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발 ‘카-플레이션’ 재점화…미국 신차 값 900만 원 오른다

입력 2025-02-11 16:3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멕시코ㆍ캐나다 360만 대 수입해
미국 전체 신차 시장 점유율 22%
관세 부과하면 평균 6250달러 올라
S&P "6~8주 사이 관세 혼돈 우려"

▲주요 완성차 제조사의 북미 생산과 비율 추이.  (출처 S&P 글로벌 모빌리티)
▲주요 완성차 제조사의 북미 생산과 비율 추이. (출처 S&P 글로벌 모빌리티)

관세를 앞세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보호주의 무역 전쟁’이 본격 시작한 가운데 미국 자동차 가격이 오르는, 이른바 ‘카-플레이션’이 재점화할 것으로 관측된다. 주요 시장분석 기관은 미국 이외 생산 신차 가격이 평균 6250달러, 약 900만 원 인상될 수 있다고 진단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0일(현지시간) 발표한 철강ㆍ알루미늄 25% 관세에 서명하며 자동차와 전자ㆍ의약품 관세도 언급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앞으로 몇 주간 반도체와 자동차ㆍ의약품에 대해서도 들여다볼 것”이라며 “자동차는 매우 크고 중요한 것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2024년에 미국이 캐나다와 멕시코에서 수입한 자동차는 360만 대 수준. 이는 미국에서 판매된 모든 신차의 22%에 달한다.

앞서 'S&P 글로벌 모빌리티(S&P)'는 4일 미국 이외에서 생산한 신차의 경우 관세 영향으로 평균 6250달러 인상이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S&P는 ‘자동차 관세 25%’와 관련해 “멕시코와 캐나다에서 수입한 신차 평균 가격(약 2만5000달러)에 25%의 관세를 부과하면 인상분은 약 6250달러가 된다”라며 “완성차 회사는 관세로 인한 차 가격 인상의 대부분(또는 전부)을 소비자에게 전가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특히 멕시코 생산분의 경우 가격이 낮은 중·소형차에 집중돼 있다. 값싼 중·소형차의 경우 생산 단가를 낮추기 위해 인건비가 싼 멕시코에서 생산한다. 이를 미국 현지로 이송하면서 마진율을 확보하는 방식이었다.

실제로 기아 멕시코 몬테레이 공장에서는 3세대 포르테와 4세대 리오(프라이드) 등 소형차를 생산해 북미에 팔았다. 한때 현대차의 북미용 소형차 엑센트 역시 이곳에서 생산했다. 가격이 낮은 소형차인 만큼, 인건비가 싼 멕시코를 선택한 셈이다.

반면 멕시코를 상대로 25% 관세가 이어지면 차 가격도 인상분을 반영해 인상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 경우 가격경쟁력을 상실하면서 시장의 혼돈이 우려된다.

GM과 스탤란티스의 픽업트럭, 일본 도요타의 인기 SUV인 RAV4도 캐나다 또는 멕시코에서 생산하는 만큼, 차 가격 인상을 피할 수 없게 된다.

미국에 조립공장을 둔 경우도 제한적이지만 여파를 피할 수 없다. 포드 F-시리즈 픽업트럭의 경우 미시간과 미주리 등에서 생산하지만, 엔진은 캐나다에서 가져온다. 일본 제조사 마쓰다 역시 주력 모델 CX-50 등의 엔진을 멕시코에서 생산해 수입한다. 차 가격에서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하는 핵심 부품을 캐나다와 멕시코에서 들여오면, 이 경우에도 제한적이지만 가격 인상이 불가피하다.

결국, 미국 브랜드는 물론, 미국에 진출한 글로벌 자동차 기업들은 관세 영향을 덜 받는 차종을 중심으로 생산을 확대하며 대응할 수밖에 없다.

S&P는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반도체 부족과 생산 차질 등으로 차 가격이 크게 올랐던 현상이 재현될 가능성이 커졌다”라며 “관세 영향을 직접 받은 자동차는 생산 계획을 축소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 과정에서 ‘프리 캐리어 인코텀즈(Free Carrier Incoterms)’, 즉 부품 거래 과정에서 발생하는 책임과 비용, 위험을 표준화한 국제표준 무역규칙을 놓고 갈등이 불거질 우려도 공존한다.

다만 미국발 자동차 관세 전쟁이 지속하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단가가 비싼 자동차의 경우 관세로 인한 파급이 자칫 산업계 혼란으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자동차 관세 문제는 빠르게 해결될 수도 있다.

S&P는 조심스럽게 “자동차 관련 관세 1~2주 동안 지속하고 빠르게 해결될 가능성이 60% 수준”이라며 “자동차 제조사의 생산 손실과 단기 OEM 생산 중단 등이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장기적인 혼란에 대한 우려도 내놨다. S&P는 “자동차 관세가 해결되기까지 6~8주 동안 혼돈이 이어질 가능성도 30% 수준”이라며 “제조사는 관세 대상 차종의 생산을 늦추거나 중단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화제성 떨어지는 아시안게임, 'Z세대' 금빛 질주가 기 살렸다 [이슈크래커]
  • 단독 4대궁·종묘 관람객 지난해 1300만 '역대 최대'…외국인 첫 300만 돌파
  • '최강야구' 클로징, 하와이 전지훈련 확정…이번 시즌 MVP는?
  • 트럼프, 철강·알루미늄 관세 25% 부과 발표…“반도체·자동차도 검토”
  • 국내주식, 어디다 투자해야 할지 모르겠다면…국민연금 포트폴리오 참고해볼까 [경제한줌]
  • "대전 초등생 피습 가해교사, 교육청 현장 지도 나간 당일 범행"
  • 단독 첨단학과 '수도권 쏠림’ 사실로...경쟁률 지방의 3배 이상 [첨단인재 가뭄]
  • '2025 정월대보름' 부럼과 오곡밥을 먹는 이유 [그래픽 스토리]
  • 오늘의 상승종목

  • 02.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7,870,000
    • +0.22%
    • 이더리움
    • 4,065,000
    • +1.6%
    • 비트코인 캐시
    • 515,000
    • +3.04%
    • 리플
    • 3,756
    • +2.74%
    • 솔라나
    • 305,900
    • -0.58%
    • 에이다
    • 1,225
    • +16.22%
    • 이오스
    • 974
    • +1.46%
    • 트론
    • 376
    • +4.16%
    • 스텔라루멘
    • 507
    • +6.51%
    • 비트코인에스브이
    • 61,250
    • +3.55%
    • 체인링크
    • 29,340
    • +4.12%
    • 샌드박스
    • 613
    • +4.6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