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 안 팔리고 대출도 빡빡…"수도권 불 꺼진 아파트 늘어날 듯"

입력 2025-01-14 11: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자료제공=주택산업연구원)
(자료제공=주택산업연구원)

전국에서 불 꺼진 새 아파트가 확대될 전망이다. 대출 장벽이 높아진 데다 경기 침체 우려, 정치적 불확실성 등이 겹치면서 입주율이 떨어질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14일 주택산업연구원은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1월 전국 아파트 입주전망지수가 전월보다 20.2포인트(p) 하락한 68.4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2년 만에 최저치다.

수도권은 72로 18.6p 떨어졌다. 서울(100.0→88.0)과 인천(86.2→64.2), 경기(85.7→63.8)가 모두 크게 하락했다.

광역시는 24.1p 내린 66.1을 기록했다. 울산(92.8→61.1), 대구(95.6→68.0), 대전(88.2→61.1), 광주(80.0→58.8), 부산(85.0→69.5) 등 광역시 전체가 큰 폭으로 떨어졌다.

도 지역은 18p 하락한 68.6으로 집계됐다. 충북(75.0→81.8)과 충남(73.3→80.0), 제주(75.0→78.9)를 제외하고 모두 지수가 낮아졌다. 전남(91.6→37.5)의 낙폭이 가장 컸고 이어 경북(100.0→60.0), 경남(100→70.5), 세종(100→78.5), 전북(90.9→71.4), 강원(87.5→69.2) 순이다.

주산연은 "강도 높은 대출 규제로 매수심리가 위축된 가운데 경기침체 우려와 탄핵 정국에 따른 시장 불확실성이 커졌기 때문"이라며 "빠르게 위축되고 있는 주택시장에 대한 정확한 분석과 시의적절한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지난해 12월 입주율은 69.7%로 전월보다 0.7%p 상승했다. 수도권은 82.3%에서 79.9%로 하락했다. 서울(82.5%→81.4%)과 인천·경기(82.3%→79.1%)가 모두 떨어졌다. 서울에서도 계약 포기 물량이 속출하고 준공 후 미분양이 11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하는 등 불안요소가 심화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5대 광역시는 69.6%에서 67.8%로 하락했고 도 지역은 63.7%에서 67.2%로 상승했다.

미입주원인으로는 잔금대출 미확보와 기존주택매각 지연이 각각 34%, 32.1%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세입자 미확보와 분양권 매도 지연은 17%, 9.4%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헌재 “尹 없어도 16일 변론 진행…재판관 기피·변론기일 이의신청 기각”
  • “급브레이크 안돼요”…도로위 암살자 ‘블랙아이스’ 대처법 [해시태그]
  • "타임머신 탄 건가요?"…음악도 예능도, '옛것'에 빠진 '요즘 것들' [이슈크래커]
  • 대만‧중국 찾는 젠슨 황...미국 AI 칩 규제 대응방안 모색하나
  • “첫날부터 21兆 빅딜 터졌다”…세계 최대 바이오 투자행사 개막[가보니]
  • 부산 하이엔드 국평 14억 시대 오나…3.3㎡당 4000만 원 돌파 예고
  • 메사리가 짚어주는 2025년 가상자산 시장 전망 [블록렌즈]
  • "우리 동네에 영웅이 산다"…임영웅이 선택한 '메세나폴리스'는 [왁자집껄]
  • 오늘의 상승종목

  • 01.1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4,064,000
    • +2.48%
    • 이더리움
    • 4,776,000
    • +2.53%
    • 비트코인 캐시
    • 649,500
    • +1.88%
    • 리플
    • 3,838
    • +2.35%
    • 솔라나
    • 279,900
    • +2.6%
    • 에이다
    • 1,467
    • +3.82%
    • 이오스
    • 1,176
    • +2.98%
    • 트론
    • 334
    • -1.76%
    • 스텔라루멘
    • 628
    • -0.48%
    • 비트코인에스브이
    • 81,600
    • +1.94%
    • 체인링크
    • 30,160
    • +4.72%
    • 샌드박스
    • 850
    • +3.4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