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톡&피플] “공매도, 기관 전유물 아냐… 개인도 같은 무대서 경쟁 가능”

입력 2017-07-11 10:3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공매도 플랫폼 ‘QV아이셀렉트’ 총괄 이태윤 NH투자증권 대안상품개발부장

▲이태윤 NH투자증권 대안상품개발부장
▲이태윤 NH투자증권 대안상품개발부장
“그동안 공매도는 기관의 전유물이었던 게 사실입니다. 하지만 공매도 플랫폼을 통해 이제 개인도 헤지펀드와 같은 무대에서 플레이할 수 있게 됐습니다.”

공매도 플랫폼인 ‘QV아이셀렉트(iSelect)’를 총괄하는 이태윤 NH투자증권 대안상품개발부장은 “아이셀렉트는 개인이 기관투자가의 자격으로 참여하는 것”이라면서 이같이 설명했다.

NH투자증권이 2월 내놓은 ‘QV아이셀렉트(iSelect) 롱숏플랫폼200’은 투자원금의 100%까지 레버리지를 일으켜 50대 50 비율로 ‘롱(long)’, ‘쇼트(short)’ 투자를 할 수 있다. 모바일과 롱쇼트 플랫폼을 조합해 개인이 스마트폰 앱으로 국내 증시는 물론, 미국이나 홍콩 등에 상장된 주식과 상품을 직접 포트폴리오 구성하면 NH투자증권에서 이를 기초로 ELS와 DLS를 발행하는 방식이다. 주식위탁계좌에서는 쇼트가 안 되니, 쇼트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파생결합증권의 기초자산으로 넣는 방법으로 생각을 해낸 것이다.

이 부장은 롱쇼트전략을 잘만 활용하면 시장의 등락과 상관없이 안정적인 수익을 가지고 갈 수 있다고 강조했다. 상승하는 주식만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두 주식의 차이, 같은 방향성을 가더다도 스프레드만 벌어진다면 안정적으로 수익을 낼 수 있다는 점이 포인트다.

그는 “삼성생명과 한화생명 두 종목을 길게 보면 삼성생명이 훨씬 많이 올랐다”면서 “하지만 장이 빠지면 두 종목이 같이 빠진다. 삼성 롱에 한화 쇼트, 이렇게 두 개를 롱쇼트 하고 있으면 장이 오르건 빠지건 두 회사의 주가가 차이가 나니, 수익률을 얻을 수 있는 논리”라고 설명했다.

다만 아직까지 국내 종목에 대한 공매도로 접근하는 투자자가 많다는 점은 향후 극복해야 할 과제다. 이 부장은 “롱쇼트라는 개념이 개인투자자에게는 아직 어려운 것 같다”며 “지난 봄 대선 테마주가 기승을 부릴 당시 테마주에 대한 쇼트포지션으로 높은 수익률을 얻은 투자자도 있지만, 앞으로는 롱쇼트포지션을 통해 시장의 방향성과 무관하게 안정적인 수익을 가지고 갈 수 있다는 데 주목해야 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플레이브가 방송 못 나온다고?"…때아닌 버추얼 아이돌 논란, 왜? [이슈크래커]
  • '김새론 사망'에 악플러들 비판…"악플 문제, 제도장치 마련해야"[이슈크래커]
  • 금 뜨자 주목받는 은…"아직 저렴한 가격"
  • 단독 ‘백약이 무효’ 작년 상반기 보험사기액 6028억…올해 최대치 경신 전망
  • 상승 재료 소진한 비트코인…9만6000달러 선에서 횡보 [Bit코인]
  • [날씨] 다시 찾아온 '추위'…아침 최저 -8도
  • 트럼프 “러·우 둘다 싸움 멈추길 원해…푸틴과 매우 곧 만날 것”
  • 월세 내기 빠듯한 청년들 위한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 제도, 신청 자격은? [경제한줌]
  • 오늘의 상승종목

  • 02.1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5,541,000
    • -0.36%
    • 이더리움
    • 4,229,000
    • +4.37%
    • 비트코인 캐시
    • 502,000
    • +0.62%
    • 리플
    • 4,088
    • -0.15%
    • 솔라나
    • 278,400
    • -2.86%
    • 에이다
    • 1,237
    • +7.19%
    • 이오스
    • 978
    • +2.41%
    • 트론
    • 369
    • +1.37%
    • 스텔라루멘
    • 520
    • +0.78%
    • 비트코인에스브이
    • 60,500
    • +1.09%
    • 체인링크
    • 29,520
    • +3.98%
    • 샌드박스
    • 616
    • +4.0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