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 신뢰 잃고 사라진 관행 ‘리보금리’실거래 기반 아닌 ‘CD금리’도 한계 분명내년 ‘코파’로 지표금리 체계 변경 본격화금리 예측가능성 커져 소비자 후생↑효과
금융은 복잡하고 어렵습니다. 뉴스를 접해 보면 궁금증이 생기기 일쑤죠. 당장 오늘 일어난 일을 설명하기에도 바빠 맥락과 배경까지 꼼꼼히 짚어주는 뉴스는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조금은 과도해도 정보가
지난달 국내 국채금리가 일제히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금융투자협회가 발표한 ‘11월 장외채권 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국내 국채금리는 전 구간에서 전월 대비 큰 폭으로 하락 마감했다.
특히 장기물 금리가 크게 하락했다.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월 말보다 20.4bp(1bp=0.01%포인트(p)) 하락한 2.607%를 기록했는데, 5년물은
금융위-한은 2025년 지표금리 개혁 추진내년 7월부터 금융사 이자율 스왑 거래 시10% '코파' 활용…비중 단계적 상향조정"금융시스템 운영 리스크 관리 위해 중요"
국내 대출과 금융파생상품의 지표금리로 코파(KOFR)를 정착시키기 위한 개혁 작업이 본궤도에 올랐다. 내년 7월부터 4대 은행(KB국민ㆍ신한ㆍ하나ㆍ우리)을 포함한 금융회사들이 이자율 스왑 거
지난달 국내 국채금리가 미국 대선의 영향으로 일제히 상승했다.
8일 금융투자협회가 발표한 ‘10월 장외채권 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우리나라 국채금리는 전 구간에서 전월 대비 상승 마감했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와 우리나라 국채의 파이낸셜타임스스톡익스체인지(FTSE) 세계국채지수(WGBI) 편입 소식 등 채권 강세 요인이 많았던 점과 대조적이다.
지난달 외국인이 국내 채권을 15조 원 가까이 순매수하며 8월에 이어 올해 월간 최고치를 경신했다.
10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9월 외국인 채권거래량은 전월 대비 11조7000억 원 증가한 426조4000억 원을 기록했다. 하루평균 거래량은 전월 대비 3조9000억 원 증가한 23조7000억 원으로 집계됐다.
국채, 특수채, 회사채 거래액은 8월
금융투자협회는 30일 내달 2일부터 내년 9월 30일까지 양도성예금증서(CD) 수익률 산출을 위한 기초자료 제출기관을 선정·발표했다.
금투협에 따르면 이달 1일부터 다올투자증권, 부국증권, 유진투자증권, 한양증권, 한화투자증권 등 기존 5개사와 메리츠증권, 상상인증권, 케이프투자증권, 현대차증권, 흥국증권 등 신규 5개사가 CD 수익률 산출을 위한 기
8월 국내 장외 채권시장에서 외국인 순매수액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9일 금융투자협회가 발표한 장외채권시장동향에 따르면 외국인 투자자는 지난달 국채 7조4000억 원, 통안채 4조2000억 원 등 총 11조6000억 원을 순매수하며 올해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올해 월간 2조~4조 원 수준이었던 외국인 순매수 규모는 8월 초 엔캐리 트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국내 무위험지표금리(KOFR)’ 확산을 위한 3단계 계획을 제시하면서 금융권의 적극적인 동참을 당부했다.
28일 김 부위원장은 한국은행과 자본시장연구원이 공동 주최한 ‘국내 KOFR 활성화를 위한 주요과제 및 향후 추진방향’ 정책 컨퍼런스에 참석해 KOFR 확산을 위한 3단계 계획을 제시했다.
KOFR 확산 3단계 계획
올해 상반기 개인 투자자들의 장외채권을 순매수 규모가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8일 금융투자협회가 발표한 ‘6월 장외채권시장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개인투자자는 국채, 기타금융채(여전채), 회사채 등에 대한 투자 수요가 지속되며 장외채권 3조6000억 원을 순매수했다.
상반기 전체로 보면 개인투자자의 장외채권 순매수 규모는 23조1000억 원으로, 상
한국금융투자협회는 11일 ‘2024년 5월 장외채권시장 동향’을 발표하고, 지난달 채권 발행 규모가 전월 대비 8조6000억 원 감소한 74조5000억 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국채와 통안증권, 금융채, 회사채가 감소한 영향이다.
회사채 발행은 전월 대비 1조9000억 원 감소한 7조 원을 기록했다, 크레딧 스프레드는 축소되었다. 특히 ESG 채
금융투자협회는 10일 ‘2024년 4월 장외채권시장 동향’을 발표하고 지난달 채권 발행규모가 전월 대비 12조1000억 원 증가한 83조4000억 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국채와 통안증권, 금융채가 증가한 영향이다.
회사채 발행은 전월 대비 3000억 원 감소한 8조8000억 원을 기록했다. 회사채 수요예측 금액은 3조1250억 원(총 59건)으
지난달 회사채 수요예측에 목표금액의 5배가 넘는 자금이 쏠렸다.
8일 금융투자협회가 발표한 ‘2024년 3월 장외채권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채권 발행규모는 전월 대비 4000억 원 증가한 71조9000억 원을 기록했다. 국채와 특수채, 통안증권이 증가한 영향이다.
회사채 발행은 전월 대비 5조6000억 원 감소한 9조3000억 원을 기록했다.
KB증권이 ‘KB KIS CD금리투자 상장지수증권(ETN)’을 신규 상장 예정이라고 19일 밝혔다.
‘KB KIS CD금리투자 ETN’은 양도성예금증서(CD, Certificate of Deposit) 3개월물의 투자성과를 추종하는 금리형 상품이다.
지난 2021년 이후 전 세계적으로 시작된 금리인상 기조에 힘입어 국내 대표적인 단기금리 지표인 CD
2월 장외채권 시장에서 회사채 수요 예측과 발행 호조가 이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금리 상승과 영업일 감소에 따라 거래액은 감소했다.
8일 금융투자협회가 발표한 ‘2024년 2월 장외채권시장 동향’에 따르면 2월 회사채 발행은 연초 효과 지속 등의 영향으로 전월 대비 2000억 원 증가한 14조9000억 원을 기록했다.
회사채 수요예측 금액도
키움투자자산운용은 ‘히어로즈 머니마켓액티브’ 상장지수펀드(ETF)를 오는 29일 상장한다고 26일 밝혔다.
히어로즈 머니마켓액티브는 잔존 만기 3개월 이하 채권, 양도성예금증서(CD), 기업어음(CP), 전자단기사채 등에 투자해 단기금융시장의 성과를 추종하는 초단기채권형 ETF다. 잔존 만기 3개월 이내 채권금리와 CD수익률, 잔존 만기 15일 이하
지난달 연초 효과와 겹치면서 회사채 발행과 수요예측 참여 금액, 장외거래량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8일 금융투자협회가 발표한 ‘2024년 1월 장외채권시장 동향’에 따르면 1월 회사채 발행은 전월 대비 12조7000억 원 증가한 14조7000억 원으로 집계됐다. AA등급은 전월 대비 10조1950억 원 늘어난 10조5950억 원 발행됐고, A
지난해 채권금리가 연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통화정책 전환에 대한 기대감으로 하락 마감한 것으로 집계됐다. 더불어 회사채 발행은 늘어나고 미매각은 감소했으며, 개인의 채권투자 증가세가 이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투자협회가 12일 발표한 ‘2023년 장외채권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연말 기준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연 3.154%였다.
지난달 고금리 장기화 전망 등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장외 채권금리가 급등했다.
10일 금융투자협회가 발표한 ‘2023년 10월 장외채권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국고채 3년물 금리는 4.085%로, 전월보다 20.1bp(1bp=0.01%포인트) 상승했다. 같은 기간 5년물은 4.203%, 10년물은 4.325%로 각각 26.1bp, 29.5bp 올랐다
시장상황 반영 여전히 미진...은행 CD발행 여건 개선 및 고시증권사 보상 확대 요구
양도성예금증서(CD)금리 산출방식이 일명 CD+로 변경된지 한달이 지났지만 제도개편 효과는 미미한 것으로 보인다. 여전히 시장상황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2일 채권시장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지난달 2일 CD수익률 산출방식 개편 이후 이달 1일
미래에셋자산운용은 ‘TIGER CD금리투자KIS(합성) 상장지수펀드(ETF)’ 순자산이 7조 원을 돌파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날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전날 종가 기준 TIGER CD금리투자KIS(합성) ETF 순자산은 7조 737억 원이다. 현재 국내에서 순자산 7조원을 돌파한 ETF는 이 ETF가 유일하다.
TIGER CD금리투자KIS(합성) 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