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심리 위축·부동산 침체 등
저축은행중앙회, 3월 시스템 서비스
"신용평가 모형 검증서 잡음 나올 수 있어 우려"
온라인투자연계금융업(온투업ㆍP2P) 업황 부진이 이어지고 있다. 조만간 시행을 앞둔 저축은행과의 연계 투자가 불황 타개책이 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10일 온투업중앙기록관리기관(KFTC)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온투업 대출잔액은 1조1328억 원이다. 전월 말 1조1060억 원과 비슷한 수준에서 정체돼 있다. 2023년 말 1조1189억 원, 지난해 상반기 말 1조813억 원 등 1조 원대 초반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온투업은 지난해 크로스파이낸스코리아가 티몬·위메프(티메프) 사태 여파로 700억 원대 투자금 상환 지연이 발생하면서 투자심리에 큰 타격을 입었다. 고금리 장기화에 따른 부동산 시장 침체 역시 업권의 어려움을 유발한 것으로 풀이된다.
업황도 좋지 않다. 온투업계 관계자는 “대출 수요는 불어나고 있는데 투자 심리가 위축되다 보니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는 상황”이라며 “신규 투자자금 유입이 거의 없고, 기존 투자금이 돌고 도는 형태”라고 전했다.
폐업은 이어지고 있다. KFTC에 따르면 2023년 말 53곳이었던 온투 업체는 현재 49곳이 남았다. 올해도 온투 업체 폐업 사례는 꾸준히 늘어날 전망이다.
온투 업계는 올해 시행 예정인 저축은행 연계를 통한 투자 유치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앞서 금융위원회는 지난해 7월 저축은행의 온투 업체 개인 신용대출 연계투자를 혁신금융 서비스로 지정했다. 온투 업체가 모집하고 심사한 개인 신용 대출 차주에 저축은행이 돈을 빌려주는 연계투자가 가능해진 것이다.
온투업계 다른 관계자는 “저축은행이 온투업계 연계투자에 뛰어들면서 취급하는 대출 규모가 커질 것”이라며 “업계 외연 확장에 대한 기대감이 크다”고 말했다.
해당 서비스를 위한 연계 시스템 구축은 저축은행중앙회가 맡았다. 저축은행중앙회 관계자는 “2월 안으로 시스템 개발을 완료하고 3월부터 서비스를 시행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일각에서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저축은행과 온투업 간의 대출 금리 괴리가 있을뿐더러 저축은행이 온투업자가 보유한 개인신용평가 모형을 검증해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잡음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이다.
온투업계 관계자는 “초점을 두고 있는 고객층이 업체마다 다르긴 하지만, 온투업계는 대개 1금융권과 2금융권 사이에 있는 타깃층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영위하는 편”이라며 “혹여나 저축은행이 제공하는 금리로 대출을 시행하게 되면 차별점이 사라지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온투업계는 자체 보유 중인 신용평가모형에 자부심을 가지고 있다”며 “검증 과정에서 이견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도 리스크”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