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폰6S가 월 6000원? 우린 1000원이다”…스프린트, T모바일 파격 요금제에 맞불

입력 2015-09-25 14:0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애플의 신형 스마트폰 ‘아이폰6S’ 시리즈 출시와 함께 미국 이동통신업계의 고객 쟁탈전이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T모바일US가 매월 최소 5달러에 아이폰6S를 임대해주는 요금제를 발표하자마자 경쟁사인 스프린트가 월 1달러에 임대해주는 요금제로 맞불을 놨다고 미국 언론이 25일 보도했다.

스프린트의 마르셀로 클라우레 최고경영자(CEO)는 24일 미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전날 T모바일의 발표를 보고 그를 능가하는 요금제를 내놓으라고 해당 팀에 요구했다”며 “팀원 10명이 밤샘 작업을 해 1달러짜리 임대요금제를 설계했다”고 설명했다.

전날 T모바일US는 아이폰6S를 매월 최소 5달러에 임대해주는 새로운 요금제를 발표했다. WSJ는 이것이 과열되고 있는 미국 이통통신업계의 가격 경쟁에 새로운 일격을 날린 것이라고 지적했다.

T모바일의 요금제는 아이폰6S의 16기가바이트(GB) 버전을 보상 판매하는 휴대전화 가격에 따라 매월 5달러 또는 10달러에 빌려주는 방식이다. 18개월의 임대 기간이 끝나면 이용자는 해당 단말기를 살 수도 있다. 대화면의 ‘아이폰6S 플러스’의 16GB 버전도 최소 9달러에 빌릴 수 있다.

T모바일은 2년간 지속된 가입자 수 성장을 유지하려는 계획인 반면, 스프린트는 가입자 유출에 제동을 걸기 위해 파격 요금제를 마련했다.

스프린트에 따르면 신제품을 1달러에 임대하려면 이전 기종인 아이폰6를 보상 교환해야 하지만 단말기 대금을 완납하지 않으면 불가능하다.

양사의 새 요금제는 애플의 ‘아이폰 업그레이드 프로그램’을 의식한 면도 있다는 지적이다. 애플은 신제품을 출시하면서 월간 32.41달러를 내면 매년 새로운 기종으로 업그레이드하거나 이동통신업체를 바꿀 수 있는 아이폰 업그레이드 프로그램을 발표했다.

이동통신업계는 자사를 거치지 않고 애플로 직행하는 소비자들을 유혹하기 위해 한층 더 파격적인 요금제를 내놓을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웰스파고의 수석 애널리스트 제니퍼 프리체는 “아이폰6s에는 스프린트와 T모바일의 통신 성능을 향상시키는 새로운 기술이 탑재돼 있기 때문에 양사는 새로운 기종의 이용을 촉진해야할 강한 동기가 있다”고 지적했다.

T모바일은 네트워크에 저주파 무선 대역을 추가함으로써 실내와 지방에서의 수신 상태를 개선한다. 아이폰6s는 기존 모델과 달리 이 주파수 대역에 대응한다. 스프린트의 경우 신형 아이폰을 이용하면 데이터 통신 속도가 일부 지역에서 크게 향상되는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이라는 기술에 대응하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필카부터 네 컷까지…'디토 감성' 추구하는 '포토프레스 세대'[Z탐사대]
  • 신생아 특례대출 기준 완화…9억 원 이하 분양 단지 '눈길'
  • 네이버웹툰, 나스닥 첫날 9.52% 급등…김준구 “아시아 디즈니 목표, 절반 이상 지나”
  • 사잇돌대출 공급액 ‘반토막’…중·저신용자 외면하는 은행
  • ‘예측 불가능’한 트럼프에…'패스트 머니' 투자자 열광
  • 임영웅, 레전드 예능 '삼시세끼' 출격…"7월 중 촬영 예정"
  • '손웅정 사건' 협상 녹취록 공개…"20억 불러요, 최소 5억!"
  • 롯데손보, 새 주인은 외국계?…국내 금융지주 불참
  • 오늘의 상승종목

  • 06.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5,753,000
    • +0.27%
    • 이더리움
    • 4,762,000
    • +0.04%
    • 비트코인 캐시
    • 539,000
    • -1.46%
    • 리플
    • 668
    • +0.15%
    • 솔라나
    • 199,600
    • -0.05%
    • 에이다
    • 543
    • -1.63%
    • 이오스
    • 799
    • -3.97%
    • 트론
    • 177
    • +1.72%
    • 스텔라루멘
    • 127
    • -1.55%
    • 비트코인에스브이
    • 62,100
    • -0.96%
    • 체인링크
    • 19,140
    • -4.01%
    • 샌드박스
    • 460
    • -3.1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