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카드 대출 연체율 역대 최고…카드 대란 때 근접

입력 2025-01-13 05: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본 기사는 (2025-01-12 17:01)에 Channel5를 통해 소개 되었습니다.

작년 10월 기준 3.4%…전년비 0.6%p↑
경기침체에 서민 상환여력 악화
“법정최고금리 완화해야”

은행 신용카드 대출 연체율이 최고치를 경신했다. 1·2금융권 대출을 끌어다 쓴 취약계층이 마지막 보루로 받은 카드 대출마저 상환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뜻이다. 내수 침체 장기화로 가계부채의 최대 뇌관으로 떠오를 전망이다.

12일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일반 은행의 신용카드 대출금 연체율은 지난해 10월 말 기준 3.4%를 기록하며 최고점을 찍었다. 지난해 2월과 5월, 8월 최고 기록을 연달아 갱신했다. 전년 동기(2.8%) 대비로는 0.6%포인트(p) 상승했다.

은행권의 카드 대출 연체율은 코로나19 펜대믹 이후 심각해지고 있다 .하루 이상 원금 연체를 기준으로 일반 은행의 카드 연체율은 코로나19 이후 1% 후반대를 유지했다. 2023년 상반기 2% 초반대에서 하반기 2% 후반까지 상승하더니 지난해 초 3%선을 넘어섰다. 카드 대란 당시 최고치인 3.8%(2005년 8월)에 근접하고 있다.

앞으로가 더 문제다. 신용점수가 낮아 은행에서 대출을 받을 수 없어 상대적으로 이자율이 높은 단기 카드 대출에 눈을 돌리는 취약차주들이 늘고 있다.

여신금융협회에 따르면 9개 카드사(신한·삼성·현대·KB국민·롯데·하나·우리·BC·NH농협카드)의 지난해 11월 말 카드론 잔액은 42조5453억 원으로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다. 기존 역대 최대치인 전월(42조2202억 원) 대비 3251억 원 늘었다. 결제성 리볼빙 이월 잔액은 7조1342억 원으로 전월(7조1059억 원) 대비 소폭 늘었고, 같은 기간 현금서비스 잔액도 6836억 원에서 6918억 원으로 늘었다.

카드론은 별도의 심사 절차가 없어 서민들의 급전 창구로 꼽힌다. 금융권에서는 신용카드 연체로 퇴로가 막힌 취약 차주들이 다중채무자로 전락해 부실이 업계 전반으로 확산되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전문가들은 돈을 갚지 못한 취약차주들이 불법 사금융으로 내몰릴 수 있는 만큼 퇴로를 열어줘야 한다고 지적한다. 서지용 상명대 경영학부 교수는 “20%로 묶어놓은 법정 최고금리를 자율적으로 정할 수 있도록 완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화제성 떨어지는 아시안게임, 'Z세대' 금빛 질주가 기 살렸다 [이슈크래커]
  • 단독 4대궁·종묘 관람객 지난해 1300만 '역대 최대'…외국인 첫 300만 돌파
  • '최강야구' 클로징, 하와이 전지훈련 확정…이번 시즌 MVP는?
  • 트럼프, 철강·알루미늄 관세 25% 부과 발표…“반도체·자동차도 검토”
  • 국내주식, 어디다 투자해야 할지 모르겠다면…국민연금 포트폴리오 참고해볼까 [경제한줌]
  • "대전 초등생 피습 가해교사, 교육청 현장 지도 나간 당일 범행"
  • 단독 첨단학과 '수도권 쏠림’ 사실로...경쟁률 지방의 3배 이상 [첨단인재 가뭄]
  • '2025 정월대보름' 부럼과 오곡밥을 먹는 이유 [그래픽 스토리]
  • 오늘의 상승종목

  • 02.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8,055,000
    • +0.02%
    • 이더리움
    • 4,074,000
    • +1.49%
    • 비트코인 캐시
    • 512,000
    • +1.59%
    • 리플
    • 3,750
    • +2.1%
    • 솔라나
    • 305,500
    • -1.42%
    • 에이다
    • 1,205
    • +13.79%
    • 이오스
    • 972
    • +0.21%
    • 트론
    • 374
    • +3.6%
    • 스텔라루멘
    • 502
    • +4.37%
    • 비트코인에스브이
    • 61,100
    • +3.04%
    • 체인링크
    • 29,260
    • +2.74%
    • 샌드박스
    • 611
    • +3.5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