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한국주택금융공사 )](https://img.etoday.co.kr/pto_db/2019/01/20190117105202_1292438_787_405.png)
우리나라 가구 10명 중 6명은 거주 목적의 집 한 채가 꼭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주택자 절반 이상이 집을 살 의향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17일 한국주택금융공사는 이러한 내용을 담은 '주택금융 및 보금자리론 실태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지난해 8월 13일부터 10월 26일까지 일반 5000가구와 보금자리론을 이용하는 2000가구를 대상으로 조사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일반 5000가구 중 62.1%가 실제 거주할 집 한 채가 꼭 필요하다고 답했다. 특히 나이가 많을수록, 소득 수준이 높을수록 비율이 높았다. 나이별로는 △30대 이하(59.0%) △40대(60.9%) △50대(62.6%) △60대 이상(65.0%) 순이다. 소득별로는 △월 331만 원 이상~431만 원 미만(62.5%) △월 431만 원 이상~541만 원 미만(62.0%) △월 541만 원 이상(65.7%) 순이다.
또 30대 이하 가구 10명 중 2명은 주거 환경이 안정적이면 전·월세도 괜찮다고 답했다. △40대(18.3%) △50대(15.7%) △60대 이상(12.8%)이 그 뒤를 이었다.
관련 뉴스
무주택자 1909가구의 50.7%는 주택을 살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거주 지역별로는 서울이 41.7%로 가장 높았다. 가구주 연령별로는 30대 이하 가구가 50.5%로 가장 높았다.
일반 5000가구의 월 총소득 평균은 386만 원으로 조사됐다. 이들 중 34.8%가 주택금융상품을 이용했다. 상품별로는 △주택담보대출(26.4%) △전세자금대출(7.8%) △중도금대출(0.8%) 등이었다.
주거복지를 위한 정책으로는 전체 응답자의 40.7%가 '수요자 맞춤형 공공임대 주택 확대'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주택시장 안정을 위한 규제나 정책 중 가장 효과적인 방안으로는 응답자의 44.1%가 '다주택자에 대한 선별적 규제강화'를, 42.2%가 '임대주택의 대량공급 확대'를 꼽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