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9대책 발표 이후 부산지역의 아파트 값 상승세가 둔화되고 있다.
한국감정원이 6일 발표한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7월 첫째 주 부산의 아파트 매매가격은 평균 0.05% 상승했다. 지난 5월부터 6·19대책이 발표되기 직전(6월 2주)까지 줄곧 평균 0.1%대 상승률을 기록했던 것을 감안하면 상승률이 절반으로 뚝 떨어졌다.
지역별로는 부산 내 청약조정 대상 7곳(해운대, 연제, 수영, 동래, 남, 부산진, 기장군)의 상승률이 계속 떨어지고 있는 데 반해 그 외 지역은 꾸준히 오름세를 유지, 지역별 양극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6월 4주 기장군의 아파트 매매가격 변동률은 0.07%에서 0.02%로 전주 대비 0.05%p 하락했다. 주간 하락폭으로는 6월 들어 가장 컸다. 부산진구 역시 정부가 부동산 규제 시그널을 보내기 시작한 5월 마지막 주 이후 6월 1주 0.16%, 6월 2주 0.16%, 6월 3주 0.13%, 6월 4주 0.10%로 줄곧 상승세가 둔화되고 있다. 2곳 이외에도 청약조정 대상 지역인 동래구, 해운대구, 남구, 연제구, 수영구 역시 부산 평균 상승률에 못 미치는 수준이다. 특히 남구는 5월 4주 0.49%까지 올라갔지만 상승폭을 줄이며 6월 4주 -0.03%로 하락 반전했다.
그러나 조정 대상에 포함되지 않은 지역들은 오름세를 유지하고 있다. 특히 서부산권(북구, 강서구, 사상구, 사하구)은 평균 0.11% 상승해 6·19대책 이후 꾸준히 오르고 있다.
강서구의 경우 6월 3주 보합세로 떨어졌다가 마지막 주엔 반등해 0.11% 상승, 부산지역에서 가장 많이 올랐다. 사하구도 6월 2주 0.06%, 6월 3주 0.07%, 6월 4주 0.13%로, 꾸준히 오름세를 이어가고 있다.
권일 부동산인포 리서치 팀장은 “이번 규제에서 제외된 지역들이 반사이익 효과를 본 것으로 분석된다”며 “다만 분양시장의 경우 기장군과 부산진구가 워낙 강세를 보이던 지역인데다, 부산의 경우 조정대상 지역으로 지정돼도 전매 제한 규제에는 빗겨나 있어 청약률이 현저하게 떨어지진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