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또 김 원장은 내년 하반기 부동산발 위기가 올 가능성이 높다며 부실기업 구조조정 대처를 잘 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김광두 원장은 이날 국가미래연구원 홈페이지에 '구조조정, 새 해법을 찾아야 한다'는 성명서를 올렸다. 여기에는 진보-보수, 인문·사회·이공계, 금융전문가 등 지식인들이 두루 참여했다.
김 원장은 이투데이와 전화 통화에서 "부실기업 구조조정이 제대로 안 되면 큰일인데 정부가 제대로 못하고 있는 것 같다"며 "지식인들이 이럴 때 뭔가 얘기를 해야 하지 않겠느냐고 해서 의견을 모았다"고 설명했다.
김 원장은 특히 부실기업 구조조정을 위한 컨트롤타워가 보이지 않는다는 점을 지적했다.
그는 "TF로는 안 된다. 청와대 서별관회의가 제대로 작동하지 하는데, 모든 걸 책임지라고 할 순 없다. 거기 계신 분이 위험 감수하고 뭘 하겠다 이런 정신은 잘 안 보인다. 공무원들은 미래 생각하며 사는 사람들이다"고 말했다.
김 원장은 "바람직한 것은 대통령이 어느 조직이든 전권을 준다. 책임자가 전권을 가져라 다 협조해라 이런 공개적 언급이 필요하다. 어차피 정치적 책임은 분명히 대통령에게 있다"고 강조했다.
김 원장은 최근 한국경제가 IMF 때보다 더 나쁘다고 지적하는 지식인 중 하나다.
김 원장은 "우리 경제가 내년에 좋아질 것이라고 보는 것은 소수의 의견"이라며 "잘해야 올해와 비슷하다"고 밝혔다.
특히 김 원장은 "구조조정이 제대로 안 되고 내년 하반기에 작년 하반기에 분양한 아파트 입주가 시작하는데 과잉공급이 됐다는 주장이 있다" 며 "그 주장이 맞다면 내년 하반기에 가계부채와 금융부실이 크게 터질 수 있다"고 걱정했다.
김광두 원장은 박근혜 대통령의 경제 가정교수로 불린다. 박 대통령 임기 내내 개각설에 이름을 올리지만 정작 본인은 관심이 없다. 국가미래연구원이라는 개혁적 보수성향의 민간 싱크탱크를 꾸려 원장으로 있다.
김 원장은 광주제일고, 서강대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하와이대에서 경제학박사학위를 받았다. 서강대 경제학부 교수,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위원, 한국국제경제학회장, 민간미래전략위원회 위원장 등을 역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