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부문 중국 3사 점유율 테슬라 앞질러
미국 경제계 중국 대응, 일관성 부족 지적도

4일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최종재, 핵심 부품 등 63개 품목을 대상으로 자체적으로 실시한 ‘2022년 주요 상품·서비스 글로벌 시장점유율 조사’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첨단 소재와 전기자동차 등 18개 품목에서 중국 기업의 점유율이 확대됐다. 중국 점유율이 30%를 넘은 품목은 13개에 달했다.
중국 기업의 약진이 두드러지는 분야는 전기차로 나타났다. 중국 상위 3개사 합산 시장점유율은 27.7%로 1위인 미국 테슬라(18.9%)를 앞질렀다. 그중 비야디(BYD)는 점유율이 전년의 6.9%에서 11.5%로 커지며 2위로 올라섰다.
전기차 핵심 소재인 리튬이온 배터리용 절연체는 상위 5개 기업 중 4곳이 중국 업체였다. 이들의 점유율은 총 63%에 달했다.
차량용 리튬이온 배터리 부문에서도 중국은 60% 이상의 점유율을 차지했다. BYD는 이 부문에서도 14.4%를 차지하며 전년 대비 점유율이 약 2배 확대됐다.
관련 뉴스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는 지난해 8월 ‘인플레이션감축법(IRA)’을 통과시키며 전기차·배터리 공급망에서 중국을 배제하기 위해 3690억 달러(약 487조5000억 원)를 투입했다. 하지만 중국 기업들이 각 부문에서 존재감을 드러내며 실상은 탈중국과 요원한 모습이다.
미국 경제계의 대응도 일관성이 부족하다고 닛케이는 지적했다. 애플을 비롯한 미국 기업들이 중국 공급망을 인도 등 다른 아시아 국가로 분산하려는 움직임을 보였지만, 올해 5월 중국을 방문한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는 “디커플링에 반대하며 중국 사업을 확대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