 지속되고 있는 8월의 소비자 및 기업 경기심리를 짐작케 할 최신 경제지표가 발표된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가 열려 기준금리 조정 여부를 결정하고, 성장률과 물가 등에 대한 한은의 수정 전망도 나온다.
한은은 24일(화)과 25일(수) 잇따라 8월 소비자동향 조사결과와 기업경기실사지수
지난해 우리나라 주민등록인구가 통계 작성 이후 사상 처음으로 자연 감소했다. 출생자 수가 사망자보다 적은 일명 '인구 데드 크로스(dead cross)' 현상으로 1년 전보다 인구가 약 2만 명 줄어든 것이다. 이미 세계 최저의 신생아 출산율을 기록한 상황에서, 인구 감소세는 더욱 심화할 것이라는 우려가 존재한다.
주민등록인구 감소한 경우는 사상 처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