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는 17일 비상경제장관회의 겸 수출투자대책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공공선박 발주제도 개선방안'을 발표했다.
조달청에 따르면 경비선, 어업지도선, 해양조사선 등 20여 종의 공공선박을 연간 5500억 원 상당으로 조달계약을 체결한다. 최근 3년간 보면 98건, 총 1조4000억 원 규모의 계약을 체결했다.
제조 등록한 중소 조선업체는 123개사로 1000톤 미만 소형 선박은 중기간 경쟁제품으로 중소 조선업체만 입찰참여를 허용한다. 최근 3년간 중소 조선업체는 86건(6900억 원)을 수주해 전체 건수의 88%(금액 대비 49%)를 건조했다.
관공선 중심의 내수시장에 의존하는 중소업계는 경영환경 악화와 공공선박 조달시장의 입찰가격 왜곡, 작동하지 않는 계약금액 조정제도, 관 우월적 특약 조항 등 고질적 조달현장 규제로 이중고를 겪고 있다. 이에 2006년 이후 14개 중소 조선업체가 채산성 악화로 파산(폐업)했다.
관련 뉴스
이에 정부는 공정한 공공선박 발주환경 조성을 위해 입찰가격 평가방식 개선, 하자책임분담 명확화, 계약금액 조정방식 간소화, 관 우월적 특약조건을 정비키로 했다.
주요 내용을 보면 수요기관은 사실상 가격이 확정된 주요 장비를 선박건조와 묶어서 통합 발주한다. 그러다 보니 건조업체는 수주를 위해 낙찰 하한률(88%)에 근접하게 입찰가격(장비가격+건조비용)을 투찰할 수밖에 없어 고정된 장비가격과 낙찰률 차이를 건조사가 부담하고 있다.
이에 정부는 약 25%를 차지하는 장비가격을 적격심사 입찰가격 평가 시 제외키로 했다. 이를 통해 건조사는 건조비용의 약 84% 수준에서 88%, 예정가격의 약 91% 수준에 낙찰받는 효과가 발생한다. 아울러 장비선정위원회에서 선정된 주요장비 가격 및 특약 등을 입찰공고와 함께 상세하고 공개해 물가변동 특약 등을 없애기로 했다.
또 설계, 주요장비 선정 및 가격결정에 관여하지 않은 건조사가 하자 발생 시 총괄적인 책임을 부담하는 것도 개선해 하자책임 분담원칙을 설계 계약서에 반영하고 수요기관·장비공급업체·건조사·설계업체가 '하자공동대응팀'을 구성해 원인 규명 및 하자 치유에 나선다.
관공선 발주는 건조에서 납품까지 3~4년 소요돼 물가상승 리스크에 크게 노출된다. 특히 선박건조에 투입되는 자재(100톤 경비정 약 1300여 개)가 너무 많아 물가변동 입증자료 확보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정부는 생산자물가 분류지수 등을 기준으로 조정토록 바꾸고 물가변동 대상여부도 신속 확인토록 개선한다.
마지막으로 설계도면, 건조사양서, 자재내역서 등 각종 특수조건에 발주기관 우월적 특약이 다수 포함되는 것은 불공정한 특약은 삭제하고 표준 계약조건을 제정해 제공키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