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에서 주목하는 'K-라이스벨트'…추진단 구성해 본격화

입력 2023-08-01 16:0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1일 TF 발족식, 아프리카 현지 맞춤형 품종 보급해 생산성 확대

▲서울에서 열린 K-라이스벨트 농업장관회의에서 한덕수 국무총리와 정황근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아프리카 8개국 농업장관 및 참석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농림축산식품부)
▲서울에서 열린 K-라이스벨트 농업장관회의에서 한덕수 국무총리와 정황근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아프리카 8개국 농업장관 및 참석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농림축산식품부)

아프리카의 곡물 생산량을 늘리기 위한 사업인 'K-라이스벨트'가 추진단을 구성해 본격화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공적개발원조(ODA) 사업인 '아프리카 K-라이스벨트' 사업의 체계적인 추진을 위해 'K-라이스벨트 추진단(TF)'을 구성해 운영한다고 1일 밝혔다.

추진단은 농식품부 국제협력관 소속으로 농식품부와 농촌진흥청, 국립농산물 품질관리원, 국립종자원, 한국농어촌공사 업무 관계자 8명이 참여한다. 이들은 총괄기획, 생산기반조성, 종자생산, 농가 보급 및 유통, 국제기구 및 대외협력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 사업은 아프리카 국가들의 식량 안보 개선을 목표로 우수한 종자 생산 기술을 지원하고 현지 농가에 종자를 보급하는 사업이다. 기존 아프리카의 벼 품종 생산량 1.5톤 대비 4배 정도 생산성이 높은 우리 품종 '이스리-6', 이스리-7' 등을 공급한다.

정부는 2027년까지 이들 국가에 43만㏊의 쌀 생산 기반을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올해 벼 종자 약 2000톤 생산을 시작으로 2027년부터 연간 다수확 벼 종자 1만 톤을 생산·보급해 연간 약 3000만 명에게 안정적으로 식량을 공급하는 게 목표다.

이를 위해 농식품부는 대상국 협조를 통해 벼 종자 생산에 적합한 부지를 확보하고, 해당 부지에 필요한 생산 인프라를 조성한다. 농진청은 벼 전문가를 파견하고 기술지도 등을 통해 현지의 벼 전문가를 양성하고 농약·비료 등 농업 투입재, 농기계, 종자 저장시설을 구축한다.

우리나라는 올해 5월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서 국제 식량 위기 해결을 위해 K-라이스 벨트를 추진하겠다는 의지를 피력했다. 7월에는 아프리카 8개국 장관급 대표를 서울에 초청해 K-라이스벨트 농업장관회의를 개최하고 사업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기도 했다.

유엔세계식량계획(WFP) 및 아프리카개발은행(AfDB)도 K-라이스벨트 사업에 대한 적극적인 지지와 협력 의사를 표명한 바 있다.

정황근 농식품부 장관은 "한국이 짧은 시간에 쌀 자급을 달성한 경험은 세계적으로 드문 사례로 특히 아프리카에서는 한국의 농업 기술을 배우기 위한 열정이 대단하다"며 "추진단 발족을 통해 현지의 여건과 수요를 파악하고 아프리카의 쌀 생산 및 유통 가치사슬 전반을 고도화할 수 있도록 빈틈없이 관리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아프리카 7개국을 대상으로 하는 'K-라이스벨트'
▲아프리카 7개국을 대상으로 하는 'K-라이스벨트'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큰손’ 국민연금 美주식 바구니 'M7' 팔고 '팔란티어' 담았네
  • 금 뜨자 주목받는 은…"아직 저렴한 가격"
  • 단독 ‘백약이 무효’ 작년 상반기 보험사기액 6028억…올해 최대치 경신 전망
  • 올해 갤럭시 디바이스 15종 쏟아진다... 슬림한 '엣지'부터 두번 접는 'G폴드'까지
  • [날씨] 다시 찾아온 '추위'…아침 최저 -8도
  • 트럼프 “러·우 둘다 싸움 멈추길 원해…푸틴과 매우 곧 만날 것”
  • 법인 가상자산 진출 '코인마켓'에 기회 …은행 진출 '마중물'
  • 故 김새론 비보에 애도 물결…"작품 속 딸로 만나 행복했다"
  • 오늘의 상승종목

  • 02.17 09:43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5,571,000
    • -1.28%
    • 이더리움
    • 4,032,000
    • -1.1%
    • 비트코인 캐시
    • 494,500
    • -1.88%
    • 리플
    • 4,137
    • -1.26%
    • 솔라나
    • 285,200
    • -3.09%
    • 에이다
    • 1,183
    • +0%
    • 이오스
    • 956
    • -2.25%
    • 트론
    • 365
    • +1.67%
    • 스텔라루멘
    • 520
    • -1.33%
    • 비트코인에스브이
    • 60,150
    • +0.67%
    • 체인링크
    • 28,250
    • -1.94%
    • 샌드박스
    • 594
    • -0.8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