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경기둔화·고령화에 연금위기 불안 고조

입력 2016-11-04 10:0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현재 중국 연금시스템, 약 8명이 노인 1명 부양…2050년은 두 명이 책임져야 해

중국이 경기둔화와 고령화 가속화로 연금위기를 맞을 것이라는 불안이 고조되고 있다.

세계은행(WB)이 유엔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현재 중국 연금시스템은 약 8명의 근로자가 65세 이상 노인 한 명을 부양하는 구조이지만 오는 2050년에는 그 비율이 두 명으로 줄어들 것으로 예상됐다고 3일(현지시간)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했다.

낮은 은퇴연령과 35년간 지속됐던 한 자녀 정책은 중국을 인구학적인 곤경으로 몰아넣었다고 WSJ는 지적했다. 중국 정부는 올해 두 자녀 정책을 도입했지만 가라앉은 출산율을 끌어올리기에는 역부족일 것으로 전문가들은 내다봤다.

또 중앙정부가 사회안전망 강화를 내세우고 있지만 연금을 담당하는 각 지방정부들은 위기에 처한 산하 국영기업을 살리고자 연금 지급 의무를 뒤로 미루도록 허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헤이룽장성은 룽메이광업이 망해 20만 근로자가 하루 아침에 일자리를 잃어버릴 위기에 처하자 지난해 2억9800만 달러(약 3400억 원) 구제금융을 집행하고 연금 납입 연기를 허용했다.

허술한 연금시스템 관리도 문제다. 중국 선양의 철도 엔지니어인 자오중하오는 WSJ와의 인터뷰에서 “연금 서류 상에는 매월 내가 불과 2.8위안을 연금보험료로 납입한 것으로 돼 있다. 그러나 실제 월급명세서에는 그 두 배의 금액이 보험료로 나갔다”며 “이에 당초 내가 예상했던 연금보다 15% 또는 그 이상 덜 받게 됐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그의 직장인 중국철로총공사는 지난 2002년 이후 210만 명 근로자 가운데 40만 명이 퇴직했으며 수년간 적자에 허덕이고 있다. 지난 1월 하얼빈에서는 1000명 이상의 철도 근로자와 은퇴자들이 거리에 나가 연금과 월급을 제대로 못 받고 있다며 시위를 벌이기도 했다.

리커창 중국 총리는 지난 3월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기자회견)에서 “중국은 지난해 연금이 503억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며 연금위기 우려 달래기에 나섰다. 그러나 정부 싱크탱크인 사회과학원은 오는 2023년에 연금이 적자로 돌아설 것이라고 경고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해외직구 ‘어린이 장화’서 기준치 최대 680배 발암물질 검출
  • 국적 논란 누른 라인야후 사태…'매각 불씨'는 여전히 살아있다
  • 단독 재무 경고등 들어온 SGC이앤씨, 임원 급여 삭감하고 팀장급 수당 지급정지
  • '나는 솔로' 이상의 도파민…영화 넘어 연프까지 진출한 '무당들'? [이슈크래커]
  • [글로벌마켓 모닝 브리핑] S&P·나스닥, 또 사상 최고치…테슬라, 6%대 폭등
  • 남원 초중고교 식중독 의심환자 무더기 발생…210여 명 증상
  • 임영웅, 광고계도 휩쓸었네…이정재·변우석 꺾고 광고모델 브랜드평판 1위
  • 편의점 만족도 1위는 'GS25'…꼴찌는? [데이터클립]
  • 오늘의 상승종목

  • 07.04 11:40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3,734,000
    • -3.18%
    • 이더리움
    • 4,579,000
    • -3.8%
    • 비트코인 캐시
    • 514,500
    • -2.56%
    • 리플
    • 650
    • -4.41%
    • 솔라나
    • 193,500
    • -9.49%
    • 에이다
    • 564
    • -4.08%
    • 이오스
    • 779
    • -4.06%
    • 트론
    • 182
    • +0%
    • 스텔라루멘
    • 126
    • -3.08%
    • 비트코인에스브이
    • 58,050
    • -6.22%
    • 체인링크
    • 18,870
    • -6.17%
    • 샌드박스
    • 433
    • -5.2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