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지바이오·시지메드텍, 존슨앤드존슨 메드테크와 ‘노보시스’ 독점 공급 계약

입력 2025-02-07 10:4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아시아 6개국 독점 공급…美中日 등 글로벌 빅마켓 진출 계획

▲유현승 시지바이오 대표(왼쪽)와 비슈누 칼라 존슨앤드존슨 메드테크 아시아 태평양 지역 회장 (시지바이오)
▲유현승 시지바이오 대표(왼쪽)와 비슈누 칼라 존슨앤드존슨 메드테크 아시아 태평양 지역 회장 (시지바이오)

시지바이오와 시지메드텍은 글로벌 의료기기 기업 존슨앤드존슨 메드테크와 자사의 골대체제 노보시스(NOVOSIS) 및 노보시스 트라우마(NOVOSIS Trauma)에 대한 독점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7일 밝혔다.

이에 따라 척추 및 외상성 골절 수술을 위한 골이식재 시장을 공략한다. 시지바이오는 존슨앤드존슨 메드테크에 노보시스를 독점 공급하고, 존슨앤드존슨 메드테크는 한국, 대만, 태국, 인도, 홍콩, 마카오에 유통, 판매한다. 시지메드텍은 존슨앤드존슨 메드테크에 노보시스 트라우마를 독점 공급하고, 존슨앤드존슨 메드테크는 한국에 이를 유통 및 판매한다.

노보시스는 13년간의 연구개발 끝에 출시한 혁신 골대체제다.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HA) 세라믹과 유전자재조합 골형성 단백질(rhBMP-2)이 결합된 형태로, 새로운 뼈 형성을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골형성 단백질을 서서히 방출하는 특성을 갖춰 의도치 않은 곳에서 뼈가 자라는 ‘이소성 뼈 생성’ 위험을 낮췄다. 현재까지 전 세계에서 약 10만 건 이상의 실제 적용 사례를 통해 안전성과 유효성을 입증했다.

시지바이오는 이번 파트너십을 계기로 미국, 중국, 일본, 호주 등 글로벌 빅마켓 진출에 속도를 낸다. 현재 미국 및 일본 시장 진출을 목표로 점성형(퍼티 타입) 골대체제 노보시스 퍼티(NOVOSIS PUTTY)의 글로벌 임상 및 허가를 준비하고 있다.

시지메드텍의 노보시스 트라우마는 골절 치료 시 뼈의 재생과 회복 기능을 수행하는 골대체제로, 급성 골절 치료와 골결손 부위 재생에 효과적이다. 원하는 골절 부위에 직접 적용하기 쉬운 알갱이(그래뉼) 형태다.

시지메드텍은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 등 동남아 주요 국가에서도 노보시스 트라우마의 시장 진출을 계획하고 있으며, 의료진과 지속적인 수술 프로토콜 개발을 통해 골절 치료 시장에서 역할을 확대할 예정이다.

유현승 시지바이오 대표는 “국내외에서 사용 경험이 축적된 노보시스를 글로벌 시장에서도 활용할 수 있도록 지속해서 노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정주미 시지메드텍 대표는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 등 동남아 주요 국가에서도 노보시스 트라우마의 시장 진출을 계획하고 있다”라며 “의료진과 지속적인 수술 프로토콜 개발을 통해 골절 치료 시장에서의 역할을 확대할 것”이라고 말했다.

비슈누 칼라 존슨앤드존슨 메드테크 아시아 태평양 지역 회장은 “존슨앤드존슨의 글로벌 전문성과 시지바이오의 진일보한 기술을 결합해 정형외과 치료에서의 수술 정밀도를 개선하며, 회복을 앞당기고 아시아태평양 지역 전체의 환자 치료 결과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경쟁국은 자국산업 보호로 바쁜데…기업 옥죌 궁리만 하는 韓 [反기업법, 벼랑끝 제조업]
  • 새벽잠 깨운 충주 지진…"집안 흔들렸다" "한숨도 못 자"
  • 금 사상 최고가 행진에 은행 골드뱅킹 ‘화색’
  • 비트코인, 숨고르기 들어가나…연준 모호한 발언 속 내림세 [Bit코인]
  • 제주공항 오늘 윈드시어 특보…지연·결항 속출
  • ‘이 정도면 짜고 친듯’…식품업계 이번주 잇단 가격 인상 발표, 왜?
  • ‘나솔사계’ 현커 16기 영자ㆍ미스터 배, 살벌한 다툼…결국 제작진까지 투입
  • 구준엽, 故 서희원 사망 심경…"창자가 끊어지는 고통, 유산 권한 장모님께"
  • 오늘의 상승종목

  • 02.07 14:16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0,142,000
    • -1.28%
    • 이더리움
    • 4,183,000
    • -5.1%
    • 비트코인 캐시
    • 496,500
    • -3.69%
    • 리플
    • 3,630
    • -4.4%
    • 솔라나
    • 298,500
    • -4.78%
    • 에이다
    • 1,110
    • -5.69%
    • 이오스
    • 900
    • -5.36%
    • 트론
    • 359
    • +1.99%
    • 스텔라루멘
    • 500
    • -4.4%
    • 비트코인에스브이
    • 60,050
    • -5.36%
    • 체인링크
    • 28,950
    • -5.7%
    • 샌드박스
    • 586
    • -4.8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