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영세 "이재명, 기업 뒤통수 치고 반창고 붙여"

입력 2025-02-03 10:1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느닷없이 친기업 외치면 어느 국민이 믿겠나"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3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이날은 한국수어의날을 맞이해 수어통역사(뒷줄)가 함께 했다. 2025.02.03. (뉴시스)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3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이날은 한국수어의날을 맞이해 수어통역사(뒷줄)가 함께 했다. 2025.02.03. (뉴시스)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3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실용주의 표방과 '우클릭' 행보를 겨냥해 "기업들의 뒤통수를 후려치고 이제 와서 반창고를 붙여주는 격"이라고 비판했다.

권 비대위원장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비대위 회의에서 "국익에 도움 되는 일은 사사건건 반대했던 이 대표가 최근 갑작스레 성장과 친기업을 내세우며 우클릭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권 비대위원장은 "불과 2주 전 민주당은 올해 당론으로 추진할 10대 입법 과제를 발표했다"며 "여기에는 이 대표의 '지역화폐 살포법'이 포함돼 있었고, 반기업·반시장 법안이 즐비했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기업의 합병과 분할 등의 과정을 노동조합에 먼저 통보하게 하는 법안, 파견 근로자가 요구하면 기업 간 계약 상황까지 공개해야 하는 법안, 국회가 기업의 영업기밀을 무차별적으로 요구할 수 있게 하는 법안까지 기업의 목을 죄는 법안이란 법안은 다 포함돼 있었다"고 덧붙였다.

권 비대위원장은 "그래놓고 느닷없이 친기업을 외치니 어느 국민을 이것을 믿겠나"라고 지적했다.

이어 "게다가 난데없이 인공지능(AI) 지원 추경을 하자고 하는데, 이것도 앞뒤가 맞지 않는다"며 "여야가 합의한 조세 개편 논의를 일방적으로 멈춰 세운 건 다름 아닌 민주당과 이 대표였다"고 말했다.

권 비대위원장은 "말과 행동이 반대인데 어느 국민이 이 내용을 믿겠나"라며 "이 대표의 말 바꾸기가 진심이라면 2월 임시국회에서 반도체 특별법, 첨단에너지 3법부터 최우선으로 처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민주당은) 국정협의체에 참여해 산적한 민생 법안들을 하루속히 통과시켜야 한다"며 "지금 시급한 것은 조기 대선이라는 헛꿈이 아니라, 민생 경제의 회복"이라고 주장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구준엽 아내' 서희원, 폐렴으로 별세…향년 48세
  • 중국 ‘딥시크’, AI 성능은 인정받았지만…“그래서 데이터 유출 우려는요?” [이슈크래커]
  • "별들의 경쟁"…정상을 찍기 위한 매치 'KLPGA' [골프더보기]
  • 10년 사법 족쇄 푼 이재용… 이제는 '경영 올인'
  • 오늘은 '입춘' 24절기 중 첫번째 절기…입춘대길 건양다경 뜻은?
  • 힘 받는 强달러…환헤지 ETF 투자한 개미들 '한숨'
  • 코스피, '관세 전쟁' 직격에 2450선 간신히 사수…코스닥 3%↓
  • 오픈AI 샘 올트먼 방한...카카오와 협업 발표
  • 오늘의 상승종목

  • 02.0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0,279,000
    • -3.91%
    • 이더리움
    • 4,069,000
    • -16.15%
    • 비트코인 캐시
    • 507,000
    • -18.68%
    • 리플
    • 3,723
    • -17.49%
    • 솔라나
    • 313,300
    • -5.63%
    • 에이다
    • 1,101
    • -20.62%
    • 이오스
    • 911
    • -19.88%
    • 트론
    • 353
    • -6.61%
    • 스텔라루멘
    • 522
    • -14%
    • 비트코인에스브이
    • 60,750
    • -15.8%
    • 체인링크
    • 29,650
    • -16.57%
    • 샌드박스
    • 598
    • -19.7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