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일 대한건설협회에서 조사·발표한 올 1분기 상장건설사(126개사) 경영성과를 분석한 결과 부채비율, 유동비율 등 안정성 지표는 다소 개선됐지만 영업이익 및 순이익 감소로 수익성이 상당히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안정성 지표의 경우 유동비율이 전년보다 0.6%p 증가한 120.8%를 나타났고 부채비율은 176.4%에서 168.6%로 7.8%p감소해 건설기업의 안정성이 강화됐다.
성장성지표를 보면 국내건설매출이 16조3000억원으로 전년동기에 비해 4.5% 감소했는데 이는 해외부문에 집중하고 있는 일부 대기업과 법정관리 또는 워크아웃 진행중인 기업들의 실적이 부진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총자산과 자기자본은 각각 0.4%, 3.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이는 지난해 일부 대기업의 합병 효과로 인한 것이며 이들 업체를 제외할 경우 4% 이상 감소한 것으로 나타남.
특히 수익성 지표중 매출액영업이익율과 세전순이익율은 각각 1.9%에서 1.6%로, 2.3%에서 1.0%로 악화됐다. 해외에 사업역량을 집중하고 있는 일부 대기업들과 법정관리 또는 워크아웃 진행중인 중견기업들의 실적 악화로 영업이익은 1594억원이 감소한 8465억원, 순이익은 7346억원이 감소한 5353억원으로 나타났다.
또한 건설사들의 이자비용은 감소하였음에도 실적부진에 따른 영업이익 감소폭이 커 이자보상비율(영업손익/이자비용×100)은 107.9%로 전년동기 대비 18.3%p 감소줄었고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조차 감당할 수 없는 100%미만 업체는 46.9%인 59개사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부채비율은 전년동기 대비 7.8%p 감소한 168.6%고 유동비율은 전년동기대비 0.6%p 증가한 120.8%로 다소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자본비율은 37.2%를 기록해 전년대비 1.0%p 늘었다.
이와 관련 건설협회 관계자는 “최근 주택경기 회복세에 따라 건설수주액이 증가하고 있지만 건설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 등의 경영실적은 악화되고 있다”면서 “특히 해외건설 사업에서 발생하는 자금조달 등 리스크 최소화를 위한 업계 노력도 중요하지만 정부의 다각적인 지원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