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트럼프, 철강·알루미늄 25% 관세 행정명령…수출 3~4위 한국 초비상

입력 2025-02-11 14:57 수정 2025-02-11 18:1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내달 12일 발효…“모든 국가 예외나 면제 없어”
한국 무관세 철강 263만 톤도 포함될 듯
자동차·반도체·의약품 관세 가능성도 시사
US스틸 인수 건 관련 “아무도 지분 과반 가질 수 없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0일(현지시간) 백악관 집무실에서 철강과 알루미늄 수입품에 대한 25% 관세 부과 행정명령에 서명하고 나서 이를 들어보이고 있다. 워싱턴D.C./UPI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0일(현지시간) 백악관 집무실에서 철강과 알루미늄 수입품에 대한 25% 관세 부과 행정명령에 서명하고 나서 이를 들어보이고 있다. 워싱턴D.C./UPI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이 수입하는 전 세계 모든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다. 대미 수출 상위권에 있는 한국이 당장 타격을 받을 위기에 놓였다.

10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철강과 알루미늄 관세 부과를 골자로 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행정명령에는 알루미늄 관세율을 기존 10%에서 25%로 인상하고 국가·제품별 면세와 쿼터제 등을 폐지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트럼프 1기 시절인 2018년 철강에 25%, 알루미늄에 10% 관세를 각각 부과하는데 근거가 된 무역확장법 232조의 연장선으로, 그때와 차이가 있다면 알루미늄 관세율을 높이고 예외 조항을 없앴다는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서명 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기본적으로 우린 예외 없이 모든 알루미늄과 철강에 25% 관세를 부과할 것이다. 어디에서 오든 모든 국가가 그렇다”며 “이는 많은 기업이 미국에서 문을 열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이후 백악관은 성명을 내고 “내달 12일 0시 1분부터 기존 관세 효력을 중단하고 한국과 일본 등에 새로운 관세를 부과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미 상무부 국제무역청(ITA)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대미 철강 수출액은 29억 달러(약 4조 원)에 달한다. 이는 캐나다, 멕시코, 브라질에 이어 전체 네 번째다. 알루미늄의 경우 한국이 7억8000만 달러어치를 판매해 캐나다, 아랍에미리트(UAE)에 이어 세 번째를 기록했다. CNBC방송은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정책을 강행하면 한국 등이 타격받을 가능성이 큰 국가에 속한다”고 짚었다.

게다가 트럼프 대통령이 기존 면세와 예외에 대해서도 일괄 폐지를 선언함에 따라 그간 무관세를 적용받던 철강 263만 톤(t) 수출물량도 위협을 받게 됐다. 로이터통신은 “한국, 캐나다, 브라질, 멕시코 등에서 쿼터제를 통해 무관세로 미국에 수입되던 수백만 톤의 철강·알루미늄 제품 관세율이 다시 25%로 인상될 예정”이라고 전했다.

이처럼 트럼프 대통령은 철강 산업에 관해 강경한 태도를 보인다. 지난주 열린 미·일 정상회담에서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1조 달러에 달하는 선물 보따리를 챙겨왔는데도 트럼프 대통령은 일본제철의 US스틸 인수를 재차 반대했다. 그는 7일 이시바 총리와의 공동 기자회견에서 “일본제철은 US스틸을 완전히 소유하는 대신 대규모 투자를 할 것”이라고 밝힌 데 이어 이날 다시 “아무도 지분 대부분을 가질 수 없다”며 “US스틸은 부활할 수 있다고 믿는다”고 강조했다.

일본도 비상이다.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추가 관세는 1기 정부 때 도입돼 조 바이든 전 정권에서도 이어졌지만, 그땐 과세를 면제하는 예외조치도 많았다”며 “이런 예외조치를 중지함으로써 일본 제품도 대상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우려했다.

미국의 상호관세도 이번 주 발표될 예정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상호관세도 이틀 안에 발표될 수 있다”며 “자동차와 반도체, 의약품과 다른 잠재적인 부문에 대한 관세도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상대국 보복에 대해 신경 안 쓴다”고 덧붙였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폭스뉴스와 인터뷰에서 최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통화했다는 사실을 밝혔다. 그는 ‘취임 후 중국 지도자와 통화한 적 있느냐’는 질문에 “그렇다”며 “우린 사적으로 매우 좋은 관계를 맺고 있다”고 답했다. 통화가 언제 이뤄졌는지, 어떤 내용이 오갔는지는 공개하지 않았다. 다만 정치 전문매체 더힐은 두 정상 간 통화가 대중국 관세를 부과한 후 이뤄졌음을 시사하는 것일 수 있다고 짚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화제성 떨어지는 아시안게임, 'Z세대' 금빛 질주가 기 살렸다 [이슈크래커]
  • 단독 4대궁·종묘 관람객 지난해 1300만 '역대 최대'…외국인 첫 300만 돌파
  • '최강야구' 클로징, 하와이 전지훈련 확정…이번 시즌 MVP는?
  • 트럼프, 철강·알루미늄 관세 25% 부과 발표…“반도체·자동차도 검토”
  • 국내주식, 어디다 투자해야 할지 모르겠다면…국민연금 포트폴리오 참고해볼까 [경제한줌]
  • "대전 초등생 피습 가해교사, 교육청 현장 지도 나간 당일 범행"
  • 단독 첨단학과 '수도권 쏠림’ 사실로...경쟁률 지방의 3배 이상 [첨단인재 가뭄]
  • '2025 정월대보름' 부럼과 오곡밥을 먹는 이유 [그래픽 스토리]
  • 오늘의 상승종목

  • 02.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8,200,000
    • +0.03%
    • 이더리움
    • 4,089,000
    • +1.59%
    • 비트코인 캐시
    • 512,000
    • +1.49%
    • 리플
    • 3,762
    • +2.23%
    • 솔라나
    • 306,500
    • -1.22%
    • 에이다
    • 1,208
    • +13.64%
    • 이오스
    • 974
    • +0.21%
    • 트론
    • 376
    • +4.44%
    • 스텔라루멘
    • 504
    • +4.56%
    • 비트코인에스브이
    • 61,200
    • +2.43%
    • 체인링크
    • 29,430
    • +3.41%
    • 샌드박스
    • 611
    • +3.2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