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IR 임박…신용등급 지켜낼까

입력 2025-02-03 15:1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11~14일 홍콩·싱가포르서 한국경제설명회
피치 3월·S&P 4월 韓 신용등급 발표 전망

▲기획재정부. 조현호 기자 hyunho@
▲기획재정부. 조현호 기자 hyunho@

대외신인도 제고를 위한 정부의 한국 경제 투자설명회(IR)가 임박했다. 12·3 비상계엄 이후 정치 불확실성이 높아지면서 국가신용등급이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 속에 가시적 성과를 낼지 주목된다.

3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최종구 국제금융협력대사는 11~14일 기재부, 금융위원회, 한국투자공사 관계자와 함께 홍콩과 싱가포르에서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피치·무디스 등 3대 글로벌 신용평가사의 한국 신용등급 담당 고위 인사와 면담할 예정이다. 최 대사는 지난해 말 국무회의를 거쳐 임명된 대외직명대사다. 국제금융협력대사는 국제사회에 우리 경제·금융 상황을 알리는 역할을 맡는다.

특히 13일에는 싱가포르에서 세계적 자산운용사와 투자은행의 고위급 임원을 대상으로 한국경제설명회를 개최한다. 최 대사는 3월 중 미국 뉴욕, 영국 런던 등 주요 지역을 순차 방문해 한국경제설명회를 열고 글로벌 신평사 및 주요 금융계 인사 면담 등을 이어간다.

국가신용등급은 국가의 외채 상환 능력을 측정하는 지표로, 글로벌 3대 신평사가 매년 2~4회 발표한다. 외환보유액, 외채구조 등 대외부문 건전성이 가장 중요하지만 거시경제 여건, 재정건전성, 노동시장 유연성, 안보 위험 등을 고려해 신용등급 평가가 이뤄진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작년 12월 기준 우리나라 외환보유액은 4156억 달러다. 외환보유액은 문재인 정부 시절인 2021년 10월 기준 4692억 달러로 정점을 찍은 뒤 500억 달러 이상 줄었지만 현 수준도 아직 안정적이라는 것이 국제통화기금(IMF)과 3대 신평사의 평가다.

계엄 사태 이후 두 달 이상 이어지고 있는 정국 혼란은 변수다. 3대 신평사는 계엄 자체가 한국 신용등급에 미칠 영향은 제한적이라는 입장이지만 이에 따른 정치 불안이 길어질 경우 정책결정 효율성·재정건전성 악화 등 부정적인 영향이 불가피하다고 보고 있다.

국가신용등급은 일단 한 번 강등되면 복구하기 쉽지 않다. 1997년 외환위기 이후 S&P는 한국 신용등급을 'AA-'에서 'B+'까지 순차적으로 10계단 내렸다. 이때부터 18년이 지난 2015년이 돼서야 외환위기 이전 수준(AA-)으로 회복했다. 이듬해 1단계 더 올라 'AA'가 됐고 9년째 해당 등급이 유지되고 있다. 현재 3대 신평사의 한국 신용등급은 S&P 'AA'를 비롯해 피치 'AA-', 무디스 'Aa2' 등이다.

정부는 피치가 올해 3월, S&P가 4월 중 한국 신용등급을 발표할 것으로 보고 있다. 피치와의 연례협의는 작년 12월 마무리됐고 S&P와의 연례협의는 내달 이뤄질 것으로 관측된다. 정부는 두 신평사의 신용등급 발표를 앞두고 이뤄지는 이번 IR에 기대를 걸고 있다. 특히 새해 들어 국내외 주요 기관의 우리나라 1%대 경제성장 전망이 잇따른 만큼 성장률 회복 구상도 중점적으로 설명한다는 계획이다.

최 대사와 동행하는 정부 관계자는 통화에서 "정치적 불확실성도 있지만 성장률 전망이 낮아지는 것도 걱정되는 부분"이라며 "1%대 성장률에 대해 신평사는 어떻게 생각하는지 듣고 우리도 성장률 제고를 위한 방안을 이야기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최 대사가 신평사가 필요로 하는 부분을 잘 설명하고 어필한다면 결정적이진 않더라도 긍정적인 영향이 있지 않을까 기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IR과 별개로 정부는 S&P 등 신평사 연례협의 일정이 확정되면 기재부·한국은행·산업통상자원부 등이 참여하는 범정부국가신용등급공동대응협의회를 열고 관련 대응 논의에 들어갈 계획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구준엽 아내' 서희원, 폐렴으로 별세…향년 48세
  • 이주은 치어리더 대만행, 계약금 4억?…그들을 막을 수 없는 이유 [해시태그]
  • 중국 ‘딥시크’, AI 성능은 인정받았지만…“그래서 데이터 유출 우려는요?” [이슈크래커]
  • "별들의 경쟁"…정상을 찍기 위한 매치 'KLPGA' [골프더보기]
  • 10년 사법 족쇄 푼 이재용… 이제는 '경영 올인'
  • 오늘은 '입춘' 24절기 중 첫번째 절기…입춘대길 건양다경 뜻은?
  • 오픈AI 샘 올트먼 방한...카카오와 협업 발표
  • 힘 받는 强달러…환헤지 ETF 투자한 개미들 '한숨'
  • 오늘의 상승종목

  • 02.0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0,134,000
    • -3.33%
    • 이더리움
    • 4,105,000
    • -14.71%
    • 비트코인 캐시
    • 510,500
    • -17.59%
    • 리플
    • 3,780
    • -14.27%
    • 솔라나
    • 313,000
    • -4.95%
    • 에이다
    • 1,128
    • -17.78%
    • 이오스
    • 934
    • -16.16%
    • 트론
    • 353
    • -6.37%
    • 스텔라루멘
    • 531
    • -11.5%
    • 비트코인에스브이
    • 62,400
    • -12.11%
    • 체인링크
    • 30,200
    • -13.64%
    • 샌드박스
    • 607
    • -16.7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