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가 찬양한 석탄, 소비는 아시아가

입력 2025-02-10 15:3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작년 세계 석탄 화력발전 용량 2175GW…역대 최대
중국·인도·동남아 등 주범
AI 데이터센터 활성화도 요인

▲2000년 이래 전 세계 석탄 화력발전 용량 추이. 단위 기가와트(GW). 지난해 2175GW. 점선=파리기후협정 당시. 출처 글로벌에너지모니터
▲2000년 이래 전 세계 석탄 화력발전 용량 추이. 단위 기가와트(GW). 지난해 2175GW. 점선=파리기후협정 당시. 출처 글로벌에너지모니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찬양했던 석탄이 아시아를 중심으로 빠르게 소비되고 있다. 탈탄소를 표방하던 전 세계가 석탄으로부터 멀어지지 못하고 있다고 CNBC방송이 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글로벌에너지모니터(GEM)에 따르면 지난해 전 세계 석탄 화력발전 용량은 약 2175기가와트(GW)로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발전 용량은 발전소에서 생산할 수 있는 최대 출력을 의미한다.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국가는 중국이다. 지난해 석탄 수입이 전년 대비 14.4% 급증해 사상 최대인 5억4270만 톤(t)에 이르렀다. GEM에서 석탄 거래를 추적하는 도로시 메이 프로젝트 매니저는 “석탄에서 벗어나려는 세계적 전환이 여전히 어렵다”며 “유럽과 미국에선 석탄 소비가 크게 줄고 있지만, 아시아에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중국 정부는 부족한 강우량에 수력 발전량이 줄어들면 석탄 발전으로 에너지 안보를 확보하고 있다”며 “중국에서의 또 다른 장벽은 지방을 가로질러 태양광과 풍력 에너지를 전송해야 하는 어려움”이라고 지적했다.

경제 발전과 인프라 개발에 열을 올리는 인도에서도 석탄 수요는 좀처럼 줄지 않고 있다. 인도의 경우 인프라와 주택 부문에서 시멘트와 철강 소비가 늘었는데, 두 산업 모두 석탄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컨설팅업체 크리실에 따르면 인도의 철강 수요는 내년 8~9% 증가할 것으로 추산돼 당분간 석탄 소비는 늘어날 전망이다.

베트남은 지난해 석탄 수입량이 10년 만의 최대치를 기록하면서 대만을 제치고 세계 5위 석탄 수입국이 될 것으로 보인다. 또 방글라데시, 인도네시아와 함께 전력 부족분을 채우기 위해 신규 석탄 화력발전소를 짓고 있다.

인공지능(AI) 활성화가 촉발한 전력난도 변수로 꼽힌다. 가벨리펀드의 팀 윈터 포트폴리오 매니저는 “미국, 중국, 전 세계가 AI 우위를 놓고 경쟁하고 있다”며 “AI 데이터 센터는 전력을 엄청나게 이용하는 만큼 석탄과 같은 안정적이고 저렴한 에너지원을 퇴출하기 더 어려워졌다”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삼성웰스토리 단체급식에 푸드테크 접목하니...“편리하고 안전”[르포]
  • '최강야구' 클로징, 하와이 전지훈련 확정…이번 시즌 MVP는?
  • "이거 대본 아니죠?"…이영자→주병진, 우리는 왜 '중년의 사랑'에 열광할까 [이슈크래커]
  • 장소는 학교, 피해자는 학생, 가해자는 교사…대전 초등학생 참혹 피살사건
  • 단독 첨단학과 '수도권 쏠림’ 사실로...경쟁률 지방의 3배 이상 [첨단인재 가뭄]
  • '혈당 스파이크→혈당 급상승'…가장 잘 다듬은 우리말 보니 [데이터클립]
  • 늙어도 천천히, 건겅하게...안티에이징 넘어 ‘저속노화’로 [저속노화 열풍]
  • 인권위, '尹 방어권 보장' 안건 의결...지지자 '환호', 野 "인권위 사망"
  • 오늘의 상승종목

  • 02.1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7,579,000
    • +0.5%
    • 이더리움
    • 4,028,000
    • +0.37%
    • 비트코인 캐시
    • 497,900
    • +1.03%
    • 리플
    • 3,655
    • +0.52%
    • 솔라나
    • 303,000
    • +0%
    • 에이다
    • 1,070
    • +4.39%
    • 이오스
    • 966
    • +5.81%
    • 트론
    • 371
    • +3.34%
    • 스텔라루멘
    • 472
    • -1.46%
    • 비트코인에스브이
    • 60,150
    • +1.18%
    • 체인링크
    • 28,370
    • +2.53%
    • 샌드박스
    • 598
    • +4.9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