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가 악성댓글과 검색어 노출 제외 등으로 논란을 겪고 있다. 이에 공정거래위원회가 조사에 착수하는 등 악재가 끊이지 않고 있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네이버가 제공하고 있는 뉴스 서비스에 정부를 비판하는 댓글이 비정상적으로 늘고 있다. 사실상 ‘댓글 조작’이 이뤄지고 있다는 의혹을 제기한 상태다.
네이버측은 자사의 뉴스 서비스의 댓글이 조작되고 있다는 의혹에 진상을 밝혀달라며 현재 경찰에 수사 의뢰를 한 상태다. 네이버 한 관계자는 “댓글 추천 수가 올라가는 등 의혹 제기와 관련해 사실 규명과 조사가 필요하다고 판단해 수사를 의뢰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경찰 수사 의뢰에도 불구하고 이용자들은 네이버에 책임을 물으며 비난의 여론이 형성돼 있다. 이들은 악성 댓글, 허위사실 신고버튼 생성, 필터링 강화 등을 요구하며 서비스 불매 운동을 진행하고 있다. 일부에서는 네이버의 간편결제 서비스인 ‘네이버페이’ 탈퇴 현상도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뿐만 아니라 검색과 라인, 블로그 등의 탈퇴도 소수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네이버는 하나의 사회 현상이라며 조심스러운 입장을 보였다. 댓글 논란에 대해선 수사가 진행중이기 때문에 진행상황은 알 수 없지만, 검색어 노출 제외는 규정을 외부에 공개하고 제외 조치가 적절했는지 외부 기관을 통해 검증받아 결과를 공개하겠다고 발표했다.
네이버 한 관계자는 “촛불시위가 국민의 자발적인 정치참여였던 것처럼, 댓글 논쟁도 인터넷을 통한 자유로운 정치적 의사표현이라는 사회문화적 현상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