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틱톡금지법’ 75일 유예 행정명령 서명 [트럼프 취임]

입력 2025-01-21 11:1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행정명령, 틱톡 팔거나 폐쇄할 권리 준 것”
“합작 투자 아이디어” 거듭 제안
“중국 거절 시 관세 부과할 것”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0일(현지시간) 워싱턴D.C. 백악관 집무실에서 취임 첫날 틱톡금지법 유예 등 여러 행정명령에 서명하고 있다. EPA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0일(현지시간) 워싱턴D.C. 백악관 집무실에서 취임 첫날 틱톡금지법 유예 등 여러 행정명령에 서명하고 있다. EPA연합뉴스

틱톡을 되살리겠다고 공언해온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0일(현지시간) ‘틱톡금지법’ 75일 시행 유예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이날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백악관 집무실에서 법무장관에게 틱톡에 대해 75일간 어떠한 행동도 하지 말 것을 명시한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미 의회가 통과시킨 틱톡금지법에 따르면 틱톡은 미국 사업권을 미국 내 기업에 매각하도록 하고, 19일까지 시행하지 않으면 서비스를 중단하도록 했다.

결국 전날 틱톡은 서비스를 중단했으나, 트럼프 대통령이 행정명령을 약속하면서 12시간 만에 서비스를 재개했다.

이날 행정명령으로 법 시행을 유예해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적절한 해법을 마련할 기회”를 가질 수 있는 시간이 확보된 셈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행정명령 서명 후 “(행정명령으로) 틱톡을 (미국 기업에) 팔거나 폐쇄할 권리를 준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은 틱톡(지분)의 절반을 사용할 자격이 있어야 한다”며 미국 법인과 틱톡 모회사인 바이트댄스 합작회사를 만들어 미국 기업의 지분을 50% 이상으로 만드는 방안을 거듭 제안했다.

또 중국이 이 방안을 승인하지 않으면 중국에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고도 했다.

백악관 집무실에서 행정명령에 서명하던 트럼프 대통령은 틱톡에 대한 입장이 왜 달라졌느냐는 질문에 “젊은 층이 분노할 것”, “1조 이상 달러 가치가 있을 것”, “나는 그것을 사용해야 했기 때문” 등의 답을 내놨다.

다만 NYT는 여전히 대통령에게 연방법 중단 권한이 있는지를 포함한 법적 문제에 직면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아이브ㆍ라이즈 동생 그룹이 벌써?"…엔터 업계 '카니발 효과'가 뭐길래 [이슈크래커]
  • '잠삼대청' 토허제 풀린다…재건축 단지 14곳은 제외
  • 인플루언서도 대치맘도 긁혔다…이수지가 꼬집은 대리수치 [해시태그]
  • "골프 입문, 어렵지 않아요"…적절한 클럽 고르기 [골프더보기]
  • 단독 오세훈, 김종인과 설연휴 회동...金 “대통령 하려면 결단해야”
  • 글로벌 빅파마 사로잡은 K바이오…빅딜‧공동연구 확대
  • 갤럭시 S25, 초기 대박 비결은… '가격·성능·AI' 삼박자
  • 빚에 의존하는 기업들…단기차입금 700조 육박 [기업 급전 경고등]
  • 오늘의 상승종목

  • 02.1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5,364,000
    • -1.83%
    • 이더리움
    • 3,974,000
    • -2.57%
    • 비트코인 캐시
    • 503,000
    • -1.85%
    • 리플
    • 3,674
    • -2.34%
    • 솔라나
    • 298,800
    • -2.42%
    • 에이다
    • 1,198
    • -1.48%
    • 이오스
    • 970
    • -0.21%
    • 트론
    • 369
    • -1.6%
    • 스텔라루멘
    • 485
    • -3.77%
    • 비트코인에스브이
    • 59,550
    • -2.54%
    • 체인링크
    • 28,030
    • -4.69%
    • 샌드박스
    • 583
    • -4.5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