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경제부가 위기를 겪고 있는 쌍용차와 GM대우 등 완성차 업계에 대한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유동성 지원을 요구하고 있는 가운데 금융위원회는 일단 검토는 할 수는 있겠지만 신중을 기해야 하는 사안이라는 입장을 보였다.
지경부는 26일 청와대에서 열린 대통령 업무보고를 통해 최근 금융위와 공동으로 출범시킨 '실물 금융 종합지원단'을 주축으로 산업별 지원과 구조조정을 실시하되 자동차의 경우 채권금융기관을 중심으로 완성차 기업에 유동성을 지원하는 방안을 보고했다.
또한 신기술, 신차 개발을 돕기 위해 장기 저리 연구개발자금을 공급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보고했다.
국내 완성차 업계는 미국이 표방하는 GM 등에 대한 금융적, 행정적 지원책처럼 우리 정부도 직접적인 업계에 대한 금융지원을 요청하고 있는 상태다.
이에대해 금융위는 완성차 협력업체들에 대한 지원을 검토하고 있지만 아직 완성차 업체들에 대한 금융지원은 신중을 기해야만 한다는 입장이다.
완성차 업계가 국내 산업 전반에 미치는 고용과 생산 등 효과가 크다는 점을 감안하면 특히 쌍용차나 GM대우 등은 외국인 대주주의 자구 노력이 수반된 이후에 정부의 직적접인 금융지원이 검토될 수 있는 사안이라는 주장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지경부와 완성차 업계에 대한 지원 논의는 아직까지 전혀 없었던 것으로 안다"며 "지경부가 너무 앞서 나가는 것으로 비춰지며 이에 대한 금융위의 공식적 입장을 밝힐 단계도 아니며 계획도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