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etoday.co.kr/pto_db/2025/02/600/20250211183456_2135573_1199_533.jpg)
고령층과 유병력자의 실손보험 가입 및 보장 연령이 각각 90세, 110세로 확대된다. 고령화 시대에 맞춰 노후 의료비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서다.
11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고령층의 실손보험 가입률이 70대 38.1%, 80세 이상 4.4%에 불과하다. 노후 실손보험과 유병력자 실손보험의 가입 연령은 각각 75세와 70세이며, 보장 연령은 100세까지다 보니 가입이 어려운 탓이다.
이에 금융당국은 가입 연령을 90세로, 보장 연령을 110세로 확대하는 개편안을 마련했다.
이는 금융당국이 추진하는 '노후지원 보험 5종 세트'의 일환이다. 주요 내용으로는 △사망보험금 유동화를 통한 노후 소득 보장 △의료저축계좌 도입 △보험계약대출 우대금리 신설 △노후·유병력자 실손보험 확대 △신탁업 활성화를 통한 생애 종합 서비스 제공 등이 포함된다.
현재 노후 실손보험은 생명보험사 2곳, 손해보험사 7곳 등 총 9개사가 판매 중이며, 유병력자 실손보험은 생명보험사 2곳, 손해보험사 11곳 등 총 13개사가 취급하고 있다. 보장 연령이 100세인 기존 계약자는 3년 주기의 재가입 시 보장 연령이 자동으로 110세로 연장된다.
가입·보장 연령이 확대된 실손보험 상품은 4월 1일 출시되며, 소비자는 △보험사 방문 △다이렉트 채널 △보험설계사 등을 통해 가입할 수 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앞으로도 국민의 노후 위험을 완화할 수 있는 다양한 보험상품을 지속해서 발굴할 계획"이라고 말했다.