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ㆍ대만, 66년 만에 첫 양안 정상회담…시진핑 “피는 물보다 진하다”

입력 2015-11-07 18:2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시 주석 “우리는 형제”…마잉주, 핫라인 설치 등 5가지 제안

▲시진핑(맨 앞 오른쪽) 중국 국가주석과 마잉주(맨 앞 왼쪽) 대만 총통이 7일(현지시간) 싱가포르에서 정상회담을 하고 있다. 싱가포르/AP뉴시스
▲시진핑(맨 앞 오른쪽) 중국 국가주석과 마잉주(맨 앞 왼쪽) 대만 총통이 7일(현지시간) 싱가포르에서 정상회담을 하고 있다. 싱가포르/AP뉴시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마잉주 대만 총통이 7일(현지시간) 싱가포르 샹그릴라 호텔에서 역사적인 정상회담을 가졌다. 특히 시 주석은 이번 회담에서 중국과 대만은 한민족이라는 점을 거듭 강조하며 양안 문제에 미국 등 다른 나라가 끼어드는 것을 경계했다고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이 보도했다.

회담은 이날 우리나라 시간으로 오후 4시께 시작됐으며 시 주석과 마 총통은 기자들 앞에서 활짝 웃으며 굳게 악수를 한 뒤 회담장에 들어갔다.

시 주석은 마 총통에게 “어떤 세력도 우리를 갈라놓을 수 없다”며 “우리는 한가족”이라고 강조했다. 마 총통은 “양측은 서로의 가치와 삶의 방식을 존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중국과 대만, 즉 양안 정상이 직접 대면해 회담을 치른 것은 지난 1949년 분단 이후 66년 만에 처음이다. 이번 회담으로 양안은 새 역사를 쓰게 됐다.

일본 교도통신에 따르면 이번에 비공개로 치뤄진 회담에서 두 정상은 1992년 합의한 ‘하나의 중국’ 원칙을 재확인했다. 또 각각 국가원수 신분으로 서로를 양안의 지도자로 인정했다. 그동안 양안 사이에서는 공산당과 국민당 영수 자격으로 지난 10년간 7차례 접촉이 있었으나 국가원수 간의 만남은 없었다.

정상회담 모두 발언에서 시 주석은 “우리는 뼈와 살이 터져도 끊을 수 없는 형제이며 피로 이어진 가족”이라며 “양안의 지난 66년 역사는 그 어떤 비바람도 우리를 갈라놓을 수 있는 것은 없다는 것을 증명했다. 피는 물보다 진하다”고 강조했다.

시 주석은 그동안 양안의 군사적 대치와 왕래가 단절됐을 당시의 상처와 안타까움 등을 거론하고 마잉주 총통 재임 7년 동안 발전된 양안 관계를 칭찬했다. 특히 시 주석은 “양안 중국인은 자신의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과 지혜가 있다는 점을 행동으로 증명해야 한다”고 강조해 미국을 견제했다고 신문은 풀이했다.

마 총통은 “지난 7년간 양안이 모두 23건의 협정을 체결했고 4만여 명의 학생 교류가 있었으며 매년 800만명 관광객이 왕래하고 무역규모는 1700억 달러(약 194조원)에 달한다”며 양안 교류 성과를 구체적으로 소개했다.

이어 그는 ▲ 하나의 중국 원칙 공고화 ▲ 적대상태 완화와 분쟁의 평화적 처리 ▲ 양안교류 확대 ▲ 양안 핫라인 설치 ▲ 공동 중화문화 진흥 등 5가지 방안을 제안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화제성 떨어지는 아시안게임, 'Z세대' 금빛 질주가 기 살렸다 [이슈크래커]
  • 단독 4대궁·종묘 관람객 지난해 1300만 '역대 최대'…외국인 첫 300만 돌파
  • '최강야구' 클로징, 하와이 전지훈련 확정…이번 시즌 MVP는?
  • 트럼프, 철강·알루미늄 관세 25% 부과 발표…“반도체·자동차도 검토”
  • 국내주식, 어디다 투자해야 할지 모르겠다면…국민연금 포트폴리오 참고해볼까 [경제한줌]
  • "대전 초등생 피습 가해교사, 교육청 현장 지도 나간 당일 범행"
  • 단독 첨단학과 '수도권 쏠림’ 사실로...경쟁률 지방의 3배 이상 [첨단인재 가뭄]
  • '2025 정월대보름' 부럼과 오곡밥을 먹는 이유 [그래픽 스토리]
  • 오늘의 상승종목

  • 02.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6,029,000
    • -0.87%
    • 이더리움
    • 4,017,000
    • -0.77%
    • 비트코인 캐시
    • 506,000
    • +1%
    • 리플
    • 3,702
    • +0.46%
    • 솔라나
    • 301,200
    • -2.18%
    • 에이다
    • 1,175
    • +10.43%
    • 이오스
    • 953
    • -1.65%
    • 트론
    • 371
    • +1.64%
    • 스텔라루멘
    • 493
    • +2.92%
    • 비트코인에스브이
    • 60,000
    • -0.33%
    • 체인링크
    • 28,650
    • +0.67%
    • 샌드박스
    • 601
    • +0.3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