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산업기술국제협력사업' 추진…2088억 투자로 R&D 시간·비용 단축

입력 2025-02-05 11: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사업 규모 전년 대비 25.9% 증가…해외 기술 국내 신속 도입

▲산업통상자원부. (이투데이DB)
▲산업통상자원부. (이투데이DB)

정부가 2088억 원을 들여 해외 기관과의 공동 연구개발(R&D)을 추진한다. 이를 통해 R&D에 드는 시간과 비용을 줄여 우리 기업의 기술혁신 촉진과 신기술 개발에 따른 리스크를 낮춘다는 목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6일 이런 내용을 담은 '2025년도 산업기술국제협력사업' 통합 시행계획을 공고한다고 5일 밝혔다.

산업부 관계자는 "기술력을 가진 해외기관과의 공동 R&D를 통해 국내에서 보유하고 있지 않은 기술을 신속하게 도입하는 한편, 기술개발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감축해 우리 기업의 기술혁신을 촉진하고, 신기술 개발에 따른 리스크를 낮추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올해 사업 규모는 전년 대비(1658억 원) 25.9% 증가한 2088억 원으로 △국제 공동기술개발(942억 원) △글로벌산업기술협력센터(1052억 원) △글로벌산업기술 연계(35억 원) △국제협력기반구축(49억 원) 등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으로 시행된다.

국제공동 기술개발 사업은 우리나라와 외국 정부 간 합의에 기반해 공동으로 연구개발을 지원하는 양자 공동펀딩형 기술개발과 유레카(EUREKA) 및 유로스타(EUROSTARS) 등 다국간 협력 플랫폼 참여를 통한 연구개발 과제를 지원하는 다자 공동펀딩형 R&D로 추진된다. 또한 글로벌 기업의 수요와 연계한 기술개발 사업, IP인수 등 기술도입을 통한 후속 기술사업화를 지원하는 전략기술형 R&D도 진행된다.

글로벌산업기술협력센터 사업은 첨단산업분야 해외 연구기관에 협력거점을 설치하고, 우리 기업과의 중장기·중대형 공동 R&D(최대 5년, 총 100억 원 이하)를 통해 차세대 원천기술을 확보한다.

글로벌산업기술연계 사업을 통해서는 글로벌 기업의 연구개발 투자를 유도하고, 해외 선도기술의 유입·확산을 촉진하기 위해 국내기업과 외국인 투자기업 간 공동연구를 지원한다.

이와 함께 우리 기업의 공동 연구개발 참여기회를 확대하고, 원활한 연구개발 수행을 위한 행정적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국제협력기반구축사업도 추진한다. 글로벌 기술협력 포럼 개최, 재외 한인공학자를 통한 기업지원 등도 병행해 시행한다.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www.motie.go.kr) 또는 한국산업기술진흥원 홈페이지(www.kiat.or.kr)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산업부는 사업 참여 희망자에 대한 상세한 정보제공을 위해 19일 온라인 설명회를 열 예정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삼성전자, 차세대 RGB 마이크로 LED TV 연내 출시한다
  • 단독 금융당국 ‘스왑뱅크’ 논의 본격화…주금공 유력 검토
  • [날씨] 입춘 지나도 이어지는 살얼음 추위…전북ㆍ제주선 폭설
  • 이재용·올트먼·손정의 회동 마쳤다…스타게이트 참여에 ‘촉각’
  • 오늘(5일) 롤 패치 업데이트 서버 점검 실시…언제까지?
  • "예상보다 빠르고 깊은 캐즘" 공급과잉 시달리는 배터리 핵심광물
  • "투자도 잘하네"…'피겨 퀸' 김연아가 사는 마크힐스는 [왁자집껄]
  • '세기의 사랑' 앗아간 사망까지…독감만큼 무서운 '이것'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2.05 13:39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3,144,000
    • -1.77%
    • 이더리움
    • 4,253,000
    • -2.94%
    • 비트코인 캐시
    • 517,500
    • -2.73%
    • 리플
    • 3,918
    • -6.31%
    • 솔라나
    • 321,700
    • -3.28%
    • 에이다
    • 1,171
    • -4.02%
    • 이오스
    • 959
    • -0.93%
    • 트론
    • 351
    • +0%
    • 스텔라루멘
    • 534
    • -4.81%
    • 비트코인에스브이
    • 64,250
    • -1.68%
    • 체인링크
    • 30,950
    • -4.92%
    • 샌드박스
    • 624
    • -4.5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