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21일 오후 재단법인 공공상생연대기금 관계자와 비정규직 처우개선·일자리 창출에 앞장선 노사대표를 청와대로 초청해 개최한 '상생연대실천 노사와의 만남' 행사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연합뉴스)](https://img.etoday.co.kr/pto_db/2017/12/20171221143337_1167033_580_413.jpg)
문 대통령은 이날 오후 재단법인 공공상생연대기금 관계자와 노사 대표를 청와대로 초청해 가진 ‘상생연대실천 노사와의 만남’ 행사에서 이같이 말했며 “그러기 위해 조금씩 양보하고, 짐을 나누고, 격차를 줄여가는 사회적 대타협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정부도 사회적 대화 활성화와 상생연대를 위해 책임 있는 역할을 다하겠다”며 “중단된 사회적 대화 체제를 다시 가동하고 활성화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러면서 문 대통령은 “모든 이해 관계자들이 서로 소통하고 연대할 수 있는 틀이면 함께하겠다”며 “형식에 구애 받지 않고 전국적 단위의 사회적 대화는 물론, 산업과 업종, 지역단위에서 진행되는 다양한 형태의 사회적 대화도 적극 지원하겠다”고 의지를 나타냈다. 또 문대통령은 “산별 교섭을 제도화하는 노력도 해나가겠다”고 덧붙였다.
특히 문 대통령은 “공공부문에서는 정부가 가장 ‘모범적인 사용자’가 되겠다는 생각으로 더 책임 있게 임하겠다”며 “ 한국토지주택공사가 기간제 근로자 1,261명의 정규직 전환을 결정했고 전북대병원, 경기도, 광주 광산구에서도 정규직 전환의 기쁜 소식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비정규직을 줄이고,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의 차별과 격차를 줄여나가는 것은 우리 사회가 함께 마음을 모아야할 가장 중요한 시대적 과제다”며 “공공부문부터 성과를 내기 위해서 더 속도감 있게 실천해 가겠다”고 말했다.
아울러 문 대통령은 “정부의 가장 기본적인 역할은 공정하고 정의로운 사회를 만드는 것이다”며 “문재인 정부가 추구하는 정의는 차가운 정의가 아니라 따뜻한 정의로 사회 구성원들이 연대하며 상생할 수 있어야 한다”고 부연했다.
이어 문 대통령은 “우리 정부는 노동계가 국정운영의 파트너라는 확고한 인식을 가지고 있다”며 “노동존중사회 실현을 중요한 국정 목표로 삼고 있다”고 재차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노동계와 경영계까지 함께 하는 상생 속에서만 해낼 수 있는 일이다”며 “경영계에서도 궁극적으로는 우리 경제를 살리고 기업에게 혜택이 가는 길임을 인식해 달라”고 당부했다.
재단법인 공공상생연대기금 출범과 관련해 문 대통령은 “양대 노총이 함께 추진한 사업이어서 더 뜻깊어졌다”며 “공공기관 성과연봉제 폐기와 함께 추가성과급 1600억 원을 전액 환수해 비정규직의 처우 개선과 일자리 창출을 위해 ‘공공상생연대기금’이라는 이름으로 결실을 맺게 됐다”고 감사 인사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21일 오후 재단법인 공공상생연대기금 관계자와 비정규직 처우개선·일자리 창출에 앞장선 노사대표를 청와대로 초청해 개최한 '상생연대실천 노사와의 만남' 행사에서 "함께하면 더 멀리 갑니다"라고 쓴 톱니 바퀴 모양의 손팻말을 들고 포즈를 취하고 있다. 왼쪽부터 허권 금융노조위원장, 김태영 은행연합회 회장, 김영주 고용노동부 장관, 박해철 공공산업노조연맹 위원장, 문 대통령, 이병훈 공공상생연대기금 이사장, 유지현 보건의료노조 위원장, 임영진 경희의료원장, 박배일 공공운수노조 수석부위원장, 이인상 공공연맹위원장. (문재인)](https://img.etoday.co.kr/pto_db/2017/12/20171221143432_1167034_580_316.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