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MIT 생성형 AI 컨소시엄' 참가…피지컬 AI 공동 연구도

입력 2025-02-04 14:3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SKT∙오픈AI∙코카콜라 등 6개사 창립 멤버로
AI에이전트∙AIDC 외 피지컬 AI 등 중점 연구
정기 회의체로 글로벌 기업 간 시너지 낸다

▲MIT 전경 (사진제공=SK텔레콤)
▲MIT 전경 (사진제공=SK텔레콤)

SK텔레콤은 매사추세스공대(MIT)와 생성형 인공지능(GenAI) 기술의 상용화와 산업별 응용 방안을 공동 연구한다. SKT는 매사추세스공대(MIT)가 올해 2월 발족한 ‘MIT GenAI 컨소시엄(MIT GenAI Impact Consortium)’에 창립 멤버로 참여했다고 4일 밝혔다.

MIT GenAI 컨소시엄은 생성형 AI 기술이 미칠 영향을 탐구하는 산학 협력 기구이다. 불확실성이 높은 AI 산업에 실질적인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이 목표다.

컨소시엄 창립 멤버는 SKT를 비롯해 오픈AI, 코카콜라, 인도 타타그룹, 미국 반도체 기업 애널로그 디바이시스, 글로벌 벤처캐피털 업체 TWG 글로벌 홀딩스 등 총 6개사다.

SKT는 MIT 석학과의 공동 연구와 오픈AI 등 창립 멤버와의 협력을 통해 피지컬 AI 등 차세대 연구를 주도한다.

MIT 주요 석학도 참여… SKT∙오픈AI 등 창립 멤버 간 시너지 도모

샐리 콘블루스 MIT 총장, 아난타 찬드라카산 MIT 공대 학장 등 경영∙인문∙사회과학대학 등의 교수진도 참가했다. 융복합 생성형 AI 연구 수행을 위한 프로젝트 선정, 연구진 발굴, 연구 관리 등을 담당한다.

올해 MIT GenAI 컨소시엄은 본격적인 연구에 착수해 AI 스타트업들이 ‘매그니피센트 7’ 급 기업으로 도약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SKT, 오픈AI 등 창립 멤버들은 정기적인 회의체를 통해 각 사가 보유한 AI 경쟁력과 발전 방향 등을 공유한다. 애널로그 디바이시스와 차세대 AI 반도체에 대한 개발 방향 등을 논의하는 등 창립 멤버들 간의 파트너십도 돈독히 다질 계획이다.

SK그룹 AI 역량 모아 MIT와 공동 연구 추진… SK AI 경쟁력 강화

SKT는 그룹의 AI 기술 컨트롤타워 SK AI 연구개발(R&D) 센터와 정보통신기술(ICT), 반도체, 바이오, 에너지 등 사업 분야에서 MIT와 공동으로 연구과제를 수행할 계획이다. 이에 △글로벌향 개인 AI 에이전트 △AI 데이터센터 △제조 AI △피지컬 AI △바이오 AI 등을 연구과제의 우선 순위로 둔다.

아난타 찬드라카산 MIT 공과대학 학장 겸 MIT 최고 혁신 및 전략 책임자는 “MIT GenAI 임팩트 컨소시엄은 여러 학문 분야의 장벽을 허물고 AI로 재편되고 있는 글로벌 사회가 긍정적인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라고 밝혔다.

유영상 최고경영자(CEO)는 “MIT GenAI 팩트 소시엄의 창립 멤버로 세계 최고 수준의 MIT 교수진 및 글로벌 초일류 기업들과 함께 연구할 수 있게 되어 기쁘다”며 “생성형 AI를 넘어 피지컬 AI, 제조∙바이오 분야에서의 AI 융합 등 버티컬 AI에 기반한 차세대 AI 연구로 산업 현장의 AI 혁신을 주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이재용, 샘 올트먼-손정의 3자 회동... ‘AI 동맹’ 구축
  • "투자도 잘하네"…'피겨 퀸' 김연아가 사는 마크힐스는 [왁자집껄]
  • '세기의 사랑' 앗아간 사망까지…독감만큼 무서운 '이것' [이슈크래커]
  • 올해 1만 원 더 인상된 문화누리카드…신청하고 문화생활 혜택받아볼까 [경제한줌]
  • 현대차 노조까지 확전 가능성…통상임금 소송전 본격화
  • 트럼프 관세 발효에...중국, 즉각 보복관세·구글 반독점 조사 맞대응
  • 오픈AI 만난 카카오…AGI 시대 앞당긴다
  • 이번에는 석굴암 조명…국립중앙박물관 굿즈 '뮷즈' 품귀 [그래픽 스토리]
  • 오늘의 상승종목

  • 02.0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4,627,000
    • +1.54%
    • 이더리움
    • 4,243,000
    • +2.91%
    • 비트코인 캐시
    • 512,000
    • +0.79%
    • 리플
    • 3,968
    • +4.83%
    • 솔라나
    • 322,500
    • +4.23%
    • 에이다
    • 1,158
    • +5.27%
    • 이오스
    • 915
    • +0.11%
    • 트론
    • 342
    • -2.84%
    • 스텔라루멘
    • 535
    • +1.13%
    • 비트코인에스브이
    • 62,950
    • +2.36%
    • 체인링크
    • 30,930
    • +3.55%
    • 샌드박스
    • 610
    • +2.1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